고슴도치 아이 그림이 있는 책방 1
카타지나 코토프스카 지음, 최성은 옮김 / 보림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피오트르에게 엄마가'

이 책을 펼치면 이렇게 적혀 있다.

이 글을 쓴 작가가 가슴으로 낳은 아들 피오트르에게 이 책을 바친다는 뜻이다. 그리고 한 장을 넘기면 윤석화님의 추천사가 나온다. 오랜 시간 아이를 기다리다 입양을 했다는 소식을 ㄷ르었는데 그가 쓴 추천사는 책을 펼쳐들기 전부터 가슴을 아리게 했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만나 가정을 이루고 그들의 아이를 기다리지만 아이가 오지 않아 아름답던 집이 잿빛으로 변해 가던 중 '세상 모든 것을 다 아는 할머니'를 찾아가 다른 사람이 낳은 우리의 아이를 찾게 해 달라고 조글게 된다. 그렇게 해서 만난 고슴도치 아이. 아이의 몸에 나 있는 가시도 마다하지 않고 안아 주고, 사랑해 주고, 가족으로 받아들여줌으로써 아이의 몸에서느 가시가 하나씩 뽑히고 경계하던 아이의 눈빛도 사랑으로 채워 나가는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아주 잘 표현 해 두었다. 그리고 그 아이가 바로 작가의 아이라는 글을 읽고는 더욱 더 가슴 찡함을 느꼈다. 두 살 때 데리고 온 아이가 네 살이 되던 해에 이 글을 썼는데 지금 12살, 초등학교 5학년이란다.

아이를 찾으러 간 여자가 여왕님의 어린이집에 가서 여왕님에게 이렇게 묻는다.

"우리는 한 번도 우리 아기를 본 적이 없어요. 아기도 우리를 본 적이 없고요. 그런데 어떻게 서로 알아보죠? 혹시 실수로 잘못 만나기라도 하면 어떡하죠?"

"걱정 마세요. 중요한 사실을 하나 알려 드릴게요. 눈으로 보지 마세요.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니까요. 대신 마음으로 보세요. 마음은 결코 실수를 하지 않는답니다."

우리나라는 입양률이 아주  낮아 해외로 입양되는 예가 많고 그들이 나이가 들어 부모를 찾아 어머니의 나라에 와 눈물 흘리는 사연을 TV를 통해서 많이 보게 된다. 못 살던 시대에 우리의 슬픈 역사의 한 페이지지만 타국에서 흘렸을 그 고통의 눈물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나도 입양에 대해서 한 번씩 생각해 본다. 그런데 주변에서 입양아를 키우면서 겪는 마음 고생들을 보면서 겪지 않아도 될 고통을 보며 모두들 아예 생각도 말라고 하는 이들이 많이 있다. 참 어려운 문제다. 아직 나는 나서지 못하지만 윤석화, 신애라 같은 연예인들의 용기에 뜨거운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입양아들과 그들의 가족이 모두 행복하길 빈다. 많은 가시들에 찔려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과정을 겪게 되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