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연말 연초엔 경제전망과 트렌드를 주제로 책을 읽는다. 트렌드나 경제전망을 다룬 책들이 단행본으로 나온 것이 불과 십여년 정도인데, 예전에는 경제신문과 경제연구소가 했던 역할이다. MB 정부 시절 삼성경제연구소가 정부와 다른 경제전망을 내놓은 것이 문제가 된 후 더이상 일반을 위한 서비스를 하지 않으면서, <트렌드 코리아>를 중심으로 한 책들이 부상했다고 봐야한다. 이번엔 좀 읽기가 늦어졌는데, 사실 경제전망이나 트렌드 책을 굳이 사서 읽을 필요를 못 느끼기 때문에 도서관을 이용하는데, 2~3년 전부터는 트렌드 책의 인기가 너무 심해 대출의 기회를 잡기가 쉽지 않았다.
몇 권의 책을 읽다보면 <트렌드 코리아 2018>의 인기를 실감하기 어렵다. 항상 앞 부분에 경제전망을 하고,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하며 마치 사회 전반을 다루는 척 하지만, 정작 소비트렌드만 다룬다. 그래서 한발 벗어나 보면 과연 트렌드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뭐랄까 공부하는 느낌(그러나 공부할 필요가 없는)이 일반인들의 주머니를 터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라이프 트렌드 2018>이 오히려 생각해 볼 부분도 많고, 사회전반적인 트렌드를 다룬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트렌드 코리아 2018>이 5-60대가 분석한 젊은이들의 트렌드라면 <20188 20대 트렌드 리포트>는 젊은이들이 우리 트렌드는 이런거야 라고 비교가 된다. 책을 읽는다는 느낌보다는 일종의 인포그래픽과 블로그, 특집기사의 모음이라고 보는 게 맞다. KOTRA에서 해마다 펴내는 <2018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는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소비 트렌드가 있는지 보기에 좋은 책이다. 해마다 읽는데, 재미있다. <1코노미>는 트렌드 중 1인에 초점을 맞춘 책이다. 1인 산업에 대해 잘 정리했다는 느낌이다. 그러니까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블로그, 기사들을 종합해 놓은 느낌이고, 문제에 대한 분석이나 대책은 그냥 대학때 여기 저기 Ctrl C, Ctrl V 한 느낌이랄까.
세상 돌아가는 상황이 너무 급격하다. 단순히 소비 뿐만이 아니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많은데, <트렌드 코리아>같은 책들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 개인적으로도 미투운동에다 Kmooc 신청주제 등 읽어야 할 책들이 산더미 같은데... 시간을 좀 내서 리뷰까지는 아니고 책마다 읽어야 할 부분은 어떤 점이 있는지, 이상한 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좀 남겨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