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 - 스티븐 킹의 사계 봄.여름 밀리언셀러 클럽 1
스티븐 킹 지음, 이경덕 옮김 / 황금가지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독살에 갇힌 죄수다.  

 

이른 가을이었던가 ? 열린 창문 사이로 나비 한 마리가 날아들었다. 나비는 내 방으로 들어와 나무의 섬유질로 만든 종이 책냄새를 맡으며 이리저리 호들갑스럽게 날아다녔다. 그날 밤, 나는 창문을 활짝 열어둔 채 잠을 잤다. 나비를 가두기 싫었기 때문이었다. 열린 창문 사이로 칼바람이 불었으리라. 몸이 으슬으슬 추웠다며칠을 앓았다. 그렇다고 떠나버린 나비를 원망하지는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벽 모퉁이에서 꼼짝도 않고 붙어 있는 나비를 발견했다. 날개 모양과 색깔로 보아서 며칠 전에 날아들어왔던 그 나비였다 나비가 나갔다고 생각했었는데,  나비는 그동안 내 방에서 갇혀 있던 것이다. 사흘 동안 굶었을 생각을 하니 이만저만 미안한 것이 아니었다.

나는 두 손으로 손 감옥을 만들어서 나비를 가두었다. 나비는 그때서야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달았는지 힘차게 날갯짓을 했다. 손 감옥으로 나비를 가두기 전에 이미 내 방에 갇혀 있었는 데도 불구하고 나비는 자신이 오래 전에 갇혔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모양이었다. 창문을 열었다. 두 손을 펼쳤다. 나비는 잠시 내 손바닥 위에 앉아 있다가 이내 팔랑거리며 밖으로 날아갔다.

 

인간은 어쩌면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나비와 같은 운명인지도 모른다. 다만 운명이라는 감옥은 너무 커서 교도소 담이 보이지 않기에 우리는 그 사실을 모를 뿐이다. 우리는 자유로운 삶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케이지에 갇힌, 철창 안에 가둔 다람쥐 놀이터에서 놀고 있는 다람쥐에 불과하다. 인간은 손 감옥에 갇히고 나서야 비로소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영화 <쇼생크 탈출 > 을 볼 때마다 늘 그 생각을 하고는 한다.

이 영화에는 야구공, 맥주, 리타헤이워드 영화, 레코드판, 도서관이 등장한다. 가만히 살펴보면 다양한 문화 생활이 영화 속에 뒤섞여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영화 속 죄수들은 문학, 영화, 음악, 스포츠, 음주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혜택을 누린다. 사실 이 영화는 감옥이라는 제한적인 공간이 설정되었을 뿐, 감옥은 시계 테엽 장치 속 톱니바퀴처럼 반복되는 일상적 사회에 대한 은유이다. 그들은 죄수가 아니라 반복적인 삶에 찌든 우리의 자화상이다. 다만 여자들이 없을 뿐이다.

 

영화는 감옥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인생무상을 이야기한다. 모건 프리먼이 연기한 레드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감옥은 처음에는 끔찍한 존재처럼 보이지만 세월이 흐르면 익숙해지고 나중에는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말한다. 그게 인생의 비극이라고, 인간은 늘 감시와 처벌에 익숙해지는 존재라고, 이 세상은 거대한 판옵티콘이라고.하지만 앤디는 그것을 부정한다. 그리고 탈출에 성공한다. 그는 맥시코 푸른 바다가 보이는 곳에서 무동력 배를 손질하고 있다. 레드를 기다리면서 말이다.

 

< 독살 > 이라는 원시적 방법의 물고기 잡는 돌 그물이 있다. “ 밀물 때 멋모르고 들어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뛰어놀다가 어느새 스멀스멀 돌 틈으로 썰물이 져서 미쳐 빠져나가지도 못 “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독살에 갇힌 물고기는 썰물이 빠지고 나서야 그 넓고 푸르고 신나는 놀이터가 감옥이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된다. 그것은 나비가 내 방에 갇힌 심리적 이유이기도 하다. 나비 입장에서 보면 내 방은 너무 커서 자신을 가둔 감옥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쇼생크 탈출 > 에 나오는 죄수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며 안양 교도소 밖에서 자유를 누린다고 착각하고 있는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 김선태의 시, 독살

이 글을 읽는 당신도 갇힌 죄수에 지나지 않는다. 갇혔다는 사실을 모르니 앤디처럼 탈옥을 시도할 생각도 하지 못한다. 영화 속 죄수들이 탈옥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불가능한 행위이기 때문이 아니다. 앤디가 증명했듯이 교도소는 과자로 만들어진 건물이다. 조금만 긁으면 커다란 구멍이 뚫리는 곳이다. 다만 그들은 자신이 감옥에 갇혔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있기 때문에 계속 갇혀 있는 것이다. 나비처럼 말이다. 그래서 그들은 탈옥을 하지 않는다. <자유>란 역설적이게도 자신의 몸이 쇠창살에 갇혔다는 사실을 깨달은 자만이 깨닫게 되는 숭고한 가치다. 당신은 그리스 지중해 해안 도시를 여행하는 꿈을 꾸며, 자유가 그립다고 징징대지만 사실 자유는 바로 코 앞에 있다.

 

 

 

 

 

 

당신은 감형 없는 무기수. 이 문장을 다람쥐 첫 바퀴 돌 듯 살아하는 여유 없는 현대인에 대한 은유라고 착각한다면 지금 당장 당신이 사는 방의 창문을 열어보라 ! 세로로 길게 난 감옥의 쇠창살이 보일 것이다. 나는 당신이 창문을 열자마자 늘어놓을 뻔한 변명을 알고 있다. 당신은 이렇게 징징거릴 것이다. “ 이봐요, 곰곰생각하는발 씨 ! 이건 그냥 방범창이잖아요.“ 방범창이라고 ? 맙소사, 이 지독한 과대망상 ! 그게 당신을 위한 위로인가 ? 지금 당신은 ( 도둑을 막기 위한 ) 방범창이 설치된 안전한 방 안에서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 같은 도둑이 밖으로 도망칠까 봐서 준비한 튼튼한 쇠창살 안에 갇혀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당신은 독살에 갇힌 죄수다.

 

 

 

 

접힌 부분 펼치기 ▼
morecontentstext">

 

 

펼친 부분 접기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 2013-05-30 0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글 중에 제가 쇼생크 탈출을 마음으로 영접하지 못한 이유 중 한 가지가 언급 돼있습니다.
다양한 문화생활. 전 그것도 그렇고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서 감옥 생활이 너무 수월한 거 아닌가..
싶어 좀 작위적, 인공적인 인상을 받았달까요. 물론 미국에선 실제로 감옥 환경이 그럴 수 있겠지만요.

그걸 떠나서.. 이 글이 제겐 참 좋네요. 감히 작품 저 너머의 또 다른 작품이라고 느끼며 읽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05-30 15:30   좋아요 0 | URL
네에. 리얼리즘으로 보면 충분히 그런 생각이 듭니다.
접근법은 모두 다르니... 저는 이 영화를 리얼리즘적 시각으로 보지 않고
일종의 우화로 보았습니다. 저번에 열 번 정도 보았다고 했는데 다시 보니 20번 정도 보았어요.
그러니깐 한번은 리얼리즘적 시각으로 보고, 다음은 우화로 보고, 다음은 스릴러 중심으로 보고 그랬던 것 같아요. 재미있는 사실은 관점을 달리하니깐 다 다르게 보이더란 말입니다... 하하.

소나기 2013-05-30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를 볼 때 곰발님은 카멜레온의 눈이 되는 듯해요.
저는 곰발님의 글살에 갇혀 즐거운 일인,

곰곰생각하는발 2013-05-30 15:31   좋아요 0 | URL
글살이라.. 먼가 좋은 말 같습니다그려.
김선태의 살구꽃이 피었다, 라는 시집이 있어요.
요, 시집 굉장히 좋습니다. 웃기기도 하고요. 시로 쓴 자산어보'라고나 할까요. 함 추천합니다..

히히 2013-05-30 1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서 사회 통념상의 자유가 결국은 구속임을 느끼게 하였습니다.
나병환자들이 소록도에서 뭍으로의 왕래에 제약이 없어졌는데도
배편을 이용하지 않고 몸을 바다에 던져 '탈출'을 시도합니다.
조백헌원장에게 보낸 이상욱의 편지에서 소록도가 "우리들의 천국"이 아닌 "당신들의 천국"인지 명쾌해집니다.
"섬사람들은 그들의 운명의 가르침대로 자유를 행해야 했고
자유로써 그들의 운명을 살아내야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끊이지 않은 탈출극의 윤리가 섬과 섬사람들의 내력 깊은 자유에 근거하고 있었음을
원장님께선 이해하고 계실 줄 믿습니다."
그냥 한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특수한 조건과 양보 위에 그것을 수락할 수 있는
문둥병환자로서만 이해하는 세상의 시선에서
탈출은 곧 자유입니다.
살아서 뭍에 도착하기 힘들다는 걸 알면서도 자유 의지로 몸을 던집니다.
자유,자유,자유....평화롭다에서 자유롭다로 변화합시다!

곰곰생각하는발 2013-05-30 15:32   좋아요 0 | URL
평화롭다에서 자유롭다로 변화합시다.
이 문장 굉장히 마음에 드는군요. 이거 제가 좀 써먹어도 되겠습니까 ?
사실 전쟁론자가, 원폭 투하 때에도 명분은 전쟁 종식에 의한 세계 평화였으니 말이죠.
평화로움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유로움을 위해 ! 이 말 참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