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씨네21 No.1243 : 2020.02.25 - <기생충> 스페셜 에디션
씨네21 편집부 지음 / 씨네21(주간지) / 2020년 2월
평점 :
품절
기 생 충 과 화 엄 :
시각적 쾌락 너머
- < 화엄 Majestic Splendor, 1997 > 이불
여기 98마리의 물고기가 투명 비닐백에 담겨 미술관 전시실 벽에 걸려 있다. 바늘 달린 비즈 구슬( and 스팽글)이 물고기 몸에 촘촘히 박혀 있다. 그 무엇보다 화려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전시된 생선은 썩기 시작하고 이내 악취가 진동하기 시작한다.
어제보다는 오늘의 전시가 더욱 고약한 악취를 발산한다. 설상가상 미술관은 악취를 감추기 위해 방향제와 탈취제와 향수를 살포한다. 악취와 향수가 겹쳐지는 순간, 더욱 고약한 악취로 되돌아온다. 은폐가 오히려 확산의 주범이 된다. 전시의 종착역은 명약관화하다. 생선의 몸은 결국 물과 휘발성 기체로 변하고 결국에는 뼈와 싸구려 인조 장식품들만 남는다. 설치 미술 작가 이불(LEE BUL)의 의도는 분명하다. 플라스틱 꽃으로 화장한 물고기의 시각적 쾌락 너머 썩어가는 몸의 후각적 본질을 보라 ! 1997년 뉴욕현대미술관에 전시되었다가 악취로 인해 며칠 만에 강제 철거된 설치 미술 작품 << 화엄 Majestic Splendor >> 이야기'다1).
작가의 고백에 따르면 : 비즈 공예에 사용되는 구슬은 작가가 어릴 때 어머니가 부업으로 구슬백 만드는 일을 한 것에서 출발했다. 이 작품에 사용된 " 구슬 " 이라는 오브제는 가난한 여성에게는 생계 수단이지만 부유층에게는 부의 표식이었다. 또한 그것은 살의 비천함을 감추기 위한 코르셋이기도 하다. 영화 << 기생충 >> 을 다루면서 이불의 << 화엄 >> 을 소환하는 이유는 냄새라는 키워드로 매우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한 작품이라는 공통점 때문이기도 하지만 두 작품은 욕망과 억압 그리고 폭로'라는 구조의 유사성 때문이기도 하다.
기택(송강호 분) 가족에게 있어서 박사장 가족은 자신들이 욕망(하는 판타지의 재현)의 투사'이다. 그러므로 기택 가족은 박사장 가족의 욕망을 욕망한다. 라캉의 말을 빌리자면 "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 " 7년 전 구상한 제목이 원래는 << 데칼코마니 >> 였다는 점은 " 나의 욕망은 곧 타자의 욕망 " 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이 영화에서 짜빠구리 못지않게 회자되었던 것은 박사장 집 인테리어 소품-들'이었다. 쓰레기통 가격은 250만 원이었고, 식탁 테이블 가격은 500만 원이었으며, 의자는 2500만 원짜리 소품이었다고 ??!!!! 바로 이 소품들은 << 화엄 >> 에서 죽은 물고기의 살을 파고들었던 바늘 달린 구슬이다.
250만 원짜리 쓰레기통 소품은 시각적 쾌락을 극대화한 바늘 달린 플라스틱 오브제이면서 비천한 몸(본질)을 감추는 코르셋'이다. 우리는 흔히 지하실에 갇혀 사는 근세 가족과 기택 가족을 동일한 계급의 연장으로 보지만 사실 근세의 페르소나는 기택이 아니라 박사장'에 더 가깝다. 식구(食口)의 사전적 의미가 " 한 집에서 함께 살면서 끼니를 같이하는 사람 " 이라는 점에서 근세는 박사장의 식구이자 동거인이며 불쑥 튀어나온 이드'이다. 그것은 박사장 집 지하실에 가둔 박사장의 리비도(무의식)'이다. 그렇다면 냄새의 주체는 누구인가 ? 당연히 그 냄새의 주체도 박사장이다.
박사장은 자신의 몸에서 나는 냄새에 코를 막고 인상을 찡그리고 있는 것이다. 냄새의 출현으로 인하여 기택이 깨닫는 것은 자신이 리스펙했던 타자의 정체다. 기택은 미쳐 날뛰는 근세의 사회화된 캐릭터가 박사장이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1) 화엄 , 1997 : 이 작품은 죽은 생선을 구슬과 시퀸(sequin) 등 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비닐에 담아 벽을 빽빽하게 채웠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물고기들이 부패하는 과정을 작업의 과정으로 삼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생선들은 부패하였고 비닐 속에는 생선 썩은 물이 고였으며 썩는 냄새는 온 미술관을 덮었다. 뉴욕현대 미술관은 전위적인 작품의 경연장이라 할 만큼 엽기 적인 소재의 작품도 흔히 전시를 하는 곳이나 이불의 [화엄]만큼은 그들이 감당하기 힘들었다. 급기야 작품은 전시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철거되었다. 현대 미술은 썩은 생선이든 그 어떤 재료든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반증적으로 보여준 전시이기도 했다. 생선의 몸은 결국 물과 휘발성 기체로 변했고 싸구려 인조 장식품들만 남았는데, 생선은 여성의 육체를 장식품으로 간주되는 한국 문화에서의 여성성을 함축적으로 의미한다. 그녀가 생선을 화려하게 꾸며 작품을 제작한 모티브는 유년시절 어머니가 가내 수공업으로 시퀸을 붙여 장식하는 수출용 가방을 만들었던 기억으로부터 연유되었다. 시퀸은 경제 발전에 공헌한 한국 여성의 값싼 노동력의 상징이고, 썩어가 는 생선은 몸 바쳐 희생하는 여성의 미덕과 그를 당 연시하고 강요하는 사회적인 관습에 대한 반기로서 작용한다. 노동으로 장식된 생선을 통해서 계급과 젠더에 있어서의 한국 여성의 환상과 무상함을 표상하려 하였다(채드웍 2006). 하지만 정작 그녀에게 “페미니스트이냐?” 라고 질문 하면 “과거에는 그랬으나 지금은 아니다.”라고 대답한다. 페미니즘이라고 단정 짓는 것이 자신의 작품을 국한되고 한정되게 한다는 생각에서이다.
- 음식을 소재로 한 현대 여성미술가의 작품 연구, 나정기 김형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