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의 바다 - 제12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더 이상 꿈을 꿀 수 없는 인간을 상상하는 일은 괴롭다. 꿈을 망실한 인생의 불우는 곧 희망과의 절맥(切脈)을 의미하기 때문이리라. 인간이 비루한 일상을 면면히 버텨내고, 지난한 인생을 어렵사리 살아내는 건 꿈이 있어서이고, 꿈에 잇댄 희망의 조짐 때문이다. 기실 희망의 생명력이 ‘도래하지 않은 미래’라는 시간적 속성에 있듯이, 꿈의 존재 근거는 바로 그 오지 않음, 反-현실, 무한성, 가능성과 같은 미증유(未曾有)의 맥락 속에서 찾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꿈은 ‘그대로 꿈’이고, ‘그대로 꿈’은 바라고, 기대하고, 소망하는 희망의 수치를 유지한다. 이는 다만 ‘오지 않음’이라는 그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언사에 불과할 따름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꿈은 결코 현실일 수 없고, 희망 또한 성취될 수 없을 때, 꿈은 꿈이요, 희망은 본디 희망이라는 말이다.
|
|
|
|
꿈꿔왔던 것에 가까이 가본 적 있어요? 그건 사실 끔찍하리만치 실망스러운 일이에요. 희미하게 반짝거렸던 것들이 주름과 악취로 번들거리면서 또렷하게 다가온다면 누군들 절망하지 않겠어요. 세상은 언제나 내가 그린 그림보다 멋이 떨어지죠. 현실이 기대하는 것과 다르다는 것을 일찍 인정하지 않으면 사는 것은 상처의 연속일 거예요. 나중엔 꿈꿨던 일조차 머쓱해지고 말걸요.
|
|
|
(본문, 7쪽)
|
|
'별이 아름다운 건 멀리 있기 때문'이라는 혹자의 말처럼 꿈 역시 멀리 있어 아름답다. 그 멋과 풍미는 ‘거리’로서 발생하고, 아득함으로부터 전해온다. 그러나 현실의 가차 없음에 복속된, 그리하여 꿈과 환상의 상상력마저 빼앗긴 존재들은 허덕지덕 가파른 비탈을 오르는 시지프스를 떠오르게 한다. ‘멀리’의 관조, ‘거리’의 여유를 상실한 이 사회가 낳은 사생아들은 그렇게 꿈과 희망을 예단 당했고, 부박(浮薄)한 성공을 천형으로 삼는 인간 군상들로 변해버렸다. 그들은 더 이상 밤하늘을 보기 위해 창문을 열지 않는다. 예컨대 책에서처럼, 적금과 부동산에 관심하며, 사업의 무한한 번창을 바랄 뿐이다. 그러나 인간은 모두 ‘꿈과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고 책은 말한다. 그 대목. 고모의 남자친구 알리의 입을 통해 발설한 작자의 심중은 자못 의미심장하다.
|
|
|
|
이 배우들은 모두 요정들일세. 이젠 대기 속으로, 엷은 대기 속으로 사라져버렸지. 이 대지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환상의 세계처럼 저 구름 위에 솟은 탑도, 호사스러운 궁전도, 장엄한 신전도, 이 거대한 지구도, 마침내 다 녹아서 지금 사라져버린 환상처럼 흔적조차 남기지 않을 걸세. 우리 인간은 꿈과 같은 것으로 되어 있고 이 허망한 인생은 긴 잠을 막을 내리게 되지. |
|
|
(본문, 116쪽)
|
|
꿈이 사라진 자리에, 환상이 증발한 자취에 현실 또한 흔적 없이 사라져버린다는 말로 이해한다. 결국 꿈이라는 골간 없이 고단한 현실을 살아낼 수 없음은 물론이요, ‘긴 잠’은 언제고 목전에 둔 인생이라는 현실을 긍정해야 꿈도 가능하다. 성급하게나마-요는, <달의 바다>는 <생의 바다>고, <꿈의 바다>라는 사실을, 그 생과 꿈의 긴장 속에서 유영하며(노닐며), 희망을 꿈꾸는 몸짓이 우리에겐 필요하다는 사실을 조금은 알겠다는 것이다.
|
|
|
|
“왜 할머니한테 가짜 편지를 쓴 거야?”
고모는 미소를 지었다.
“즐거움을 위해서. 만약에 우리가 원치 않는 인생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거라며, 그런 작은 위안도 누리지 못할 이유는 없잖니.”
|
|
|
(본문 126-127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