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독자의 정의 네 가지를 골라보라고 하여,
2번, 7번, 8번, 10번을 골라 얼추 정답을 맞췄나 보다!
기뻤으나, 그것도 잠시....
독자의 상상력 편에서 나는 아주 형편없는 수준 낮은 상상력의 독자였다는 것을 확인!!!!!!
앞으로는 예술가의 열정과 과학적인 참을성을 갖춘
훌륭한 독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겠구나!
를 깨달았다.
헌데...이런 기질 갖추기는 참 쉽지 않은데....
마지막에 이런 문장이 있다.
˝현명한 독자는 마법을 흠뻑 느끼기 위해서 마음이나 머리가 아니라 척추로 천재의 작품을 읽습니다. 글을 읽을 때는 반드시 어느 정도 초연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틀림없이 찌릿찌릿한 느낌이 오는 곳이 바로 척추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감각적인 동시에 지적인 기쁨을 느끼며, 예술가가 카드로 성을 쌓는 모습, 그 성이 아름다운 강철과 유리의 성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지켜보게 될 것입니다.˝(52쪽)
척추로 책 읽기!!!!
그래, 이제부터 코어 운동 열심히 해서,
척추로 찌르르 감동 제대로 느껴 보는 독자가 되도록 노력해 보자.

긴 순회강연중에 들른 외진시골 대학에서 어느 날 저녁 나는 작은퀴즈를 냈습니다. 독자의 정의 열개를 주고, 학생들에게 훌륭한 독자의 정의가 될 수 있는 네 개를 골라보라고 한 겁니다. 그 열 가지 정의 목록을 어디에 두었는지 지금은 찾을 수가 없습니다만,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고 기억합니다. 훌륭한 독자의 정의 네 개를 골라보세요.
1. 독자는 북클럽 회원이다. 2. 독자는 작품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3. 독자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에 집중한다. 4. 독자는 액션과 대화가 없는 작품보다 있는 작품을 선호한다. 5. 독자는 지금 읽고 있는 책을 영화로 본 적이 있다. 6. 독자는 새로 싹을 틔우는 작가다. 7. 독자는 상상력이 있다. 8. 독자는 기억력이 있다. 9. 독자는 사전을 갖고 있다. 10. 독자는 예술적인 감각이 있다.
주인공과의 동일시, 액션, 사회경제적 측면이나 역사적 측면을 고른학생이 많았습니다. 물론 여러분이 짐작했듯이, 좋은 독자는 상상력, 기억력, 사전, 약간의 예술적 감각을 지닌 사람이죠.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나 자신은 물론이고 남들에게도 예술적인 감각을 계발하라고 말합니다. - P46
그러나 독자에게는 적어도 두 종류의 상상력이 있습니다. 이 두 종류중 어떤 것이 책을 읽을 때 적합한지 살펴볼까요? 첫째, 비교적 수준이 낮은 상상력입니다. 단순한 감정에 의지하는 이 상상력은 확실히 개인적인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이런 감정적인 독서에도 다양한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책을 읽다가 자신이나 아는 사람이 겪은 일이 생각나서 책 속의 상황을 강렬하게 느끼는 독자가 있습니다. 또는 자신이 과거의 일부로서 그리워하고 있는 지방, 풍경, 삶의 방식이 떠오른다는 이유로 책을 소중히 여기는 독자도 있습니다. 또는 독자가 책 속의 등장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마지막 사례는 독자가 할 수 있는 일 중에 최악입니다. 나는 독자가 이 수준 낮은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을 별로 바라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독자가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도구는 무엇일까요? 개인적인 특성과 상관없는 상상력과 예술적인 기쁨입니다. 나는 독자의 정신과 작가의 정신 사이에 예술적이고 조화로운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 P48
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책과 약간 거리를 두고 그 상태에서 즐거움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그 걸작의 내적인 짜임새를 열렬히 즐겨야 합니다. 눈물을 흘리고 몸에 전율이 일 만큼 열정적으로 즐겨야 합니다. 이럴 때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합니다.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어느 정도 주관적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이렇게 앉아 있는 모습이 어쩌면 내 꿈에 불과한지도 모릅니다. 나는 여러분에게 악몽인지도 모르죠.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독자가 언제 어디서 상상력의 고삐를 죄야 하는지 반드시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작가가 자유자재로 사용한 구체적인 세상을 명확히 파악하려고 애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책 속에 나오는 것들을 보고 들어야 합니다. 방안의 모습, 옷, 책속 인물들의 행동을 눈으로 보듯 그려보아야 합니다. 『맨스필드 파크』에서 패니 프라이스의 눈 색깔과 그녀의 춥고 작은 방을 채운 가구들은 중요합니다. 우리는 저마다 기질이 다릅니다. 내가 지금 당장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독자에게 가장 좋은 기질은 예술적인 기질과 과학적인 기질의 조합이라는 것입니다. 열정적인 예술가 기질만으로는 책에 대해 지나치게 주관적인 태도를 취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과학적이고 냉정한 판단력이 그 직관적인 열기를 식혀줄 겁니다. 하지만 예술가의 열정과 과학자의 참을성이 전혀 없는 독자라면 위대한 문학을 즐기기 힘들 겁니다. - P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