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로 나 이 후 의 시 대 :
로맨틱과 멜로의 차이점
영화에서 로맨스(틱) 장르와 멜로 장르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로맨스(틱) 장르는 녀남이 오고가다 우연히 자주 만난다. 대표적인 경우가 영화 <<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 이다.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 아니라 정말로, 정말루, 진짜루 우연히 자주 마주친다.
반면에 멜로는 만나야 하는데 만나지 못하고 서로 어긋나는 장르다(혹은 결정적 순간에 만나지 못하는 장르다). 어긋남이라는 키워드야말로 멜로의 진정한 에토스'다. 영화 << 파이란 >> 에서 최민식과 장백지는 아슬아슬하게 간발의 차이로 서로 마주치지 못한다. 그럴수록 관객은 환장하게 된다. " 두 사람, 좀..... 만나게 해줍시다, 네에 ? " 전자는 만남의 기회가 자주 발생할수록 재미있고 후자는 만남의 기회를 박탈할수록 슬프다. 그렇기에 두 장르는 서로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정리하자면 : 로맨틱 코미디는 두 사람을 서로 붙여 놓아야 재미를 유발하는 장르이고 멜로 드라마는 두 사람을 서로 떨어뜨려 놓아야 재미(?)를 유발하는 장르이다. 그렇다면 < 붙이다ㅡ > 와 < 떨어뜨리다 ㅡ > 를 다른 동사로 대체하면 어떻게 될까 ? 전자는 " 뭉치다 " 로, 후자를 " 흩어지다 " 로 대체 대입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눈치가 빠른 독자'라면 글쓴이의 의중을 쉽게 간파할 것이다.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 " 코로나 이전 사회가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사회였다면 코로나 이후 사회는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사는 사회'이다.
이제 세계는 빠르게 비접촉 비대면 랜선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1인 가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재택 근무와 온라인 수업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에 편입되었으며 빠르게 자리를 잡고 있다. 코로나 이전 사회가 < 뭉치면 > 서 살았던 사회 라면 코로나 이후는 < 흩어져 > 서 살아야 하는 사회'다. 그런 점에서 코로나 이전 사회는 로맨스 장르였고 코로나 이후는 멜로 장르'인 셈이다. 멜로 사회가 도래하면 극장이나 공연장은 문을 닫을 것이다. 영화는 극장에서 보아야 된다는 주장을 하기에 앞서 필름 카메라가 어떻게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으로 궤멸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 경험 > 이 아니라 가상 현실을 < 체험 > 하는 것이다. 비접촉 비대면 랜선 사회는 지금까지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코페루니쿠스적 전회'다. 이제 인간은 디지털 로빈슨 크루소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격변하는 시대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고독을 준비하는 일이다. 낭만은 끝났고, 진짜를 경험하는 것보다 가짜를 체험하는 시대가 도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