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뱃돈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중국에서 시작돼 한국, 일본, 베트남 등으로 퍼져 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만 돈을 많이 벌라는 뜻으로 붉은색 봉투에 돈을 넣어 주고 베트남도 역시 빨간 봉투에 소액의 새 돈을 넣어 주는 ‘리시’라는 관습이 행해진다.

일본도 예전에는 도시에서만 행해지다 1960년대 이후부터 전국적으로 치러졌는데, 그게 일제 강점기에 우리나라에 널리 유포된 것으로 전해진다고 한다. 현재에는 북한에서도 새뱃돈을 준다고 한다.

그럼 연령에 따른 세뱃돈 적정 금액이라도 있는 걸까? (본인의 능력껏이면 되지 않는가?!)

인터넷에 유포돼 있는 ‘세뱃돈’ 관련 사이트를 검색해 보면 90년대후반부터 경기가 나빠지면서 세뱃돈 액수도 점점 적어지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

평균 금액?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무조건 많을수록 좋겠지만 대략 초등학생은 5,000~1만원, 중학생은 1만~2만원, 고등학생은 2만~3만원이 적정선으로 받아 들여진다.

그러나 본인의 능력 껏, 또는 성의 차원에서 소액을 주는 게 좋다. 많은 돈을 주어 나쁜 영향을 주기보다는 적은 돈으로 올바른 지출을 가르치는게 중요!

덧붙여 보자면 최근에는 새 5000원짜리 지폐가 설을 맞아 쟁탈전(예약까지 한다고 한다)을 방불할만큼 대단하다고 한다. 설마...내년에 새 1000원권, 10000원권 지폐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