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쇼크 - 고령화, 쇼크인가 축복인가
테드 피시먼 지음, 안세민 옮김 / 반비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로마인들의 기대수명은 25세였고, 1900년 까지 세계 평균 기대수명은 30세였다. 물론 이는 높은 유아사망률 때문이므로, 그런 위험한 시기를 지난 이들은 중년까지 무리 없이 도달할 수 있었다. 그래도 45세 이상 살아남는 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26쪽)


장수는 인류의 소망이었지만, 지금 세계는 경험해보지 못한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다. 점차 인구구조가 젊은이가 줄어드는 기형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은 20세기라는 것이 큰 역할을 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이 70 이상 살게 하는 요인은 그들뿐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이다. 역사를 돌이켜보고 지금까지 존재한 모든 문화를 되돌아보고 과학 문헌과 실용서들을 모두 뒤져보면, 수명 연장에 관한 가지 두드러진 요인을 발견할 있다. 바로 20세기 이후에 태어나는 것이다. 가능하다면 부유한 선진국에서 태어나는 것이 좋다. 이것에 필적할 만한 다른 요인은 전혀 없다

건강을 유지할 있는 복잡하고도 훌륭한 시스템을 갖춘 나라들에서 조차 20세기가 되어서야 안전한 음식을 넉넉히 제공할 있게 되었다. 게다가 쓰레기를 처리하고 깨끗한 물과 안전한 음식을 제공하는 공공 시스템은 19세기에 본격적으로 모양을 갖추기 시작했다. 공공 인프라가 확산되면서 질병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사람들은 개인위생을 관리할 있었다. 특히 20세기 중반부터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현대 학은 한때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가는 가장 흔한 요인 이었던 전염병을 정복했다. (105)


이외에도 문해율의 향상이 있고, 또한 도시화가 있다. 불과 100년 전만 해도 도시는 전염병의 확산이 쉬어 장수를 기대하기 힘들었지만 도시화의 흐름속에 도시는 인프라가 종합되면서 사람들의 수명을 늘렸다. 


이런 장수가 어떤 의미일까? 문제는 이런 고령화가 전세계적인 추세라는 것이다. 이미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유럽이 있지만, 동아시아 역시 곧 고령화사회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중국에서 고령화가 큰 문제가 될 것이다. 산아제한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거치면서 중국은 1-2-4 구조가 만들어졌다. 즉 아이 1명에 부모 2명 양가 조부모4명인 사회다. 이것은 아이 하나에 성인 6명이 양육하는 구조이지만, 반대로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때 부담해야 할 고령인구가 최대 6명이라는 의미이다. 정도야 다르겠지만 동아시아를 비롯한 이제 고령화시대를 맞이할 많은 나라들의 현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문제는 현대 산업사회가 고령화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농경시대의 노인을 우대했던 전통과 달리 산업화는 노인을 노동력, 경쟁력의 프리즘으로 바라봤다. 


노인들에 대한 고정관념은 긍정, 무관심, 부정의 복잡한 혼합이다. 노인들을 따뜻하고 상냥한 사람으로 바라보는가 혹은 무기력하고 무능한 사람으로 바라보는가는 우리의 행동을 지배할 있다.

...

커디 연구팀은 현대화가 주범일 있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사회에서는 산업화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노인들의 지위를 낮춘다. 산업화는 수명을 늘려 노인인구가 늘도록 했고 퇴직을 제도화했으며, 노인들이 생산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했다. 현대화는 나이 사람들의 기술을 쓸모없게 했으며, 이들을 새로운 분야에 적응하지 못한 인간을로 만들어 고용을 어렵게 했다. 젊은이들도 뜨내기 노동자로 만들어 노부모를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게 했다. 변화에만 얽매이도록 하면서 지혜로운 사람으로서의 노인의 역할을 폄하하게 만들었다. , 신문 전자 미디어를 비롯한 시대의 미디어들은 젊은이들에게 최신 트렌 드를 알려주지만 기억이나 구전을 통해 내려오는 전통은 별로 전해주지 않고 있다. 커디의 분석은 앞으로 상당 기간 동안 진행될 세계 인구의 고령화를 바라보는 태도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설명해준다. (384-385)


단순히 문제는 노인에 대한 편향된 시각만이 아니다. 노인들에게 활동성을 강조하면서 노인내에서도 스트레스로 다가온다. 육체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인데, 몇몇 나이보다 건강한 다른 노인들로 인해 준비되지 않은 노인 혹은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 노인으로 취급받는다. 어찌보면 젊을 때 부터 인간을 자원화한 체제가 노인까지 이른다고 봐야 할 것이다. 


책은 딱히 답을 내놓지는 않는다. 이미 고령화를 맞이한 스페인 혹은 미국의 일부지역을 예를 들어 설명할 뿐이다. 그 이유는 고령화가 이미 현실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읽기엔 좀 지루함)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쭈니 2016-07-16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잘 읽었습니다

`고령화`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모두의 지혜가 필요한거 같습니다

雨香 2016-07-17 11:05   좋아요 0 | URL
많은 책들의 한국의 고령화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