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의 서재는 둥지이다

 

 

책들을 위한 집

20대부터 자연스럽게 제 방은 나를 위한 방이라기보다 책을 위한 방이었습니다. 서재가 따로 있었던 것이 아니라서 거기서 책과 함께 자고 먹고 놀고 다했죠. 그래서 어떤 공간을 보면 먼저 책을 둘 장소부터 생각하게 됩니다.
이 집을 처음 만났을 때 내부는 텅 빈 채 골조만 올라가 있는 상태였어요. 천정이 높다는 이유로 덜컥 이곳으로 이사를 결정했습니다. 천장이 높으면 책을 많이 넣을 수 있겠다 싶어서였지요. 제가 외부에 작업실을 두고 작품을 쓰는 체질도 아니고 우리 식구는 같이 글을 쓰는 사람들이기에 집안에 서재가 두 개는 필요했어요. 그래서 그냥 집 자체를 서재화, 작업실화 시켰습니다. 그래서 문을 열어놓고 외출해도 걱정이 없을 정도에요. 책 말고는 가져갈 게 없으니까요(웃음). 하지만 이러한 서재를 만들기 위해 일상적인 것들을 많이 포기했고 그것이 나중에 저를 많이 불편하게 하더군요. 책꽂이를 하나 더 만들기 위해 2층 화장실을 포기하는 등 오로지 책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생활적인 면에서는 많이 불편해졌습니다.
하지만 이 많은 책들을 보며 '이것을 내가 가지고 있구나'. '너무나 많은 것을 내가 누리고 있구나' 하는 묘한 안도감과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아직도 빈 책꽂이가 많아서 앞으로도 상당기간 마음 놓고 책을 꽂을 수 있다는 사실이 참 기쁩니다.


다 읽고 나니 봄이 왔고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3개월 동안 읽었던 삼성출판사의 한국문학 전집 60권은 저의 자양분이었어요.
낮에도 창에다 검은 도화지를 붙여 방을 어둡게 하고 불을 켜고 읽었죠. 겨울에 읽기 시작했는데 다 읽고 나니 봄이 왔고 뭔가 다른 힘이 생긴 듯이 든든해졌죠. 문학을 하다 보니 여전히 문학신간 위주의 독서가 주가 되긴 하지만 작품을 쓰다 보면 필요에 의해 하게 되는 독서도 상당수 있어요. 이를테면 낚시꾼을 묘사하기 위해서 낚시입문 서적을, 토끼를 등장시키기 위해 토끼 기르는 법에 관한 책을 읽기도 합니다.
30대 지나면서는 저절로 심리학, 정신분석 ,역사, 철학, 미술 ,신화 쪽으로 관심을 두게 되었습니다.도스토예프스키는 다 읽기가 벅차서 악령 빼고는 나중에 나이 들면 읽어야지 하고 미뤄놓기도 하고 이방인 같은 작품은 매년 한 번씩 다시 읽어보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전기나 자서전 ,평전을 읽는 재미에 푹 빠졌어요. 스콧니어링 자서전이나 로렌 아이슬리 자서전 ,로맹 가리 전기를 보면서 저는 그렇게 못 살았지만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나 많은지 그 영역이 얼마나 광활한지를 실감하죠.
그때마다 인간에 대한 신뢰가 싹트기도 합니다.

한 권의 책은 곧 한 명의 사람

서재는 제 보금자리이자 둥지여서 따로 분리가 안 되요. 그냥 함께 사는 것이지요. 책도 그래요. 한 권의 책은 곧 한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한 권의 책을 읽는 다는 것은 한 사람과 깊이 소통하는 일과 같습니다. 모르고 있던 해박한 지식이나 세상의 수많은 낯선 이야기들을 알 수 있으니 사실 나로서는 득만 보는 소통이 되겠네요. 그들을 통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인간이라는 존재가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아가는 지에 대한 교감을 통해 세상을 알아가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에게 책은 곧 사람이고 저 자신이기도 합니다.

 

미셸 투르니에처럼

햇볕이 잘 드는 한낮에 블라인드를 다 올려놓고 책장을 올려다 보며 서재 바닥에 누워볼 때가 있어요. 바닥이 타일이라 차가워요. 그래도 마치 마당에 누워 있는 것처럼 아늑하답니다. 제겐 조카들이 많은데 그들이 몰려와서 서재에서 이 책 저 책 들춰보며 뒹굴기도 하고 책을 읽는 것을 볼 때면 기분이 참 좋아요. 그래서 프랑스의 미셸 투르니에처럼 주변 사람들과 나눌 수 있는 서재를 만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는 오래된 수도원을 구해서 집으로 여기고 사는데 항상 문을 열어두어 온 동네 아이들이 수시로 드나들며 논다고 해요. 투르니에가 없을 때도 말이죠.
나중에는 소중한 책을 낸 저자들도 초대해서 낭독회를 가져볼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당장 할 수 있는 일도 아니고 동의도 구해야 하는 일이니 정말 먼 훗날쯤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네이버 홈피 '지식인의 서재'중에서 

네이버 메인화면을 보면
지식인의 서재라는 코너가 눈에 띈다.
현재 13명의 지식인의 서재를 찾아가 인터뷰를 하여 실은 코너인데 꽤 흥미롭다.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지식인들을 찾아갔는데 '지식인'이란 단어가 내내 눈에 거슬리긴하나,
그들의 어릴적부터의 독서생활이나 습관,자신의 가치관에 귀기울여 듣노라면 문득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그중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작가가 두 명 눈에 띈다.
신경숙과 김훈작가의 서재도 실려 있는데 특히나 신경숙작가의 서재 사진을 보고 가히 입을 다물 수가 없었다.어쩜~~하다가 그리고 역시~~ 라는 생각이 든다.
그녀의 서재가 많이 부럽고 탐난다.
안그래도 창작블로그에서 올라오는 그녀의 소설 읽는 재미에 흠뻑 빠져 있는지라 서재사진을 보고 나니 그녀의 소설을 읽을적엔 간혹 그녀의 서재 한 켠에 앉아서 그녀의 작품을 읽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곤 한다.
나는 언제쯤 저런 멋진 서재(앞서 책들을 위한 집)를 가질 수 있을까?

그전에 독서가 먼저여야하겠지만.....
 


댓글(12)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책나무님 고구마가 너무 맛나요
    from 잡식성 귀차니스트의 책읽기 2009-10-27 23:51 
    벌써 도착했네요. 정말 빨라요. 아이들이 더 좋아하네요.  친정어머님이 농사지으신 고구마를 이리 덥썩 받아서 어쩌나 싶어요. 따님이랑 손주들 먹이려고 얼마나 힘들게 농사지으셨을까요? 다른 어떤 것보다 이렇게 손수 농사지은 작물을 받을때는 더 고맙고 맘이 짠합니다. 농사야말로 거의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지난한 과정인걸요. 아이들 입던 헌옷과 비교할 수 없는 감사한 선물이었습니다.  양이 얼마 안된다고 하시더니
 
 
비연 2009-08-08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신경숙의 서재를 보고는 정말 감탄사가 절로 나왔더랬습니다.
책 좋아하는 사람들의 로망이죠..흑

책읽는나무 2009-08-20 08:20   좋아요 0 | URL
맞아요.
멋진 서재를 가져보는 로망은 언제쯤 실현될까요?
항상 책만 가지는 자가 먼저인가?
소장하지 않아도 읽은 자가 먼저인가?
이 두 가지를 놓고 고민을 많이 하는데 그래도 책을 가지고 내서재를 가져보는 게 소원이 되기도 하네요.

프레이야 2009-08-09 1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식인의 서재, 저도 네이버에서 보고 감탄하고 부러워했어요.
김훈, 이적의 서재와 동영상도 좋더군요.^^

책읽는나무 2009-08-20 08:17   좋아요 0 | URL
저도 기억에 남는 서재인들이 신경숙과 김훈 그리고 이적 만화가 이현세도 기억에 남네요.
어릴적 독서에 관한 기억들을 논할때는 이적과 이현세가 인상적이었어요.
이적은 공부하시는 어머니곁에 같은 거실에서 삼형제가 나란히 독서를 했었던 그시간이 참 행복했었다고 추억할때 참 부러웠어요.
참 여유있고,행복했겠다라는 느낌이 절로 오더라구요.
그리고 이적을 다시 바라보게 되기도 했구요.^^

치유 2009-08-19 0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보며 감탄하며 역시..했더랍니다.저 역시 김훈서재도 좋았어요..
책많은 서재무조건 좋아하는 버릇만은 분명 아니였구요..

책읽는나무 2009-08-20 08:14   좋아요 0 | URL
맞아요.김훈 서재도 인상적이었어요.
막장에 비교한 것도 인상적이었구요.김훈작가는 글쓰는 작업들이 정말 막장에서 일한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서재를 막장으로 생각하고 있으니 글쓰는 것도 광부가 일하 듯이 하는가봐요.^^
모두들 자신의 서재를 나에게 어떤 무엇이다라고 대답하는 모든 장면들이 참 괜찮더군요.

2009-08-27 13: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영엄마 2009-08-28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나무님~ 막내는 이번 여름에 옷 한 벌 안 사고-절대 엄마가 짠순이라서 그런 거 아녀요~-, 님이 보내주신 옷들로 여름 한 철 잘 입고 보냈답니다. 늘 고마운 마음으로 아이에게 옷을 입히고 있어요.
아래 글보니 쌍둥이도 이제 많이 컸군요. 아이들이랑 여행도 다니시고, 부럽네요.

책읽는나무 2009-08-30 10:10   좋아요 0 | URL
헌 옷을 제대로 부쳐드렸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여름 한 철을 보내셨다니 민망하기도 하고 기분 좋기도 하고 그렇네요.^^
사실 저도 바람돌이님께 해아와 예린이 옷을 몇 년전에 물려받아(사실 엊그제 또 한 박스를 받았더랬어요.^^) 그 옷들 잘 입히고 몇 벌은 님의 따님께 간 것도 있어요.이집 저집 옷을 물려받다보면 그 옷들 입히기 바쁘게 계절은 금방 지나가더이다.그래서 요즘 전 한 계절에 외출복 한 벌씩 또는 내복이나 속옷만 사도 무던하게 보낼 수 있더라구요.
내년에 유치원을 가게 되면 또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이젠 애들이 좀 커서 자주는 아니지만 여행도 다닐 수 있고 그렇네요.
애들이 참 많이 컸다는 걸 느껴요.^^
님도 내년 한 해만 더 고생하신다면?
그리고 위에 언니들이 둘 이나 있어 내년쯤엔 많은 도움이 되시지 싶어요.
힘 내세요.^^

2009-10-26 0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0-26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로 2009-10-28 0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신경숙작가의 저 서재를 보고 혀를 내둘렀는데,,,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제일 부러운 곳은 서재가 아닐까 해요~.
저도 제 서재를 갖는게 로망인데,,,어느 세월에~.ㅎㅎㅎ

그전에 독서가 먼저라는 일침은 따끔합니다~.ㅎㅎ
잘 지내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