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는 나에게 매번 왤케 착하냐고 하지만 나는 착하지 않다. 착한 척을 하는 건 더더욱 아니다. 내 안의 신랄한 공격성을 나는 알고, 어쩌면 나만 알지. 집-일-도서관(혹은 카페)이 일상이고 전부인 내가, 유일한 낙이었던 습관성 알콜마저 책 읽으려고 줄여버린 내가, 겉으로 보기에는 도덕주의자(?)처럼 느껴질 수 있는 건 사실이다. 


게다가 난 딱히 바른 생활을 염두에 두지 않아도 규율이나 규칙을 지키고 예의를 차리는 쪽에 가깝다. 음. 🤔 확실히 자신과의 약속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을 더 중요시하는 체면 차리는 사람이다, 난. 그러기 싫은 데도 이미 내면화 되어있음. 덧붙여 나를 주장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소심함도 있다. (소심하지만 발작 버튼 눌리면 어려웠던 것까지 포함해서 더 심각하게 쏟아냄 -> 그런 모습의 내가 싫어서 점점 더 주장이 어려워짐 -> 차라리 글을 씀) 


이런 내가 사회의 정상성/규범을 문제시하며 한계경험(동성애, 마약, bdsm…?)이라는 것을 좇는 푸코를 좋아하는 까닭은 뭘까 나 자신도 궁금했다. 특별히 어떤 금지의 위반을 통해 쾌락을 느끼는 사람이어서는 아니다. 조금 고상하게 말하면 지적 모험에서 용감해지고자 하는 것이 내(완고한 불복종의?) 성향이라면 성향일 텐데… 


나의 그런 부분(착하지 않아서 공부하는)을 알려준 문장들을 읽었기에, 잊지 않으려고 끄적끄적 해본다. 



<푸꼬의 수난 2>를 읽다가 이런 단어를 발견했다. 푸코 아니고 푸코가 사랑한 니체에 대한 설명들인데.


“(23) 철학자만이 갖는 고유한 잔인성” 

“(24) 니체의 앎의 의지에는 ‘살인과 같은 것, 인간의 행복과 모순되는 무언가’가 있다.”

(내게 있는 잔인함은 내가 공부하게 하는 동력이다.)


니체는 문명화된 사회에서 인간 본연의 동물성(잔인함, 잔학함, 포악함)이 탄핵되면서, 어쩔 수 없이 그 표출되지 못한 동물성(충동/권력—니체曰: 잔인함을 실행하는 것은 최고의 권력감을 맛보는 것이다, 아무런 금지 없이 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잔인해지는 것이 된다—)을 자신 내부에서 전개시키게 되었으며, 그걸 ‘영혼’을 개발했다!라고 설명하는 데. (이것은 내가 이해한 바에 대한 거친 정리이며, 인간의 영혼이 곧 인간의 동물성은 아니다. 니체 잘 알 님 덜, 만약 심각한 오독이라면 지적 바랍니다~ 아니면 냅둬주시구랴 클클)


여기서 영혼 어쩌고 할 것은 아니고. 내가 하고 싶은 말만.


나는 인간이 유기체이기에 갖는 어떤 동물성, 포악함, 잔인함을 긍정/부정도 하지 않고 그것이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는 지점에서 니체에 동의한다. 그것을 잘 처리해야~한다~라는 당위로 설명할 생각이 거의 없다. (아직 공부가 부족해서…일지도 모르겠음.) 잔인함. 폭력성. 혹은 권력 의지. 그건 나에게도 있다. 나는 내가 죽이고 싶은 인간을 죽이고 싶지도 않다. 죽는 건 편한 일이니까. 그가 처절하게 스스로를 인식하면서 괴로움에 몸부림쳤으면 좋겠다. 온 땀구멍에서 수치감을 흘렸으면 좋겠고, 그를 무시하는 사람들의 시선에 랜덤으로 노출시키는 영원한 형벌을 내리고 싶다. 사회 속에서 사회적으로 고통받으라! 나는 착하지 않다. 나에게도 나 스스로가 제어하기 힘든 어떤 충동들이 있다. 악랄한 저주, 깊숙한 우울, 무엇보다 분노. 가끔 방향을 못 찾아 나를 공격하기도 하는 분노가 있다.


자, 그렇다면. 예술이나 범죄, 악플 달기나 몰래 하는 일탈이 아니라 어떻게 철학함(혹은 공부함/사회가 인정해 주는 일반적인 공부는 아니고 그냥 내가 좋아서 하고 있는 내 수준에서 해내는 이런저런 읽고 쓰기들…)이 잔인함(혹은 내 경우 어떤 동물성의 표출) 일 수 있단 말이지?


난 여기서 니체의 천재성에 탄복하고 마는데. 


철학자가 앎의 의지를 추구해 가면서 그것을 성실하고 정직하게 직면해 나가다 보면 마침내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것은 “(23) 진리라는 관념이 그 자체 허구의 일종”이라는 것.인데. “이러한 정직성은 허무주의로 끝날 위험이 있다” “사회가 제대로 기능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세계 내에서 가정에서와 같은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규칙들, 전제들, 확신들을 파괴시키는 철학자들의 앎의 의지는 ‘일종의 숭고한 사악함’이다”



네, 저는 앎의 의지 주체 못하고 페미니즘 읽다가 심연을 봐버렸습니다. 결혼제도 및 가족제도와 재생산과 관습적 이성애와… 뭐 여타의 모든 것을 포기. 꼭 그렇게 살아야 해?라고 물으신다면. 이제 포기가 되었기에 원하지 않게 되었을 뿐입니다. 꼭 그렇게 살겠다는 다짐은 아님. 제도로서의 그것들을 추구하지 않게 되었다는 뜻인데. 또 심오해지는데요, 나의 권력 의지를 포함한 감정과 실존을 제도가 주는 편안함에 의탁하지 않겠다는 말입니다. 나는 나를 살겠다. 나에게 끝까지 물어보겠다는 결단에 가깝죠. 제도를 거스르겠다 거부한다는 아님. 나, 히피 아님.  


사실 포기하기 싫기도 했고, 적막한 혼자가 될까봐 두렵고, 괴로웠는 데. 쭉— 나의 의존성을 직면하고 헤아리면서 포기시키고 나니 다른 의미로 홀가분해지고 원하는 만큼까지 명랑해졌다. 


하. 참으로 괴로운 시간들이었구려. 마침내, 붕괴, 되었던. 내가 믿어온 모든 것들을 다 허물어야 하는. 앞으로도 기약은 없지만 이제 정말 상관없다. 


비비언 고닉은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58) 예지력 있는 페미니스트들이 200년 동안 갖고 있던 통찰이 내게 찾아왔다. 내 삶을 지배하는 힘은 오직 나 자신의 생각을 꾸준히 다스리는 일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는 통찰이었다. 말로 하기는 쉽지만 해내려면 평생이 걸리는 일이었다. 나는 마치 처음인 것처럼 책상 앞에 앉아 생각을 유지하는 법을 배우고자 했다. 생각을 통제하고, 확장하고, 내게 도움이 되도록 만드는 법을. 그러나 실패했다. 

다음 날 나는 다시 책상 앞에 앉았다. 또 실패했다. 

(60) 내게 있어 페미니즘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것이 로맨스가 아니라 힘겨운 진실을 더 소중하게 여기게 해주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여전히 힘겨운 진실을 추구한다. 

(61) 그렇다면 나는 어디에 있을까? 끊임없는 투쟁 속에 있다.

나는 세 차례나 구원 같았던 로맨스의 상실을 견뎌냈다. 사랑이라는 환상, 공동체라는 환상, 일이라는 환상의 상실이 그것이었다.  …

(62) 나는 여전히 사랑 때문에 고심한다. 내 단단한 마음을, 그리고 또 다른 인간 존재를 동시에 사랑해 보려고 애를 쓴다. 그리고 나는 일을 한다. 매일의 노력은 여전히 몹시도 고통스럽다, 그러나 노력하는 한, 나는 로맨스에 저항하고 있는 것이다. 로맨스에 저항할 때,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가장 힘겨운 진실을 꾸준히 바라볼 때 나는 조금 더 나 자신에 가까워진다. 페미니즘은 내 안에 살아있다”


비비언 고닉, <아무도 지켜보지 않지만 모두가 공연을 한다>


가부장제라는 진실을 정말로 알고자 하면서 인류가 만들어온 모든 제도와 규칙들에 환멸을 느끼는 나를, 그걸 머리로 이해하면서도 여전히 로맨스라는 환상을 부여잡고 내 실존을 타인에게 의탁하고 싶어라 하는 나를, 똑바로 마주 볼 수 있었던 것은. 내 안의 폭력적인 신랄함, 예사롭지 않은 가학성(m이 분명해ㅋㅋ) 니체 말대로 일종의 동물성이 없었다면… 불가능했겠지. 


내가 싫어하는 그들이 아닌 바로 내 안에. 그렇게까지 강렬한 분노와 포장된 자기애, 폐허 같은 허무주의, 타자혐오 약자혐오, 한남못지 않은 열패감이 있을 거라고는. 그 책들을 읽기 전에. 나는 알지 못했다. 아이러니하지만 규율 권력을 내면화한 정도가 강해서 (성실하고 열심이었기에) 이렇게(?) 되어버린 것일지도 모르겠으며.


어쨌든 어떤 독서란 확실히 “인간의 행복과는 모순되는 무언가”가 있다. 나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재밌기만 해서 책을 읽지는 않는다. (그런 쾌락은 넷플릭스가 훨씬 유효하다.) 이러한 모순의 읽고 쓰기에서 어떤 압력—을 견디고 나니, 또 이상하리만치 나 자신이 견딜만한 존재로 변했음을 느낀다. 물론 그건 한 번 딱하고 끝나는 종류의 것은 아니지만. 난 이젠 정말로 내가 좋다. 


내 안의 동물성을 동물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충분히 보존하면서 적당량 꺼내서 쓸 수 있어질 때까지. 그것에 익숙해질 때 까지. 내가 해야 하는 것. 매일의 책상 앞에서 생각을 유지하는 법을 터득할 때까지 패배하기. 나는 나의 사악함을 숭고하게 써보고자 합니다. 하하. 


음. 또 쓰다 보니 길어졌네. 두 줄로 요약하면 이것이다.


자니 난~ 여자라~~~ 나를 요카 쥐는 마~~~😫

내 안의 니체적 잔인함 = 내 공부(읽고 쓰기)의 동력


“(24) 잔인성으로 특징짓는 동물적 본성에 입각해서 해석하는 이들은 

고통을 가하고 고통을 부여하는 데서 원초적 즐거움을 발견한다”  - 미셸 푸꼬의 수난2

2023-08-22 

잔인성으로 특징짓는 동물적 본성에 입각해서 해석하는 이들은 고통을 가하고 고통을 부여하는 데서 원초적 즐거움을 발견한다 - P24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3-10-14 13:5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어쩐지 동물성애자를 좋아하더라니.

공쟝쟝 2023-10-14 14:15   좋아요 0 | URL
동물성애를 하는 것이랑 동물성애자를 읽는 것은 다르다 말입니다. 잠자냥은 버섯 구하기 중단하시고요 ㅋㅋ -니체녀-

은오 2023-10-14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착하지 않다고 하신다면....
일단 쟝님은 귀여운건 확실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