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 스토리 - 창조기업 코스맥스의 양손잡이 전략
박흥수 지음 / 박영북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스맥스 이야기를 간략히 정리한 책이다.

중소기업을 볼 때마다 창업자를 보게 된다.

이경수 대표는 가난에서 학업으로 서울대 약대를 나온 후

제약과 광고 회사에서 경력을 쌓았다.

화장품과 제약이 서로 통하는 측면이 있어서 화장품 제조 회사를 차리게 되었다.

경력을 보면 주변의 권유를 통한 이직이 많다.

인간관계가 상당히 좋다는 증거다.

평판이 힘이라고 옮기려고 해도 누가 강력하게 끌어주지 않으면 안된다.

가서도 맡은 일을 열심히 하고 키웠다고 보인다.

제약회사도 몇십년 전으로 돌아가보면 동네 구멍가게 같은 자그마한 기업이고 우수한 인재가 드물었다고 보인다.

성실하게 일한 증거는 창업 후 전직장의 상사가 도와주는 장면에서 나온다.

공장부지로 산 땅을 같이 간 선배는 직접 장화를 갈아신고 논으로 들어가서 나침반 들고 세세히 측정하며 알아두어야 할 것을 일꺠워준다.

그만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건, 그동안 쌓은 것이 많기 때문이리라.

이 때 커다란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이대표는 직원들을 약 500명 남짓 거느리고 있었다. 책이 나올 시점인데, 아마 지금은 더 커졌으리라 보인다.

직원들을 하나 하나 다 면접해서 뽑는다고 한다.

중소기업의 경우 창업자의 캐릭터가 바로 문화가 된다.

한명 한명이 다 인연이고 소중히 가꾸지 않으면 안된다.

대기업과 다른 면인데 거꾸로 중소기업에서 대표에게 찍히면 나가는게 답이다. 숨거나 빠져나갈 구멍이 없다.


보다가 눈에 들어온 또 하나의 대목은

경력사원을 뽑을 때 서로 배운다는 자세로 임한다는 것이다.

코스맥스처럼 급성장 한 조직에서는 경력도 많이 필요하다. 그런데 내가 키워서 문화를 만든 사람들이 아닌 경력은 더 어렵다.

일방적으로 맞추라고 하면 맞지 않다.


기업이 사람이 전부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데 그 사람을 어떻게 만드냐에서 이경수 대표의 세심함이 여러곳에서 읽힌다.


해외진출도 중국 등에서 선견력 발휘하고 있고 다른 곳으로도 계속 확장을 시도한다.

최근 ODM에서 성공해서 한단계 이상 올라간 아시아기업들이 많이 눈에 띈다.

한세,영원,시몬스 등.

비슷한 스토리인데 주목할 트렌드라고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