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늦은 안부
영화 << 벌새 >> 를 보는 내내 옛 친구'가 생각났다. 소녀의 성장담을 담은 영화에서 주둥이가 거무퉤퉤한 사내새끼를 떠올린다는 것은 불가능한 연상이었으나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중2 소녀의 성장담보다는 연락이 끊긴 옛 친구의 후일담이 궁금했다. 손가락이 유난히 길고 창백한 녀석이었다. 영화 모임을 통해서 만난 친구였는데 소심하고 띨띨해서 나한테 구박을 많이 받은 친구였다. 이런 표현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으나 이 표현보다 더 정확한 문장으로 그 친구를 묘사한다는 게 불가능해서 여러분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계집애 같은 친구였다. 그 친구가 서울대 음대 출신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는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서울대생도 띨띨한 친구가 있구나. 어느 날, 그 친구가 초대장을 내게 줬는데 피아노 연주회였다. 그 연주회에서 나는 그 띨띨한 친구가 무대 위에서 멋지게 피아노 연주를 하는 모습을 보았다. 묘한 배신감이 들었다. 조롱박 들고 밥 구걸하는 각설이인 줄 알았는데 백마 탄 왕자'였어라. 아마도 그때 내가 그에게서 느꼈던 것은 계급적 열등감이었을 것이다.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그날 이후로 내가 그 친구를 구박하는 일은 줄어들었고, 그만큼 사이도 서먹서먹해졌다. 우리 사이는 구박을 주고 구박을 받을 때 케미'가 터지는 관계였던 것이다. 관계가 다시 복원된 계기는 그 친구가 음악사를 전공한다며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고 난 후'였다. 친구는 일기를 쓰듯 내게 편지를 보냈고 나도 성심 성의껏 답장을 보냈다. 처음에 편지는 타지에서의 외로움과 학문에 대한 결의로 채워졌지만 어느 순간부터 그 편지가 내게는 연애편지로 읽혔다. 그 친구가 나에게 보내는 그리움은 남자끼리의 우정과는 사뭇 다른 것이었다. 나는 점점 그 편지들이 부담스러웠고 그 친구에게 답장을 보내는 일도 줄어들었다. 그러다가 어영부영 소식이 끊겼고 그후의 일은 모른다. 우린 각자의 길을 갔을 뿐이다. 그러다가 최근에 알음알음 연락을 취해 그 친구의 소식을 듣게 되었다. " 너 아직 모르고 있었구나 ? 그 친구, 서른이 되기 전에 사고로 죽었어. 교통사고였지, 아마...... " 친구의 뒤늦은 부고에 뒤늦은 눈물을 흘리는 것이 어딘지 부자연스러워서 한숨만 깊게 쉬었다. 오늘 선우정아의 < 그러려니 > 를 듣다가 네 생각을 했다. 나이가 들다 보니 만나는 사람은 줄어들고 그리운 사람은 늘어난다는 가사가 가슴에 사무치는구나. ○○아, 이렇게 뒤늦은 안부를 너에게 보낸다. 늦은 답장이어서 미안하다. 잘 지내니, 잘 지내겠지 ?
◆
이 노래를 처음 쓴 건 아마 2014년의 어느 밤이었다. 첫 구절의 테마가 문득 떠올랐고 이 테마는 한동안 마치 망령처럼 날 사로잡았다. 그리고 얼마가 지나 역시 괜히 센치했던 어느 날 밤, 피곤에 쩔은 손가락으로 더듬더듬 피아노를 녹음했다. 당시 내가 가지고 있었던 건 1절까지만의 테마였는데 이상하게도 끝까지 쭉 연주하게 되었다.
고백컨대 본인의 아르페지오 패턴의 연주는 그리 훌륭한 편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연주는 말 그대로 '더듬더듬' 진행되었지만 신기하게도 멈추지 않았고 결국 그 한 호흡에 이 곡을 완성하게 되었다. 곡이 끝나는 마지막 한 음을 누를 때의 기분은 너무나 아름다워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그 얼떨떨한 기분에서 채 헤어나오지 못한 상태에서 모니터링을 했는데 연주의 기술적인 아쉬움이 있었지만 그래도 이것으로 충분하다고 느꼈고 후에 편곡 작업을 하면서도 이때 녹음했던 피아노를 최대한 살리게 되었다. 그것은 매우 당연하게도 그 연주만이 그 순간의 감정을 가장 오롯이 담고 있었기에, 이후 말끔한 연주로 새로 녹음을 해봐도 그때의 그 감정을 온전히 되살릴 수 없던 탓이다.
편곡 과정에서는 다양한 공간이 느껴지는 소리를 표현하려고 했다. 자연히 피아노가 중심이 되었고 중간중간 감정의 고조에 따라 신쓰(Synth) 계열의 악기들을 넣었다. 입체적이면서 드라마가 풍부한 사운드를 만들고 싶어, 중심이 되는 피아노에도 공간감의 변화를 다양하게 주었다. 마치 피아노를 문으로 타고 과거와 현재를, 안과 바깥을 오가는 듯 말이다.
처음으로 영어 버젼도 함께 만들어 싣게 되었다. 이는 사실 작년 몇 차례의 유럽 공연의 영향이 있기도 했다. 영어 버젼을 만들어야겠다 마음을 먹고 제일 먼저 떠오른 건 니들앤젬(Needle&Gem)의 에릭. 지난해 함께 유럽 투어를 다녀오기도 했고 그의 감성이 이 노래와 잘 어울린다 느낀 까닭이다. 또 영어 가사로도 본래의 내용이 최대한 그대로 담겼으면 했는데 에릭이 정말 잘 표현해주었다. 에릭이 캐나다에 있었기 때문에 메일과 메신저로 의견을 주고 받으며 영어 가사를 완성했고 정규 2집부터 대부분의 작업을 함께 한 엔지니어 BA Wheeler의 디렉팅 하에서 레코딩을 진행했다.
미세한 감정선과 역시 미세한 차이의 발음을 함께 신경 쓰느라 쉽지 않았던 작업이었다. 무엇보다도 언어가 달라지자 거의 같은 내용임에도 음악적인 분위기가 달라졌는데 편곡을 통해 이런 차이를 표현하려고 했다. 그 결과 영어 버젼은 다른 악기 트랙 없이 피아노로만 진행하고 보컬도 공간계 이펙터를 최소한으로 사용했다. 정말 슬픈 노래이다. 너무 현실적이기 때문에 슬프다.
어른이 되어갈 수록 일상적인 슬픔은 삭히게 된다. 누구에게나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니 유난 떨지 않아야 하는 게 미덕으로 요구되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 곡은 슬픔에 겨워 마음껏 고조되지 않는다. 더 터질 것 같다가도 사그라들고, 목소리에 울음이 묻는가 싶으면 곧 지운다. 엔딩부에 쏟아지듯 터져 나오는 오케스트레이션으로 감정의 고조를 표현하지만 이조차도 곧 다시 잠잠하게 '그러려니...'라는 읊조림으로 삼켜지는 것이다.
미련이 없다는 말은 되돌리기 어렵다는 걸 받아들인다는 뜻일 거다. 각자의 삶은 갈 수록 복잡하고 바빠지고, 더 이상 어릴 때처럼 긴 고민 없이 '우리 다시 자주 만나서 놀자!' 라고 할 수 없으니까. 그저 그러려니. 잘 살겠지. 설령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누군가라 하더라도 이따금씩 그의 삶이 안녕하기를 빌곤 한다. 관계는 변해도 추억은 변하지 않으니 말이다.
p.s.
엔딩부에 한 번 들리는 아이들 소리는 옛날에 살던 아파트 베란다에서 녹음한 소리다. 아마도 여름 언저리였는데 방에 있는 베란다 창문을 다 열어두고 멍하니 있다가 늦은 오후 즈음 동네를 뛰어다니는 아이들 소리와 두부 장수의 종소리가 메아리치며 아련하게 들려오는데 그 순간 어떤 향수에 젖었다. 그래서 창문을 열어 마이크를 바깥 쪽으로 대고 녹음 버튼을 눌러놓은 채 하늘이 노을로 물들기 시작할 때까지 과거 생각에 하염없이 잠겨있었다. 그때 녹음한 그 소리들이 문득 떠올라 이 노래의 한 부분이 되었다.
-글: 선우정아
+
- 그러려니 영어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