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의 기술 - 권력보다 강력한 은밀하고 우아한 힘
로버트 그린 지음, 강미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만 보면, '연애작업의 정석'같은 분위기입니다.  간혹 외서가 번역되는 과정 중에 미끼성 제목으로 둔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 책은 원 제목도 같습니다. "The Art of Seduction"입니다. '권력보다 강력한 은밀하고 우아한 힘'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유혹'이 그렇다는 것이지요.


 저자 로버트 그린은 대학에서 고전학을 전공했습니다. '에스콰이어' 편집자, 할리우드 스토리 작가로 일한 경력이 있습니다. 이 책 [유혹의 기술]외에 [권력의 법칙](1998), [전쟁의 기술](2006)이 있습니다. 이 세 권은 저자의 3부작입니다. 권력과 심리전, 유혹술 등에 관한 불편한 진실을 현대적 생존전략으로 승화시키면서 ‘부활한 마키아벨리’로 불리운다고 합니다. 현재 저자의 3부작은 200만 부가 넘게 팔리면서 최고의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이 책은 2002년도에 같은 옮긴이 강미경에 의해 번역 출간 된 후 꼭 10년 만에 다시 나왔군요.


'유혹'이라는 단어는 '팜 파탈(femme fatale)'을 떠오르게 합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권력지향적인 남성들의 약점을 만족할 줄 모르는 성욕으로 봅니다. 이를 간파한 지혜로운 여성(?)들이 힘이 약한 자신들의 유일한 자산은 (남자를)유혹하는 능력이라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이 여성들이 일단 남성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하고 나면 전쟁과 정치라는 남성의 세계로부터 그들을 끌어내어 환락과 쾌락과 관능이라는 여성의 세계에서 삶을 소일하게 만듭니다. 역사적으로 이 시나리오에 넘어간 인물들의 면모를 거론하며 여성의 노예로 전락했다는 표현까지 하는군요. 그러나 이 책이 시종일관 이런 분위기라면 굳이 622쪽의 책으로 엮어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듭니다.


책을 읽기 전에 예상했던 부분이지만, 카리스마라는 단어가 등장합니다. (카리스마라는 단어가 본래의 뜻에서 변질되었지만).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나폴레옹을 비롯한 정치가들이 좀 더 광범위한 규모로 유혹의 기술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웅변술, 휘황찬란한 무대, 극장과 같은 분위기, 고혹적인 외모 등 과거에 여성들이 사용했던 유혹의 방법들을 동원합니다. 대중을 유혹함으로써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게 됩니다. 저자는 유혹 또는 카리스마는 현실적인 권력의 일종이라고 표현합니다.


누구나 매력적이고 설득력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하지요. 바로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는 유혹의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모든 유혹은 두 가지 요소를 갖고 있다고 하는데, 첫째는 자신의 매력이 무엇인지 알아야하고, 두번 째는 목표물에 대해 알아야한다고 하네요. 지피지기(知彼知己)입니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1부에서는 유혹자의 아홉 가지 유형을 다루고 있습니다. 누구나 대부분 이 아홉 가지 유형 속에 포함 되어 있다고 합니다. 2부에서는 '유혹의 24가지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사람들을 저항 할 수 없게 매혹시켜 유혹에 굴복하게 만드는 유혹의 전술과 전략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에 수록된 아이디어와 전략은 역사상 가장 뛰어났던 유혹자들에 관한 기록과 행적에 근거한다는 부언 설명이 뒤따릅니다. 


저자가 제시하는 아홉 가지 유형의 유혹자들을 만나볼까요. 각각의 유형마다 사람들을 사로잡는 독특한 특성이 있다고 하네요. 그러니까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장점을 갖기엔 무리 인듯 합니다. 하긴 아홉 가지 유형과 특성 중에 나에겐 해당사항 없음으로 나타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일단 간략히 소개해 볼까 합니다.  '사이런(Siren)'은 성적 에너지가 풍부 할 뿐 아니라 그 사용 방법에 정통하다고 합니다. '레이크(Rake)'는 지칠 줄 모르고 이성을 탐닉하는데, 이런 유형은 주변 사람들을 전염시킬 정도로 강한 욕구를 지니고 있습니다. '아이디얼 러버(Ideal Lover)'는 로맨스를 불러 일으킬 만큼 심미적 감각이 뛰어납니다. '댄디(Dandy)'는 자신을 연출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남자인지 여자인지 모를 정도의 풍모를 지닙니다. '내츄럴(Natural)'은 자발적이고 열린 자세를 지니고,  '코게트(Coquette)'는 자기 충족적이면서 동시에 상대방을 매료시키는 차가운 매력을 발산. 

'차머(Charmer)'는 즐거움을 주는 방법을 알고 싶어하며 또 알고 있고,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매우 사교적입니다. '카리스마(Charismatic)'는 자신을 매우 과신하는 편. '스타(Star)'는 마치 연기처럼 신비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지요. 


그러나 이쯤 읽었을 때, 갈등이 왔습니다. 계속 더 읽어야하나? 결국 남녀간의 이야기가 주 테마인듯 한데, 이미 연애전선에서 귀향한지 꽤 오래 되었는데 굳이 이 책을 머릿속에 넣고, 마음에 담아두어야 하나? 하는 고민이 생겼지요. 아직 남은 부분이 400쪽이나 되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케네디, 크리슈나무르티, 맬컴 액스, 주은래 등이 나오자 생각을 바꿨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인물들이 거론되지만, 이 사람들이 대중에게 준 영향력은 거의 폭발적입니다. 주은래 같은 경우는 민중에게 드러나지 않으면서 크나큰 영향을 준 사람이지요. 예, 바로 그 '영향력'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좀 더 욕심을 낸다면   "선한 영향력"입니다.


우리 몸에 스트레스가 쌓이는 곳은 두 군데 입니다. 몸과 마음입니다. 몸 스트레스는 육체적 피로와 긴장에서 오지만, 마음에 쌓이는 것은 스스로 내 안에서 만들어지는 심인성(心因性)질환과 함께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옵니다. 이를 염두에 둘 때 이 책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성격, 성품들을 대하면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는 것도 괜찮겠다 싶습니다.


자, 그럼 웬지 좀 껄끄러운 단어 '유혹'을 '영향력'으로 바꾸어서 몇 가지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목표 선정 : 영향력을 받을 만한 사람을 선택하라

2) 분위기 연출 : 익숙함은 영향력의 적이다.

3) 이상화 : 영향력의 가장 큰 걸림돌은 평범함이다.

4) 역전 : 상대가 자신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믿게 만들라.

      유혹(영향력)의 24가지 전략 중 4가지만 소개해드렸습니다.


책 말미에 "대중을 사로잡는 법"이라는 항목을 옮겨 봅니다.

"뭔가를 팔려면, 물건을 팔고 있다는 인상을 덜 줄수록 좋다. 이는 우리 자신을 팔 때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주장을 너무 강하게 펼치면, 의심을 사기 쉽다. 하지만 청중을 지루하게 만드는 것도 용서받지 못할 죄악이다. 그 대신 눈치 채지 못하게 은근하고 부드럽게 다가가야 한다. 첫째, 우회적으로 접근하라. 언론이 관심을 가질 만한 뉴스와 이벤트를 만들어 자연스럽게 자신의 이름을 알리도록 하라. 둘째, 끊임없이 즐겁게 만들라. 사람들에게 쾌락과 약속을 팔아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라. 셋째,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미지를 사용해 무의식을 파고들라. 무엇인가 새로운 사조를 팔고 있다는 인상을 심을 경우, 실제로 그렇게 된다. 부드러운 유혹에 저항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