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고 일어나니 목이 콱 잠겨 버렸다.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다. 아니, 듣기에 무척 괴롭고 낯선, 녹물이 뚝뚝 듣는 듯한 쇳소리가 잔뜩 부어 있는 목구멍 사이를 비집고 간신히 새어나온다. 지금 내 목소리가 그런 그로테스크한 상태임을 이미 알고 있는 나는 그렇다 쳐도 그 소리를 들을 상대방을 생각하면 되도록 아무 말을 하지 않는 게 상책일 듯.
헌데 오전에만 벌써 두 차례 전화 통화를 해야 했고, 불가피하게 누군가를 잠시 만나야 했다. 무슨 일 때문에 처음 인사를 나누는 자리였는데, 심한 감기에 걸렸다는 내 말을 듣고는 그 사람이 타다 준 둥굴레차를 끝까지 다 마시지 못하고 자리에서 일어났다. 무언가 대화를 나누기에도, 그렇다고 어색한 침묵을 가운데 두고 앉아 있기도 너무 곤혹스러웠던 탓에.
간밤에 자면서 기침을 많이 한 탓에 목은 잔뜩 부운 데다, 눈까지 충혈되고 자꾸 눈꼽이 끼여 시야가 흐릿해진다. 약간의 미열과 편두통이 배음(背音)으로 깔려 있다.
조금 허약해진 심신을 지켜보는 데는 불안감을 동반하는 야릇한 만족감이 있다. 마치 찜질방에서 오래 누워 있다 일어날 때 순간적인 현기증과 함께 팔에 송송 돋아나는 땀방울을 볼 때의 시원한 쾌감 같은...... 잔뜩 채워지고 부풀려진 몸과 마음에서 군더더기나 허접한 것들이 빠져나가고 있는 듯한 상쾌한 배설감, 가벼워지고 맑아지는 느낌, 창백해진 낯빛에서 보이는 겸허하고 유순해진 느낌.......
지금은 잠시 그런 상상을 해 본다. 오늘부터 이 괴상한 목소리가 내 목소리가 된다면, 예전 목소리로 영영 되돌아갈 수 없다면, 나는 전과는 다른 사람이 되는 걸까. 목소리는 나의 일부일 뿐이지만, 그 일부가 달라지면 나라는 존재 전체에도 어떤 변화가 생기는 게 당연한 것인가. 나라는 개체는 목소리와 같은 여러 부분들의 조합, 총합이라고 말해도 좋은가. 눈동자의 크기나 빛깔, 목소리, 체중, 키, 손과 발의 모양, 성격, 취향, 식성, 기억의 저장 능력과 표현 능력, 감수성....... 이런 것들의 합집합이 '나'를 이루고 있는 걸까.
뿌얘진 시야처럼 생각도 흐릿하게 뒤엉키는 가운데, 어쨌든 지금 이 목소리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 어떤 이질감. 그로테스크란 외면과 내면, 두 측면의 너무 이질적인 거리감에서 나오는 느낌이 아닐까. 지금 내 목소리가 너무 그로테스크하다. 오늘 바람이 내 목소리만큼이나 스산하다.
Ivan Graziani. Lugano Addio
www.poowa.com/iris/IvanGrazianiLuganoAddio.m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