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스인 조르바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젊은 시절 나는 유독 위선적인 삶에 적응을 하지를 못했다.
조금의 지식이나 부를 가지고 인생을 성공을 다 가진냥 인생은 어떻게 사는 게 옳다고 떠드는 사람들을 보면 견딜 수가 없었다.
그로인해 조직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서도 고개를 끄덕이고, 적당히 타인의 비위를 맞춰 주어야 하는데 그것이 되지가 않았다.
내 생각에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미 얼굴에 나타났기에 그것을 속일 수도 없었다.
그 시절 나는 위선적이고 가식적인 틀에 거부반응을 보이며 그것들을 향해 소리를 질러 대었다.
그러나 차츰 나이가 들면서 그런 위선적이고 가식적인 사회에 조금씩 적응해 가는 내 자신을 보게 된다.
이제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에도 어느 정도 얼굴표정을 감추고 동의하는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면서 그것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가끔은 아닌 것은 아닌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하던 젊은 날의 내가 그리울 때가 있다.
오랫동안 벼르던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었다.
여기에 위선적인 것은 도저히 견디지 못하는 조르바라는 한 사나이가 있다.
조르바는 위선을 떠는 세상이나 종교인, 지식인들에게 진탕한 욕을 한 바가지 쏟아 부어야 속이 풀리는 남자이다.
그런 조르바를 연인보다 더 좋아하고 따르는 남자가 있다.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분신이기도 한 이 소설의 주인공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그리스인으로서 크레타섬의 갈탄 광산의 운영권을 구입해서 크레타섬으로 가는 중이었다.
그는 크레타 섬으로 가는 항구에서 조르바라는 남자를 만난다.
걸죽한 입담에 세상 풍파를 모두 겪은 듯한 말투와 행동에 주인공은 마음이 빼앗긴다.
그리고 그와 동행하여 그를 크레타섬으로 데리고 간다.
언뜻보면 한량으로 보이는 조르바는 갈탄공장의 감독관이 되어 광산의 실제적인 일들을 다 처리해 간다.
낮에는 광산에서 일하고, 밤이면 주인공과 오두막에서 시간을 보내며 자신의 경험과 인생관을 이야기 한다.
사실 조르바의 경험과 인생관이란 어지보면 여느 난봉꾼의 인생과 다르지 않다.
조르바는 결혼을 했으나 가정도 버리고 떠돌아 다니며 온갖 여성을 만난다.
그는 인간의 죄는 어짜피 모두 하나님에게 용서받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절대로 용서받지 못하는 죄가 있다.
외로운 여자를 혼자 두는 죄이다.
(책에서는 더 원색적인 표현을 쓴다.)
그래서 그는 이 여자, 저 여자를 만나며 세상을 떠돈다.
크레타섬의 독립전쟁에 참여하여 터키와 싸우기도 하고, 불가리아와 전쟁에 참여하기 했다.
사실 나는 조르바와 비슷한 사람들을 몇 명 겪었기에 그들의 인생 무용담이 대부분 과장 되었다는 것을 안다.
어쩌면 조르바의 무용담도 여성 편력에 대한 자랑도 과정된 것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막 사는 것 같은 조르바이지만 나름대로 확고한 인생관이 있다.
과거도 생각하지 말고, 미래도 생각하지 말고, 현재에 충실하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 안에 있는 악마를 속박하지 말라는 것이다.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며 그 욕망을 분출하며 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막는 모든 종교나 사회적 제도, 위선 등은 그의 특유의 입담으로 비웃어 준다.
반면 주인공은 그런 조르바를 좋아하지만 조르바와는 달리 금욕주의자이다.
(주인공의 모습은 젊은 시절 수도승이 되고 싶어햇던 니코스 카잔차스키의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는 조르바의 자유분방한 삶을 동경하지만 그 안에 남은 금욕적 생각이 그의 행동을 막는다.
어쩌면 주인공은 자신이 살지 못하는 삶을 사는 조르바를 동경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주인공에게 조르바는 욕망을 해탈하는 법을 가르쳐 준다.
자신이 어린 시절 버찌를 좋아햇는데 조금씩 먹다보니 그것에 대한 욕망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느 날 아버지의 호주머니에서 금화를 훔쳐 버찌를 사다가 배가 터지도록 먹었다고 말한다.
그 후로 그는 버찌 냄새도 싫어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모든 욕망을 그 욕망 속으로 몸을 던져야 해탈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주인공에게 계속해서 자신 안에 있는 욕망에 정직해 질 것을 요구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젊은 날에 읽은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책이 계속해서 오버랩 되었다.
니체는 세상의 관습과 신의 지배를 벗어난 자유로운 인간인 초인을 이야기 했다.
그리고 그 초인을 짜라투스트라라는 인물로 형상화 해서 이야기 했다.
어쩌면 조르바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짜라투스트라인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니체가 이야기 하는 짜라투스트라와 조르바는 닮아 있다.
그러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해서 드는 질문이 있었다.
"과연 조르바는
초인인가?"
과연 조르바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초월하고, 자신 안의 목소리에 따르는 인생을 사는 초인인가?
조르바를 초인이라고 부르기에 그는 뭔가 부족하다.
그는 내 주변에서 자주 보는 한량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과 다르지 않았다.
가정을 버리고, 많은 여자들과 관계를 맺으며, 자기 합리화를 위해 세상의 법과 도덕을 비웃는 사람들...
멋진 인생을 사는 것처럼 떠들지만, 마음 속에는 공허감과 외로움에 시달리는 사람들...
이런 나의 의문은 책을 다 읽은 후 번역자인 이윤기 작가의 해설을 읽으면서 어느 정도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가 <초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우리가 <슈퍼맨>이라고 부르는 것, 혹은 니체가
<우버멘슈>라고 부르는 것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의 <초인>은 초월을 완성시킨 인간이 아니라,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투쟁하는 호전적인 인간, 차라투스트라의 말처럼 <목적지가 아닌, 도상의 다리 같은>인간이다. 그의 믿음에 따르면,
진정한 초인은 인간 조건을 극복하고, 베르그송과 니체에게 공감하는 분위기에는, 삶에 대한 일종의 비극적인 인식이 짙게 깔려 있는데, 이것은
20세기 초두 유럽 정신 사조의 특징이기도 하다.(P455)
니코스 카찬차키스에게 있어서 조르바는 초인이라기 보다는 자신이 누리지 못하는 자유를 당당하게 누리는 자신의 또 다른 모습이었을
것이다.
주인공은 조르바를 통해 자신의 삶을 얽매고 있는 윤리와 관습, 무엇보다도 마음 깊은 속에 있는 위선적인 종교의식과 싸우고 싶었을
것이다.
그 싸움이 너무나 처절했기에 그 싸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조르바를 동경했을 것이다.
조르바는 주인공이 그 싸움을 싸울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그의 스승이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조르바와 같은 인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니코스 카잔차키스처럼, 그리고 그가 만든 소설의 주인공처럼 자신의 삶과 치열하게 싸우는 그런 정신과 삶을 동경한다.
그것이 나와 다른 방법의 싸움이었다고 해도, 세상에 정복되지 않고 그 세상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삶은 무엇이든 값어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스리보다는 초월을 향하는 작가의 정신적인 이야기가 많이 담겨져 있기에 읽기가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번역가의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번역으로 다른 번역서보다는 쉽게 읽히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으로 이윤기 작가의 번역을 좋아한다.
그리고 책 뒷부분의 번역자의 해설 또한 이 책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