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옹, 당신을 안고 내가 물든다
문태준 엮음 / 해토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내일이 새로울 수 없으리라는 확실한 예감에 사로잡히는 중년의 가을은 난감하다” _김훈
해마다 가을이 올 제면 얼마나도 많이 이 구절을 되뇌었던가. ‘내일이 새로울 수 없으리라는 확실한 예감’은, 비록 중년은 아닐지라도 상실한 청춘의 가슴에겐 증발된 마음의 허기와도 같았으리라. 허허로운 제 가슴의 공간은 ‘여름의 무자비한 증발작용’이 남긴 염분의 흔적처럼 짜고, 썼다. 그 쓴맛의 뒤끝은 마치 사랑의 흔적처럼 몸서리치도록 안달난 마음과도 같았지만, 이내 엄습하는 후회와 상실은 내일을 곧잘 ‘기대 없음’의 시간으로 연소시키곤 하였다. 여름 같던 사랑이 덧나기 시작할 때 가을은 왔고 사랑에 모든 것을 걸었던 청춘은, 그래서 내일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예감이랄 것도 없이, 그저 난감할 뿐이었다.
사실 그녀와의 오랜 연애에도 매년 가을이 올 때마다 쉼표를 찍곤 하였다. 폭폭거리던 날들 속에서도 무진무진 초록의 생기를 품어내던 나무들이 흐드러질 즈음이면, 사랑도 그와 같아서 탈수증처럼 허덕이고 있었다. 땀 냄새 나도록 뒹굴었던 사랑의 자취는 염전처럼 마르고 말라 겨우 한 자락씩 흩날리고 있을 뿐이었고, 마음은 계절의 경계만큼이나 멀찌감치 배회하고 있는 듯 보였다. 그러나 마음이 계절과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어서 자꾸만 경계를 넘나들며 시절을 부여잡고 있었다. 그래서 시인 이성복은 ‘그 여름의 끝’에 ‘남해금산’에 올라 “당신을 떠날래야 떠날 수가 없습니다”라고 고백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허지만 가을은 못내 저버린 사랑의 기억을 어느덧 추억으로 편집하고 있었다. 그리고 잊어야 될 것들이 더 이상 남지 않게 되었을 때, 무채색의 추억만이 빈자의 가슴에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이토록 난감한 청춘의 계절에 시는 오랜 벗과도 같아서 한숨 찧는 인생들을 슬며시 포옹한다. 한 줌의 시어들이 마음결에 스밀 때, 시는 번지고 무너진 마음자리는 서서히 물든다. 시가 나를 감싸듯, 나도 시를 안는다. 그리하여 무너진 가슴에도 볕이 들고, 절망의 채도는 비움의 자리에서 탁함의 비늘을 벗는다. 어느 틈에 시는 번져 마음이 되고, 마음은 ‘체념할 것들을 체념하여’ 맑다. ‘마음 비우고가 아니라 마음 없이’라던 황동규 시인의 노래처럼, 어쩌면 체념한 마음자리는 비로소 마음이랄 것도 없어 뵌다. 그렇게 시가 번진 ‘수묵의 정원’(장석남), 즉 무심(無心)의 공간은 느슨하고, 서러운 포옹으로 조금씩 ‘홀로와’지고 있었다.(‘홀로 있는 즐거움’을 황동규는 ‘홀로움’이라고 명한 바가 있다.)
그 ‘홀로움’의 여정에서 나는 또 한권의 시집을 손에 들었다. 특별히 추석 연휴를 목전에 두고 귀향의 장도(長途)에 오를 예정이었던 나는, 오랫동안 보관함에 묵혀두었던 시모음집 <포옹>을 길손삼기로 작정하였다. 예의 시모음집들의 조악함 탓에 이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지난 몇 편의 시집들을 통해서 보여준 문태준 시인의 깊고, 맑은 서정은 나에게 주저의 여지를 허락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를 포옹하였던 시들이 나에게도 깊고, 넓게 물들길 바랐다. 그 기대를 안고 고향으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나는 한 줄 한 줄 읽고, 느끼며, 어느덧 서서히 물들고 있었다.
‘수런거리는 뒤란’을 ‘맨발’로 거닐다, 한 쪽 눈마저 다른 한 쪽 눈으로 옮아간 ‘가재미’를 들여다보던 시인은 이제 득달같던 청춘의 시절을 물들인 보물 같은 시들을 노래한다. 여기에 묶은 시들은 시인의 고백처럼, ‘때로는 슬픔 쪽으로 때로는 미소에 가깝게 데려가 준 시들’이지만, 또한 한결같이 ‘매혹적인 끌림’을 지닌 것들이다. 그 매혹적인 끌림을, 시인은 ‘목단무늬 꽃살문’이라고도 하고, ‘싸락눈 내리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그 속에서 기어이 시의 품에 안기어 물들었던 그는 이제 자신을 포옹했던 그 시들을 한데 펼쳐놓고 읽는 이들에게 이렇게 당부하고 있는 것이다. “꽃을 기르는 마음으로 이 시들을 보아주셨으면 합니다...... 붉은 꽃잎이 당신의 마음을 물들게 했으면 좋겠습니다.”라고.
시인의 당부처럼, 이 시집은 꽃을 기르는 마음처럼, 조심스럽고 다소곳하게 읽어 내려가야 옳다. 왜냐하면 시인이 엮어놓은 시들이란 하나같이 낮고, 여리며, 가녀린 존재들을 향한 애가(愛歌)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낮고, 여리며, 가녀린 존재들이란 사랑의 상실에 처한 청춘들이기도 하고, ‘시대의 변죽’(배한봉)으로 밀려난 어느 쪽방촌의 빈민이기도 하다. 하여 그네들의 가슴을 넉넉하고도 따뜻하게, ‘낮은 목소리’(장석남)로 물들이는 이 시들을 허투루 읽어내려 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만 어語와 절節을 조심스럽게 마주하며 곱씹을 때, 그리하여 시와 내가 오롯이 포옹하게 될 때, 시나브로 나는 시로 하여 물들고, 시는 나로 인해 번진다. 그렇게 시의 너른 품에 이드거니 안길 때, 고작 명도(明度)뿐인 마음자리에 색이 물들고, 무늬가 깃든다.
그러한 향연에 젖어들게 하는 것은 비단 시 때문만은 아니다. 이 시들과 더불어 가슴깊이 포옹한 시인의 덧글이 또한 각별하다. 시인이 전작(前作) 시집들에서 노래했던 바와 같이 생의 변방, 바깥, 뒤편은 여전히 관심의 주파에 포착되고 있다. 예컨대 천양희 시인의 <뒤편>이라는 시를 읽고서 그는 이렇게 적고 있다.
“뒤편을 볼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한 사람이다. 넉넉한 사람은 고통을 몸소 참고 견딘 사람이다. 자신의 뒤란으로 돌아가본 사람이다. 뒤란에서 쪼그리고 앉아 무릎을 모으고 울어본 사람이다. 뒤편에는 숭고도 있고 남루도 있다. 사람을 온전히 사랑하는 일은 뒤편을 감싸 안는 일이다.(......) 그러므로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은, 마치 비 오기 전 마당을 쓸 듯 그의 뒤로 돌아가 뒷마당을 정갈하게 쓸어주는 일이다.”(31쪽)
한편 배한봉의 <이 시대의 변죽>이라는 시에서는,
“가장자리를, 언저리를 가볍게 여기는 마음이 언제부터 우리에게 생겨났을까. 고약하다. 위와 아래가, 속과 겉이, 처음과 나중이, 다수와 소수가, 저택과 쪽방촌이, 어쩌다 이처럼 아니 볼 듯 갈라서게 되었을까. 양극에 달하게 되었을까.”(86쪽) 라며 성토하기도 한다.
이렇듯 시인은 복판, 곧 중심에 가닿지 못한 존재들을 애정의 눈길로 응시한다. 그것은 단지 연민의 감정이 아니라 진정 소중한 것이 그 작고 가녀린 존재들에 있음을 깨우치는 과정이자, 진정한 사랑을 깨치는 일이기도 하다. 이는 오지랖은 넓어졌지만 품은 좁아진 오늘날의 각박한 세상을 극복하는 일이자, ‘아름다운 후미後尾’로 들어가 ‘넉넉한 시간’을 몸소 살아내고픈 바램이다. 그 속에서 어우러지며 비로소 당신과 내가 ‘무릇 동근同根’임을 발견할 때, 사랑에 너와 내가, 변죽과 복판이 물들고, 번진다.
가을의 하늘은 여전히 높푸르다. 허나 그 하늘 아래의 많은 인생들은 가늘게 떨고 있다. 마치 더 이상 내일은 새로운 일이 없으리라는 확실한 예감에 사로잡힌 것처럼. 어떤 이는 품을 잃어버린 이 세상에서 밀려남으로 하여, 또 어떤 이는 저문 사랑이 남긴 상처와 남루로 울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시인의 고백처럼, “꽃이 필 땐 꽃 지는 내일을 생각 말자. 오늘 흰 매화 피는 것만 보아라. 그 꽃그늘 아래서 춤추는 게 사랑”(69쪽)이라면, 그래, ‘오직 이 순간’을 받아들고 살아볼 일이다. 시가 주는 매혹적인 끌림도 느껴볼 일이고, 그로 하여 지친 영혼의 허기를 달래기도 해봐야 한다. 그러다가 문득 시가 번지고, 내가 물들 때, 무채의 인생에도 결 고운 빛살이 ‘따뜻하고, 넉넉하고, 느슨하게’ 비추일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