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경제학 - 대통령 리더십으로 본 한국경제통사
이장규 지음 / 기파랑(기파랑에크리) / 2014년 9월
평점 :
서서히 큰 파도가 밀려올 채비를 하고 있다.
태평양 너머 미국에서 양적완화 종료라는 이벤트가 가시화된다.
한국에는 어떠한 의미로 다가올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부실을 커버하기 위해
다른 주요국들은 번갈아 자국 화폐를 높게 올리고 부담을져왔다.
일본, 유럽 등이 그 부담을 내려 놓고 마음껏 양적완화를 하게 되었다.
한국은?
이런 고민을 하면서 주변을 보면 한국이라는 나라에게 아쉬운 점이
역사의식이라는 생각이 든다.
역사와 과학,종교를 놓고 보면 한국은 종교 위주로 생각하고 과학은 부차적이면서
역사는 아예 방치해버린다.
과거 중국과 일본,미국의 정책의 모양에 따라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도식으로 만들어서 가르치는 역사는 없다.
그것이 개개인이 집을 사고 주식을 사고 예금을 굴리고 하는 생존경제학의 기본 조건이 되는대도 말이다.
그러다 보니 제법 실물경제를 안다는 사업 하는 지인과도
대통령의 공과에 대해서 이야기 하다보니 논쟁으로 치닫는다.
종교를 떠나 공유할 수 있는 역사가 있어야 그 기반 위에서 미래를 논할 수 있는데 말이다..
대통령의 경젱학을 보면서 나는 저자의 모든 것에 동의하지는 않는다.
시각차가 나는 부분도 꽤 있다.
저자는 역사학자가 아니다.
신문기자 출신으로서 이 사회에 그런 역사가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고 모자란 능력을 감내하면서 직접 시도한 것이다.
책도 노력 대비 판매량은 저조하다.
하지만 적어도 경제영역에서는 최고통치자의 주요 행위가 어떻게
현실의 결과를 만들었는지 정리해낸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지금 박근혜 정부의 오늘 하루 하루의 선택은 과연 앞으로 어떤 평가를 받을까?
잠시 환호를 받았던 초이노믹스가 오래오래 훌륭한 선택으로 기록 될까?
옆나라 아베의 시도는 또 어떠할까?
사실 이 둘은 닮은 면도 있지만 현재를 사는 일반인들의 눈에는 잘 이해되지 않을 것 같다.
산을 내려와봐야 산의 모습이 다 눈에 들어오는 것처럼
역사는 시대가 마감되면서 쏟아져나오는 말을 담아 내서 만드는 어설픈 스케치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에게는 이 나마의 노력이라도 절실히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