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상수의 14번째 영화 < 그 누구의 딸도 아닌 혜원 > 을 보다가 묘한 기시감에 시달린 적이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유준상과 예지원'이 나누는 대화'에서다. 그들은 안개 낀 남한산성'을 오르다가 바람에 펄럭이는 깃발을 본다. 예지원이 그 깃발을 바라보며 말한다. " 깃발이 얼마나 멋진 발명품이야, 이게 있으니 바람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잖아. " 명대사'다. 깃발은 사람이 바람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발명품이란다. " 멋지다, 홍상수 ! " 그런데 극장을 나서는 순간부터 이 대사에 대한 묘한 기시감'이 들기 시작했다. 어느 영화 속 한 장면이었을까, 아니면 롤랑 바르트의 < 사랑의 단상 > 에 나오는 문장이었을까 ? 의문은 엉뚱한 곳에서 풀렸다. 엘리어스 카네티의 < 군중과 권력 > 에서 이와 비슷한 문장이 나온다. 다음과 같다.
" 깃발은 보여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바람이다. 깃발은 구름에서 잘라낸 작은 조각과 같은 것이다. 다만 구름보다 더 가깝고 색깔이 요란한 뿐이다. 그리고 깃발은 한곳에 매어져 있고, 그 형태도 언제나나 일정하다. 정말 그것이 사람들의 눈길을 끌게 될 때는 그것이 펄럭일 때이다. 여러 민족들은 마치 그들이 바람을 쪼개기라도 할 수 있듯이 그들 머리 위의 대기를 자기의 것을 규정짓기 위해서 깃발을 이용하는 것이다. "
- 군중과 권력 中
우연일까 ? 홍상수는 이 책을 과연 읽었을까 ? 감독과의 대화'가 있다면 꼭 물어보고 싶다. 알라딘의 기준에 따르자면 < 사회학 일반 > 으로 분류되는 이 책'은 사회학보다는 철학에 가까우며, 문장은 문학보다 더 문학적이며 시적이다. 이러한 모호한 경계는 카네티가 소설가이면서 시인이었고, 극작가였으며, 인류학자 그리고 사회과학자'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문은 풀린다. ( 그는 그 누구보다도 뛰어난 사상가였다. ) 이러한 전방위적 재능'을 나는 아름다운 짬뽕이라 부르고 싶다. 프랑스에 롤랑 바르트가 있다면, 독일에는 엘리어스 카네티'가 있다. < 군중과 권력 > 은 독일판 < 텍스트의 즐거움 > 이라 할 만하다.
엘리아스 카네티'는 불가리아 태생으로 스페인계 유대인이었다. 그가 주로 머문 곳은 영국이었다. 하지만 그는 독일어만으로 작품을 썼다. 이러한 상황은 카프카를 연상시킨다. 카프카 또한 체코 혈통의 유대인이었지만 독일어'로 글을 썼다. < 군중과 권력 > 을 읽다 보면 한국 사회'가 보인다. 한국인 특유의 " 무리에 대한 강박적 집착 " 은 카네티가 이 작품에서 말하고자 했던 동물성'을 닮았다. 비로소 깨닫는다. 아파트와 학교는 거대한 버펄로 떼'다 !
< 욕 먹을 각오'로 쓴다 > 시리즈 1탄.
- 아파트 신화
대한민국은 왜 아파트 공화국'이 되었을까 ? 듣자 하니 서구에서 아파트'는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주거 형태'로 인식되는 모양이더라. 서구인들 눈에 거대한 강남 아파트 단지'는 거대한 할렘'처럼 보일 법하다. 사실 땅은 좁고 인구가 많아서 아파트가 발달했다는 주장은 씨알도 안 먹히는 소리이다. 서울은 그렇다고 치자. 인구 밀도가 높지 않은 지방에서도 아파트'가 꾸준히 건설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텅 빈 아파트가 남아도는 데'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아파트가 건설되고 있지 않은가 ?
내가 보기엔 안전한 < 집 - 단속 > 은 < 집단 - 속 > 이라고 인식하는 심리 때문인 것 같다. 무슨 말인가 하면, 한국인은 무리에 소속되어 있다고 생각할 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집이 단체로 모여 있는 것, 그래서 집단이다. 그러므로 아파트 단지'에서 아파트 입주자'로 산다는 것은 떼를 지어다니는 한 마리 버펄로나 (눈 덮인 킬리만자로의 표범이기보다는) 떼를 지어 사냥을 하는 하이에나로 남고 싶다는 열망이 만든 존나 웃기는 아우라다. 그들은 집단 속에 몸을 숨기고 의지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노래 한 곡 듣고 쉬어 가자. 조용필이 부릅니다. 킬리만자로의 표범.
이처럼 무리에서 떨어져나가지 않으려는 발악은 종종 대한민국에만 있는 진풍경을 연출한다. 전국의 노스페이스 교복化는 기이한 풍경'처럼 보인다. 네가 노스페이스 입었는데 난들 외면할쏘냐. 잇힝 ! 여기에는 무리에서 낙오되지 않기 위한 초식동물들의 본능적 공포가 읽힌다. 대한민국 사회가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뉜다면, 고등학교에서 가난한 놈인가 아닌가는 노스페이스'로 간보는 것이다. 이처럼 서열과 경쟁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정글인 학교'는 한 줌의 도덕을 가르치기보다는 차라리 사냥과 도주 방법'을 가르친다. 학교는 거대한 버펄로 떼'다. 사자가 노리는 것은 버펄로 떼'에서 벗어난 놈'이다.
그들은 낙오된 놈만 집중적으로 공격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버펄로에게 있어서 평화는 자기 동료'가 먹힐 때 찾아온다. 배 부른 사자'는 절대 다른 버펄로를 사냥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리는 이때 똥도 싸고, 히힝, 히힝 웃기도 한다. 여기서 왕따 학생은 무리에서 낙오되어 사자에게 먹히는 먹잇감'과 같은 존재다. 학생들은 이 희생을 통해 잠시 동안 평화를 얻는다. 한 놈이 괴롭힘을 당하면 나머지는 평화를 얻는, 이런 정글의 습속. 그래서 아이들은 못 본 채 한다. 1/ N . 한 놈이 고생하면 나머지는 편하다 !
어른들도 등산복을 좋아한다. 이제는 동네 뒷산인 도봉산을 오를 때에도 머리부터 발끝까지 등산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외국인들이 보면 도봉산을 히말라야 안나푸르나쯤으로 인식할 것이다. 나나 너나, 너나 나나, 개나 소나 할 것 없이 등산복을 갖추어서, 이제는 가벼운 차림으로 도봉산을 오르는 것도 눈치가 보여서 도봉산 꽃구경이 쉽지만은 않다. 한국인 특유의 체면과 무리에 대한 강한 욕망'이 만든 촌극이다. 유행은 사실 다른 말로 하자면 쪽팔리지 않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따라하는 취향이다. 아마도 프라임 시간대에 등산복 광고를 때리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하지 않을까 ?
아파트'는 이러한 무리 욕망을 실현시켜 주는 주거 형태'이다. 집이 모여서 집단을 만든다. 버펄로가 모여서 버펄로 떼를 이루듯이 말이다. 이제 아파트 부녀회장은 하나의 권력이 되었고, 임대 아파트 입주자는 다른 입주자들의 요구로 멀쩡한 길을 놔두고 뒷길'로 다닌다. 가끔은 힘을 합쳐서 아파트 근처 장애인 시설에 대한 반대 시위'를 주도하기도 한다. 병신들 모아둔 시설이 생기면 집값 떨어진다는 주장을, 그들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배설하기도 한다.
그동안 아파트는 부동산 불패 신화의 주인공이었다. 사람들은 그 신화를 믿었다. 인간은 죽지만 아파트 집값은 죽지 않아 ! 그들은 모두 하하가 되어서 죽지 않아, 를 외쳤다. 하지만 이제 곧 아파트 신화는 무너질 것이다. 아파트도 이젠 마이 아파 !! 아파트'라는 주거 공간은 국가, 생산자, 소비자'가 모두 각자의 욕망을 가지고 접근한 결과'였다. 이제 아파트는 골치 아픈 바벨탑이 되었다. 하여튼 대한민국 아파트 다 족구 하라 그래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