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릴케 현상 > [퍼온글] 서사의 구조와 시점의 문제
시점에 관한 종합적 스팩트럼(시점의 시학/ 수잔 스나이더 랜서 지음, 김형민 역/ 좋은날, 1998. 226쪽)
시점을 자격, 접촉, 그리고 입장 이라는 관점에서 스팩트럼한 것이다. 이 도표가 시점에 대한 스팩트럼이라는 까닭은 서사는 하나의 우주와 같기 때문에 어느 각도, 어느 입장에서 보든지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지 무우를 자르듯 명확한 경계선이 없다는 것이다. 한 작품 안에서도 시점이 융통성 있게 조정될 수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그림은 좀 다른 각도에서 시점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김민수. 이야기, 가장 인간적인 의사소통-소설의 이해. 서울: 거름, 2002. 186쪽)
먼저 인칭을 중심으로 1인칭과 3인칭에 양 극에 있다. 일인칭 서술과 삼인칭 서술은 화자가 스트리 세계에 속하느냐, 아니면 스토리 세계 외부에 존재하느냐(이경우 목소리만 들린다) 하는 차이로 구별된다. 일인칭 서술에서는 화자가 인문을 겸하고, 삼인칭 서술에서는 화자와 인물이 별개의 위치에놓인다. 이러한 차이를 지니면서도 일인칭 서술과 삼인칭 서술은 동형의 구조를 보여주기도 한다. 삼인칭 화자와 일인칭 서술적 자아가 서로 대응하고, 삼인칭 인물과 일인칭 경험적 자아가 대응하기 때문이다.
시점을 기준을 외부적 시점 서술과 내부적 시점 서술이 대조를 이룬다. 외부적 시섬 서술은 소설이 화자의 시점과 관점을 중심으로 서술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부 시점 서술에서는 화자가 서술의 매개자로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느껴진다. 외부 시점 서술은 삼인칭의 전지적 화자에 의한 서술이나, 인일칭의 서술적 자아가 중심이 되는 지적 화자에 의한 서술이나, 일인칭의 서술적 자아가 중심이 되는 서술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볼 수 있다. 내부 시점 서술은 화자가 시점을 인물에게 부여하여 그 인물의 입장에서 서술하는 것이다. 물론 서설 전체를 외부 시점이나 내부 시점으로 단일화시켜 서술하는 것은 극단적인 경우이며 그 사이에 다양한 양상이 자리잡고 있다. 내부 시점 서술은 일인칭 경험적 자아 중심의 서술과 삼인칭 인물시점의 서술에서 잘 볼 수 있다. 그런데 화자가 시점을 갖고 있는 외부 시점 서술에서도 인물들의 내면적 관점이나 사고, 감정, 의식 등을 전달하는 부분이 많아지면 내부 시점 서술처럼 보이게 된다.
화자 중심이냐 인물중심이냐를 기준을 '서술하는 화자인물'과 '서술을 전개하는 반영자 인물'이 대조를 이룬다. 화자 인물이란 화자가 마치 한 사람의 인물처럼 자신의 인격성과 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을 의미하고, 반영자 인물이란 특정한 인물이 시점의 주체가 되면서 서술을 매개하는 것을 가리킨다. 반영자는 시점 혹은 초점화의 주체이므로 초점 화자와 같은 말이다.
이렇게 구분된 여섯가지 서술의 유형들이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됨으로써 담론의 기본 유형이 되는 세 가지 서술 상황이 형성된다. 그것이 바로 일인칭 서술 상황, 전지적 서술 상황, 인물적 서술상황이다. 위의 세가지 분류 기준과 서술 상황과의관계를 도형으로 나타낸 것이 위의 그림이다.
설명을 덧 붙이면, 원의 가운데에 인칭, 시점, 서술 양태라는 기준에 따라 세개의 선이 그어지고 양 끝에 각기 양극화된 서술 유형이 놓이게 된다. 그리고 바깥에 세 서술 상황이 원을 삼등분하면서 자리잡고 있다. 여러 소설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이 유형원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하면 각 소설들의 담론적 양상과 특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다음 도표의 서사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참고하기 바란다.
서사의 전체적인 윤곽을 의사소통 모형에 입각하여 그려본 것이다(시점의 시학/ 수잔 스나이더 랜서 지음, 김형민 역/ 좋은날, 1998. 74쪽). 서사의 큰 그림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며 서사 분석의 좌표역할을 한다. 한 사람의 비평가가 하나의 비평 행위에서 이 모든 것을 입체적으로 다루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있다. 큰 그림의 유익은 내가 어디에 있는지 좌표를 설정할 수 있고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 방향감각을 갖데 한다는 것이다. 다음의 김종구씨의 번역과 용어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이 그림은 서사본문(text)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시점의 시학/ 수잔 스나이더 랜서 지음, 김형민 역/ 좋은날, 1998. 148쪽). 서사의 구조가 의사소통 모델에 근거하여 볼 때 다층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소설학회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서울: 새문사. 1996. 23쪽)
위와 비교하여 역사적작가-->실제작가, 공적 서술자-->일반서술자, 사적화자-->개인화자, 인물행위자-->주인공-행위자, 관중-->목격자, 공적피화자-->일반수화자, 사적피화자-->개인수화자, 역사적 독자-->실제 독자 등으로 다르게 번역되었다.
(한국 소설학회편. 현대소솔 시점의 시학. 서울: 새문사. 1996. 25쪽)
오닐이 분석한 서사의 수준, 서사과으로서 '액자의 포개진양상'(nested frames)으로 도형화 하였다. 여기서 C는 주인공, N은 서술자, N'은 수화자, A'는 내포독자, R'은 내포독자, A는 실제 작가, R은 실제 독자, NL은 서사수준의 약호이다.
(한국 소설학회편.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 서울: 새문사. 1996. 29쪽)
랜서는 서사전달의 모든 수준에서 접촉(contact), 지위(status), 태도/입장(stance) 등과 함께 역동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랜서의 서술 수준은 상호 의존적이면서 또한 계층적인 종속 관계를 이루고 있어서 사사전달 과정은 '저자성의 연쇄'(chain of authority)로 설명된다. 이 모형은 개인서술자/개인수화자, 일반서술자/일반수화자 소통관계로 잘 정리되어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의 문화적 소통의 과정이다(시점의 시학/ 수잔 스나이더 랜서 지음, 김형민 역/ 좋은날, 1998. 230쪽). DS는 화자의 가치, MS는 화자의 개성, 그리고 SS는 화자의 언화 행위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