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늦은 저녁, 외출했다가 돌아온 직후였다. 막 컴을 켜고 알라딘 서재에 들어오려던 참에 기침이 시작됐다. 그것이 신호였다. 발작적 증세. 주체할 수 없이 연방 터지는 재채기와 줄줄 흐르는 콧물과 급기야는 호흡 곤란으로 이어지는. 기관지의 점막이 부풀어올라 벌겋게 충혈돼 있는 느낌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멈추고 싶은데 멈출 수가 없다는 것. 내 의지나 인내로 상황을 조절하거나 감내할 수 없다는 것. 온몸으로 밀고 들어오는 무서운 기세에 그저 두 손 들고 투항할 수밖에 없는 상황. 그것은 생생한 공포였다. 신경질적인 재채기가 이어질수록 점점 목구멍이 따가워지고 좁혀져 오면서 숨쉬기가 곤란해져 갔다. 목안인지 가슴의 어디께인지에서 쌕쌕거리는 쇳소리가 들려왔다. 맑고 점성이 없는 콧물은 채 다 안 잠근 수도꼭지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처럼 닦을 새도 없이 뚝뚝 떨어지고, 그 와중에 양치질을 하러 들어간 욕실 거울에 비쳐진 얼굴을 보니 몇 시간 정신없이 울고 난 사람 마냥 눈이 잔뜩 충혈돼 부어 올라 있다. 고작 15분 여 동안 진행된 상황이다. 그야말로 '발작적'이라는 말 그대로의 증세.
나는 그때까지 나의 이런 증세가 정확히 무엇인지도 모르고 있었다. 언제, 어떤 원인으로 이런 증세가 발병됐는지도 역시 잘 모르겠다. 지난 여름부터 잊을 만하면 한번씩 간헐적으로 늦은 밤이면 나타나곤 하던 증세인데, 다행히 낮에 활동을 할 때는 아무 일이 없었던 터라 간혹 밤에 그런 증세가 나타나면 그 길로 잠자리에 듦으로써 묻어 버리곤 했던 것이다. 하기는 여태까지는 그런 발작적 징후가 미약하고도 짧게 나타났다 곧 사라져 갔으므로 견딜 만했던 것이리라.
마침 응급실 진료 때문에 병원에 가 있던 남편에게 급히 연락해 약을 처방해 오도록 했다.
몇 알의 알약과 시럽을 먹고(약의 이름과 성분은 모른다...), 가습기를 틀어놓고 옥돌 매트의 온도를 높이고는, 좀 전의 폭풍처럼 휘몰아치던 고통과 그보다 한 스푼의 쓴 약만큼 더했던 공포를 잠재우기 시작했다.
천식 발작이란 게 이런 것....... 이런 상태로 돌연, 강도라도 당하듯, 갑작스럽고도 황당하게 죽을 수도 있겠구나........ 지금 생각해 보면 꽤 부풀려진 과장과 엄살이 버물려진 반응이지만, 그 순간에는 정말 그런 생각이 더없이 실감나는 실체로 나를 압도하고 있었다. 역시 고통은 어떤 관념보다 물질적이고 육감적이다. 고통에 이어지는 두려움은 은유나 상징 따위를 거들떠보지 않는 직설적 화법이다. 곧바로 삶과 죽음의 문제로 달려든다. 아무리 사소하고작은 고통이라 할지라도, 몸이 느끼는 고통은 그렇다.
하룻밤을 자고 일어나자 마치 폭풍 뒤 맑게 갠 아침처럼 말짱하고 평온하다. 아직 기도의 점막은 부어 있는 상태라 둔중한 감각과 피가 섞인 침이 넘어갈 때의 비릿한 맛이 느껴지기는 하지만, 그럭저럭 살 만하다. 정신과 여유를 되찾고 네이버 지식인 검색에서 '천식과 비염'을 검색해 보았다. 나의 증세가 어떤 것인지는 이해해야겠기에.
유전적 요인이 아니라면 환경적 요인에 의한 알레르기로 봐야 하는데, 모든 알레르기 질환이 그렇듯이 병인도, 치료법도 확실한 것은 없다. 추정된 다양한 원인과 일시적인 치료법이 있을 뿐.
네이버 지식 검색에서 찾은 천식의 유발 원인은 이렇다.
"천식의 병인은 그리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중에서 상당한 요인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알레르기이다. 그러나 실제로 알레르기 단독으로만 천식을 일으키는 경우보다는 감염이라든지, 자율신경계의 실조(失調), 내분비계의 이상, 수용체의 차단상태, 정신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천식을 일으키게 된다. 게다가 천식의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경우에, 여기에 알레르기 반응 등의 후천적인 원인이 더해져서 천식을 일으킬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알레르겐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천식인 경우 어떤 물질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생기는데 집먼지진드기, 집먼지, 꽃가루, 동물의 털, 곰팡이,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복숭아, 메밀 등이 대체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렇듯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또는 항원)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4가지 대표적인 알레르겐은 집먼지진드기, 쑥 꽃가루, 고양이 털, 알터나리아 곰팡이 이다. 그 중 집먼지진드기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 소아 천식의 70∼80%, 성인 천식의 40∼50%가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생기는 것이다.
유발 요인(비항원성 천식 유발 자극)
알레르기성이 아닌 기관지 천식일 경우에는 감기, 운동, 찬 공기(기후의 변화), 오염된 공기, 담배연기나 페인트, 향수와 같은 진한 냄새, 스트레스, 흥분, 고함 지르기, 식도 역류, 약물, 임신, 술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런 것들은 알레르겐과 구별하여 유발 요인이라 한다."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은 사실 완치가 어려운 만성병이라서 어떤 병인으로든 한번 생기면 평생 애증이 뒤섞인 친구처럼 사이좋게 데리고 가는 수밖에 없는 걸로 안다. 한 친구의 말을 빌자면 "인생을 겸허하게 살라는 한 충고"인 셈이다.
그래, 겸허함, 내가 가진 것들에 대한 감사와 빚갚음...... 그렇게 받아들이련다. 오늘 아침, 오랜 병상에서 떨치고 일어난 사람 마냥 기대치 않았던 어떤 의욕과 감사가 다시 솟아난다. 한 차례의 돌연한 발작적 증세가 오히려 나의 오랜 무기력과 미지근한 감정 상태를 깨끗이 청소해 준 느낌이다. 안개를 헤치고 비쳐드는 힘센 아침 햇살처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999119362092.jpg)
덧붙여서.....
네이버 지식인 검색의 재미있는 점.
'천식'에 관련해 이런 기타 의견과 웹문서와 이미지를 함께 보여준다. 검색어에 대한 기계적이고 방대한 검색 반응의 결과. 재미있어서 혼자 웃다.
s2m00k4 기타
궁금하군요 이런 증상이......... 2003-11-20 23:33:52
iorc 기타
인삼식용유를 드십시요. 공복에 3주간만 드시면 확실히 치료됩니다ㅓ. 2004-02-17 21:41:59
karlose3015 다른 의견
건강한 집.숨쉬는 집 만들기 프로젝트 알레르기, 꽃가루방지, 천식 - 황사, 공해, 숨쉬는 집, 먼지 여과 방충망 생산업체, MBC 러브하우스 협찬. www.hwangsa.net 031-335-0105 2004-04-08 09:14:51
artinone 동의하기
좋은 정보네요..저도 천식환자인데요..이런 지식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어요..별거 아닌 병으로 생각들 하던데...그리고 감기랑 첨엔 비슷하길래 저도 너무 늦게 치료를 시작했거든요. 2004-04-28 01:09:31
lycos0110 기타
제가 면역력이 약해 비염과 약간의 천식 있는 관계로 천연항생제라고하는 프로폴리스란 제품을 복용을 했는데 완치된 건 아니지만 가격도 국산 반이고 캐나다산 천연제품이라 그런지 생각보다 아주 효과가 좋더라구요. www.vitaland.biz에서 구입하실 수 있을 겁니다 2004-06-28 02:35:19
2wjdtlr 다른 의견
안녕 하십니까 집먼지 진드기 전문 항균 정소업체 알렉스입니다. 고민하시지 말고 저희와 상의 하십시요. allerx.net 부천지사(017-353-8322) 2004-07-02 13:10:08
kr1750 다른 의견
● ● 먹는 수세미외를 이용한 천식 치료법(예로부터 내려오는 전통 민간요법)을 소개합니다.. ◆◆ http://www.susemi.id.to ◆◆ 2004-10-06 11:19:10
선술집
... 흠…" 천식은 다시 눈물이 글성글성해지며 목메인 소리를 한다. "내가 맘이 변해졌다니 그건 또 무슨 소리요?" 현호는 천식의 말을 들을수록 모호하고 이상하였다. "선생님은 지금바로 오득 어머니에게 쌀을 한바가지나 퍼주시지 않었읍니까?" 하고...
보도방 2
... 모양이었다. "이 오빠가 말이야. 아주 세더라고. 우리 한참 했지? 그지?" 운향은 천식에게 확인이라도 하듯이 말을 건넸다. 천식은 뒷머리를 긁적이며 형민에게 미안한 듯 실실 웃어댔다. "정말 그래? 호오, 그럼 천식이가 진짜 센 놈이군. 얼마나 오래...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99911936208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099911936209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