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국의 알바여, 정치하라 정치의 시대
은수미 지음 / 창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휙휙 도로에서 차 사이를 뚫고 달리는 오토바이 배달은 한국의 속도 문화의 상징이다.

아슬아슬하게 보이는 오토바이는 종종 사고가 난다.

그러면 운전자는 어떻게 될까?


놀라운 건 종종 보상을 받기 어렵다고 한다. 왜냐면 이들이 근로자가 아니라 사업자이기 때문이란다.


예전 국어시간에 조선에서 일제를 거쳐 현대로 오면서 신분이 해체되면서 호칭이 꾸준히 격상되는 걸 배웠다. 양반이 조선에서는 귀한 용어지만 현대에서는 길가에서 싸우며 상대를 깍아내는 호칭이 된다. 

그런데 한국사회는 일하는 사람들을 내용은 내리면서 호칭만 올려간다. 알바 수준인데 호칭은 사업자고 대우는 무 근로자가 되는 셈이다.

말과 일과 대우가 따로 가는 기묘한 조합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리현상은 점점 강화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플랫폼이 강화됨을 꼽아야 한다.


식당-배달앱-배달기사(사업자) 이런 구조는 서로간에 관계가 분리되고 사이는 오직 IT로만 연결된다. 법적인 책임과 권리는 그 사이에서 증발된다.


은수미 전의원은 이런 사회 현상에 주목해 꾸준히 대중강연을 해왔고 강연록을 여기 책으로 묶어 내었다.


한국은 변화가 빠른 나라 답게 O2O, 플랫폼 등이 사회에 막바로 영향을 준다. 반면 유럽의 경우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연대를 법으로 규정해간다고 한다. 미국도 얼마간 유사한 노력이 진행된다.


하지만 한국은 아직 멀었다.

백화점은 입점업체를 다들 사업자로 취급해 의무는 할당하고 권리는 독하게 가져간다. 이렇게 외주사회의 극치는 인천공항공사다. 달랑 10프로만 정규직이고 모든 일은 기능화된다. 


이런 상황에서 알바에게는 어떤 희망이 있을까?

저자 은수미는 해답은 정치라고 했다. 어려울수록 참여하고 그렇게 바꿔야 한다고.

자신이 80년대 참여하고 성공한 체험이 무수한 난관을 이기고 오늘을 만들었다고 한다. 

성공체험이 아무것도 없어요 하는 이들에게 다시 강조한다.

촛불이 혁명이고 바로 여러분들의 성공체험이라고..


적극 공감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7-09 05: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보험이 정작 필요한 이들은 보험사에서 인수 거부하고, 대출이 필요한 이들에게는 담보가 없다면 대출이 안 되는 련실이네요... 리스크 관리라고는 하지만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사마천 2017-07-10 0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딱 맞는 말씀입니다. 미국도 취약계층은 오히려 보험이 거절되더라고요. 한국도 법의 구망들을 메우기를 기대해봅니다. 늘 관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