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 스티븐 킹의 사계 봄.여름 ㅣ 밀리언셀러 클럽 1
스티븐 킹 지음, 이경덕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4월
평점 :
당신은 독살에 갇힌 죄수다.
이른 가을이었던가 ? 열린 창문 사이’로 나비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나비는 내 방으로 들어와 나무의 섬유질’로 만든 종이 책’ 냄새를 맡으며 이리저리 호들갑스럽게 날아다녔다. 그날 밤, 나는 창문을 활짝 열어둔 채 잠을 잤다. 나비를 가두기 싫었기 때문이었다. 열린 창문 사이로 칼바람이 불었으리라. 몸이 으슬으슬 추웠다. 며칠을 앓았다. 그렇다고 떠나버린 나비를 원망하지는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벽 모퉁이’에서 꼼짝도 않고 붙어 있는 나비’를 발견했다. 날개 모양과 색깔로 보아서 며칠 전에 날아들어왔던 그 나비’였다. 나비’가 나갔다고 생각했었는데, 나비’는 그동안 내 방에서 갇혀 있던 것이다. 사흘 동안 굶었을 생각을 하니 이만저만 미안한 것이 아니었다.
나는 두 손으로 손 감옥을 만들어서 나비를 가두었다. 나비는 그때서야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달았는지 힘차게 날갯짓을 했다. 손 감옥으로 나비를 가두기 전에 이미 내 방에 갇혀 있었는 데도 불구하고 나비는 자신이 오래 전에 갇혔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모양이었다. 창문을 열었다. 두 손을 펼쳤다. 나비는 잠시 내 손바닥 위에 앉아 있다가 이내 팔랑거리며 밖으로 날아갔다.
인간은 어쩌면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나비와 같은 운명인지도 모른다. 다만 운명이라는 감옥은 너무 커서 교도소 담이 보이지 않기에 우리는 그 사실을 모를 뿐이다. 우리는 자유로운 삶’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케이지에 갇힌, 철창 안에 가둔 다람쥐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다람쥐에 불과하다. 인간은 손 감옥에 갇히고 나서야 비로소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영화 <쇼생크 탈출 > 을 볼 때마다 늘 그 생각을 하고는 한다.
이 영화에는 야구공, 맥주, 리타헤이워드 영화, 레코드판, 도서관’이 등장한다. 가만히 살펴보면 다양한 문화 생활’이 영화 속에 뒤섞여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영화 속 죄수들은 문학, 영화, 음악, 스포츠, 음주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혜택’을 누린다. 사실 이 영화는 감옥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이 설정되었을 뿐, 감옥은 시계 테엽 장치 속 톱니바퀴처럼 반복되는 일상적 사회에 대한 은유이다. 그들은 죄수가 아니라 반복적인 삶에 찌든 우리의 자화상이다. 다만 여자들이 없을 뿐이다.
영화는 감옥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인생무상’을 이야기한다. 모건 프리먼’이 연기한 레드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감옥은 처음에는 끔찍한 존재처럼 보이지만 세월이 흐르면 익숙해지고 나중에는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말한다. 그게 인생의 비극이라고, 인간은 늘 감시와 처벌에 익숙해지는 존재라고, 이 세상은 거대한 판옵티콘이라고.하지만 앤디’는 그것을 부정한다. 그리고 탈출에 성공한다. 그는 맥시코 푸른 바다’가 보이는 곳에서 무동력 배’를 손질하고 있다. 레드’를 기다리면서 말이다.
< 독살 > 이라는 원시적 방법의 물고기 잡는 돌 그물’이 있다. “ 밀물 때 멋모르고 들어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뛰어놀다가 어느새 스멀스멀 돌 틈으로 썰물이 져서 미쳐 빠져나가지도 못 “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독살에 갇힌 물고기’는 썰물이 빠지고 나서야 그 넓고 푸르고 신나는 놀이터’가 감옥이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된다. 그것은 나비’가 내 방에 갇힌 심리적 이유이기도 하다. 나비 입장에서 보면 내 방은 너무 커서 자신을 가둔 감옥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쇼생크 탈출 > 에 나오는 죄수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며 안양 교도소 밖에서 자유를 누린다고 착각하고 있는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 김선태의 시, 독살
이 글을 읽는 당신도 갇힌 죄수’에 지나지 않는다. 갇혔다는 사실을 모르니 앤디처럼 탈옥을 시도할 생각도 하지 못한다. 영화 속 죄수들이 탈옥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불가능한 행위이기 때문이 아니다. 앤디가 증명했듯이 교도소는 과자로 만들어진 건물이다. 조금만 긁으면 커다란 구멍이 뚫리는 곳이다. 다만 그들은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있기 때문에 계속 갇혀 있는 것이다. 나비처럼 말이다. 그래서 그들은 탈옥을 하지 않는다. <자유>란 역설적이게도 자신의 몸이 쇠창살’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달은 자’만이 깨닫게 되는 숭고한 가치다. 당신은 그리스 지중해 해안 도시를 여행하는 꿈을 꾸며, 자유가 그립다고 징징대지만 사실 자유는 바로 코 앞에 있다.
당신은 감형 없는 무기수’다. 이 문장을 다람쥐 첫 바퀴 돌 듯 살아하는 여유 없는 현대인에 대한 은유라고 착각한다면 지금 당장 당신이 사는 방의 창문을 열어보라 ! 세로’로 길게 난 감옥의 쇠창살이 보일 것이다. 나는 당신이 창문을 열자마자 늘어놓을 뻔한 변명을 알고 있다. 당신은 이렇게 징징거릴 것이다. “ 이봐요, 곰곰생각하는발 씨 ! 이건 그냥 방범창이잖아요.“ 방범창’이라고 ? 맙소사, 이 지독한 과대망상 ! 그게 당신을 위한 위로인가 ? 지금 당신은 ( 도둑을 막기 위한 ) 방범창’이 설치된 안전한 방 안에서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 같은 도둑이 밖으로 도망칠까 봐서 준비한 튼튼한 쇠창살 안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당신은 독살에 갇힌 죄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