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이정서 옮김 

(주)새움출판사 



우리 사회에서는, 자기 어머니의 장례식에 울지 않는 사람은 

누구나 사형선고를 받을 위험이 있다

- 알베르 카뮈


이 이야기는 1958년 런던의 Methuen and Co. 에서 발간한 영문판 「이방인」 에 실린 카뮈의 서문이다. 전문가들은 이 서문이 씌어진 시기를, 카뮈가 「반항의 인간(L'Homme révolté)」  의 여파로 논쟁에 휘말리면서 자신의 작품과 사상을 둘러싼 각종 오해와 왜곡, 비난에 대응해야 했던 무렵으로 추정한다. 카뮈는 해당 서문에서 또 이렇게 말한다. 


뫼르소는 거짓말하기를 거부한다.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단지 사실이 아닌 것을 말하는 것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그리고 특히, 있는 것 이상을, 그리고 사람의 마음에 관하여 자신이 느끼는 것 이상은 말하는 것까지도 포함한다. 그런 것은 우리 모두가 매일같이 하는 일이다. 삶을 쉽게 만들기 위해서 말이다. 한편 뫼르소는, 그가 줄 수 있는 외적인 인상과 반대로, 삶을 그렇게 쉽게 살려 하지 않는다. 그는 그 자신 그대로를 말하고 자신이 느끼는 바를 과장하기를 거부한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사회는 곧 그에 의해 위협당한다고 느낀다. 


- 알베르 카뮈



뫼르소가 요령을 부리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형에 처해진 것이라는 카뮈의 이야기는 나도 비슷하게 공감하게 되는 지점이다. 사회가 용납할 수 없는 어떤 이질적인 존재에 대한 배척. 사람들은 뫼르소가 법정에서 흔히 말하는 관례적 표현으로 자신의 범죄를 후회한다고 말하기를 요구하는 듯 하지만, 그는 그저 피곤해한다. 그리고 재판장이 마지막으로 덧붙일 말이 있냐고 물었을 때 곰곰이 생각한 후 '없습니다' 라고 대답한다. 결국 뫼르소는 유죄선고를 받고 만다. 그리고 카뮈는 서문에서 덧붙인다. '아무런 영웅적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서 진실을 위해 죽음을 받아들이는 한 사내의 이야기.' 라고. 


소설은 뫼르소가 아랍인을 살해한 사건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있다. 1부에서는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를 치르고, 남은 휴가 기간 동안 평범하면서도 무심한 일상을 보내는 모습이 서술된다. 같은 층에 사는 이웃 레몽과 친구가 되었다가 그의 일상의 흐름에 약간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변심한 무어인 애인을 벌주려는 레몽에게 휩쓸려 아랍인과의 싸움에 말려든다. 그리고 흥분한 레몽의 권총을 맡아두었다가 다시 마주친 아랍인이 칼을 꺼내들자 자신도 모르게 방아쇠를 당긴다. 


2부는 아랍인 살해에 대한 재판과정을 담는다. 뫼르소는 자신이 재판의 당사자라는 것을 실감하지 못하고 호기심 가득한 시선으로 재판을 관찰한다. 아랍인 살해에 대한 쟁점보다는 자신의 어머니 장례 태도에 관한 것이 언급되고, 자신이 영혼에 대한 이야기마저 나오자 이곳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모든 것들이 '부질없는 것'들이라고 생각해버린다. 


그러나 그 모든 장광설, 내 영혼에 대해 말해지던 그 끝없는 시간과 모든 날들 때문에, 나는 그곳이 현기증이 나는, 모든 것이 무색의 물 같다는 인상을 받았었다.


- p137




법정에서 검사의 시선으로 묘사된 뫼르소를 옮겨본다. 친어머니가 돌아가신 다음 날, 여자와 바닷가에서 물놀이를 즐긴 후, 부도덕한 애정관계를 시작했으며, 코미디 영화 앞에서 웃어댄 사람이다. 검사는 또한 사건이 사전모의에 의한 살인이라고도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가 글에서 마주한 뫼르소는 별 이유 없이( 법정에서 뫼르소는 태양 때문이었다고 말했지만 ) 아랍인을 총으로 쏘아 죽였고, 자신을 위해 마련된 형장에서조차, 외롭게 죽기보다는 많은 군중들이 증오의 함성으로 저를 맞아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하는 이다. 


엄마의 장례식장, 아랍인을 살해한 해변, 주인공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법정에서 인간들을 압도하고 그들의 머리 위 에서 군림하는 뜨거운 태양. 「이방인」 을 어떤 면에서 뫼르소의 의식과 태양의 대결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프랑스어에서 바다(mer)와 어머니(mère)는 음성학적으로 동일선상에 있고, 바다는 인류의 영원한 모성적 자궁이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정신분석학자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끌어와  「이방인」을 해석하기도 한다. 즉 어머니(바다)에 대한 사랑, 아버지(태양)의 억압, 아들(뫼르소)의 반항 등이 고스란히  「이방인」 의 테마를 이루고 있다고 말이다. (출처 : 알베르 카뮈 / 살림 지식총서 ) 카뮈가 의도하지 않았었을지언정, 후대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는 것을 보면 문학이라는 것은 작가의 손을 떠난 순간부터 다시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는 것을 다시 느끼게 된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모든 것에 대해, 그가 확신하는 것 이상으로, 나의 삶과 다가올 죽음을 확신하고 있었다. (...) 


나는 옳았고, 여전히 옳았으며, 항상 옳았다. 나는 이런 식으로 살아왔지만 다른 식으로 살 수도 있었다. 나는 이것을 했고 저것은 하지 않았다. 내가 저 다른 것을 할 때 어떤 것은 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것은 마치 내가 이순간과 이 작은 시작을 위해 이 모든 시간을 기다려 왔던 것처럼 나를 정당화시킬 것이다. 아무것도, 문제될 건 아무것도 없으며 나는 이유를 알고 있다. 그 역시 이유를 알고 있다. 내 미래의 같은 곳으로부터, 내가 이끌어 온 이 부조리한 삶 내내, 모호한 바람이 아직 오지 않은 수년의 시간을 건너 내게 불어왔고, 그 바람은 자신의 행로 위에서, 내가 살아 있을 때보다 현실적이랄 게 없는 그 시간 동안 사람들이 내게 강요한 모든 것들을 평탄하게 만들었다. 


- p157


 「이방인」 으로 시작된 알베르 카뮈의 문학세계를 '부조리 문학' 이라고 부른다. 뫼르소가 재판을 받는 과정이나 감옥에서 사제와의 대화를 통해 세상은 이성(사법제도) 이나 전통적 가치관(종교) 같은 것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로 가득차 있음을 보여준다. 세상은 부조리하고, 그 부조리함을 견디며 살아야 하는 것 또한 부조리하다. 카뮈는 뫼르소를 통하여 늘 익숙하던 세계가 돌연 낯설게 바뀌고, 인생이 의미가 없다는 '부조리를 의식하는 인간' 을 소환하면서도, 일종의 반항적인 방향으로 그 삶을 남김없이 불사르며 열정적으로 살아내는 것을 강조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 제공도서 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일 읽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 A Year of Quotes 시리즈 1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로라 대소 월스 엮음, 부희령 옮김 / 니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 365일 동안 매일 한 편씩 시대를 초월하는 소로의 명문장을 만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나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저서는 「월든」 만 읽어봤는데,  「월든(Walden)」 외에도 많은 작품들에서 문장들이 발췌되어 있다. 생각보다 많은 저서에 놀랐다. 


옮겨보면 「케이프 코드(Cape Cod)」, 「시민불복종(Civil Disobedience)」, 「콩코드강과 메리맥강에서 보낸 일주일(A Week on the Concord and Merrimack Rivers)」, 「원칙 없는 삶(Life without Principle)」, 「가을의 빛깔들(Autumnal Tints)」, 「매사추세츠의 자연사(Natural History of Massachusetts)」, 「숲속 나무들의 이어짐(The Succession of Forest Trees)」, 「걸어서 와추셋산까지(A Walk to Wachusett)」, 「걷기(Walking)」, 「야생 사과(Wild Apples)」,  「겨울 산책(A Winter Walk)」,  「캐나다의 북군 병사(A Yankee in Canada)」 와 「일기(Journal)」 등을 총망라한다. 이런 작업을 한 저자가 궁금하여 이력을 살펴보니 미국 노트르담대학교 영어과 교수이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연구 권위자라고 소개되어 있다. 국내에는  「시민불복종」, 「겨울 산책」 , 「케이프 코드」 ,  「일기(Journal)」 가 「소로우의 일기」 로 ,   「콩코드강과 메리맥강에서 보낸 일주일(A Week on the Concord and Merrimack Rivers)」 이 「소로우의 강」 등으로 나와 있다. 




매일 읽는 책이지만 우선 빠르게 읽어보려고 한다. 그래도 시작하는 날이니 오늘 자의 문장을 발췌해볼까. 


문학에서는 야성적인 것만이 우리를 매혹한다. 지루함이란 길들인 것의 다른 이름이다. <햄릿>, <일리아드>, 경전과 신화,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것에 담긴 문명화되지 않은 자유롭고 야성적인 사유, 그것이 우리를 즐겁게 한다. 야생의 오리가 길들인 것보다 더 재빠르고 아름다운 것과 마찬가지다. 야생 청둥오리와 같은 사유가 이슬을 맞으며 울타리 위로 날아간다. 정말로 좋은 책은 서양의 초원이나 동양의 정글에서 발견된 야생화처럼 자연스럽다. 그 이유를 알 수 없으나 빼어나고 완벽하다. 


- <걷기(1862)>


'정글' 없는 동양에 사는 독자로서 잠시 멈칫했으나, 야생 청둥오리로 표현된 사유가 인상 깊다. 그리고 소로는 <햄릿> 과 <일리아드> 를 읽으라고 권하는 것인가. 발췌된 문장을 읽으며 '소로처럼 계절 속에서 아름다운 일 년을' 살게 될까. 책을 펼치는 마음이 기대감에 두근두근하다. 


* 리딩투데이 제공도서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방인」 속의 뫼르소는 마치 다른 사람이 그를 보고 그에 대해 말하듯, 자기 자신을 보고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한다. 그는 완전히 자신의 바깥에 있다. 사르트르는 「이방인 해설」(“Explication de L'Etranger”) 에서 이런 문체를 유리 칸막이에 비유해서 설명한다. 독자는 뫼르소의 의식이라는 유리 칸막이 너머로 등장인물들의 모든 행동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살림지식총서, 알베르 카뮈) 


워낙 이 해석을 오래 기억하고 있었던 터라 새롭게 「이방인」 을 읽는 내내 뫼르소의 독백을 눈여겨보았다. 1인칭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의 심리가 객관적으로 보이는지 느껴보려 애썼다고 할까.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이정서 옮김 

(주)새움출판사 



사르트르의 「이방인 해설」 은 발췌된 문장만 보았던 터라 한번 찾아읽어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사르트르의 해설은 카뮈의 「이방인」 이 출간된 이듬해인 1943년 카이에 뒤 쉬드(Cahiers du Sud)에 발표된 후, 1947년 사르트르의 비평 모음집인 상황1 (Situations, I)에 수록되었다고 한다. 이 글이 작성될 무렵, 사르트르와 카뮈는 서로의 존재에 대해 알고는 있었으나 직접 만난 적은 없었다고. 새움출판사의 「이방인」 뒷면에는 역자해설과 함께 작가에 대한 소개가 자세히 실려있는데 카뮈가 갈리마르사에서 편집위원으로 일할 때 '이후 평생 사상적 적이 된 장 폴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를 만나 교류를 시작한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사실 「이방인 해설」 에서의 사르트르의 시각은 당사자인 카뮈를 비롯한 여러 비평가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이방인」 의 문학적 성취를 소홀히 다루었다는 것. 그러나 이같은 반론에도 불구하고 사르트르의 글은 발표 당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방인에 대한 기본적인 ‘해설’로 자리잡고 있는 듯 하다.  나마저도 그 해설을 기억하며 책을 읽어가고 있는 것을 보면. ( 나만의 새로운 시각은 오는 거겠지??? 교과서적 책읽기에 익숙해져버린 슬픈 1인 ) 


* 리딩투데이 제공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아이의 눈이 위험하다 - NHK스페셜 화제의 다큐멘터리
오이시 히로토.NHK스페셜 취재팀 지음, 장수현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시력이 떨어지는 것에 대하여 걱정하고 관심이 높으면서도, 안경을 쓰기 시작하면 불편한 점이 생긴다는 점 외에는 다들 크게 걱정을 하지 않는 편이다.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를 착용하여 시력을 교정하면 일상생활에 아무런 지장이 없으며, 그 이상의 조치는 불필요하다' 고 여겨왔던 것이 일반적인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는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50억명이 근시일 것이라는 연구기관의 추산을 인용하면서 실명에 이르는 사람의 수도 급격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공중위생상의 위기'라고 경고한 바 있다. 


용어부터 정리해보자. 근시(축성근시)는 본래 '안구의 안쪽 길이가 늘어나 있는 상태' 그 자체(p101)를 가리키는데,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시를 '질병'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늘어나고 있으며, 의료계에서는 근시가 실명을 초래하는 황반변성, 녹내장, 백내장과 같은 질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는 안과 질환이지만, 이를 방치해 병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보고 있기도 하다. 





내 아이의 눈이 위험하다

오이시 히로토, NHK스페셜 취재팀 지음

시크릿하우스



「내 아이의 눈이 위험하다」 는 일본 NHK의 정통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일본 초등학생 약 600명의 시력을 조사한 결과 과반수가 근시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실태를 접하고, 아이들의 눈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취재한 NHK스페셜 <우리의 눈이 위험하다 : 초 근시 시대 서바이벌(わたしたちの“目”が危ない 超近視時代サバイバル)> 및 클로즈업현대 플러스 <근시의 상식이 바뀐다!>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눈에 대한 관심이 높다보니 눈 건강과 근시분야는 잘못된 상식이 세간에 만연해 있는 듯 하다고 운을 떼는 저자진은 최근의 연구들로 밝혀진 새로운 상식과 대처법은 충분히 대중 속에 스며들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한다. 저자는 서두에서 독자에 따라 눈의 건강에 대한 정보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책은 처음부터 차례대로 읽지 않아도 자신의 지식과 고민에 따라 궁금한 항목부터 펼쳐 읽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말하면서 시작한다. 



내 경우도 나름 알고 있던 ( 특히 눈에 관련된 약과 건강 보조제들의 광고에서 보았던? ) 지식들이 쌓여있던터라 궁금했던 부분을 먼저 살펴보고 다시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었다. 결론만 알고 있던 지식은 수록된 최신의 연구 데이터들을 이해하면서 좀 더 명확해졌고, 근시를 약으로 치료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아갔다. 이미 시작된 근시는 되돌릴 수는 없지만 그 진행속도를 늦출 수 있다면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도수가 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p105) 



그렇다면 시력은 왜 나빠졌던 것일까. 근시의 배경을 찾아내어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을 관찰하여 이를 가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주목해야 할 항목 중 하나가 바로 '근업(近業)' 즉, 근거리에서 하는 작업이다. 근업이란 30cm 이내의 거리를 보는 작업을 말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장시간 계속하면 근시가 진행될 위험이 높아진다. 사실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는 정보다. 스마트폰을 보는 생활, 책과 문제집을 들여다봐야 하는 학생들의 일과, 그리고 각종 게임기 등등 모두 떠올릴 수 있는 것들. 그렇다고 해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가 무조건 근업 자체를 하지 않을 수는 없지 않은가. 그렇기에 근업이 되기 쉬운 작업들을 평소처럼 똑같이 하더라도, 근시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근시는 간단히 해결(교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 이들을 위해 3장에서는 안축장이 늘어나는 '축성근시'가 우리의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제시하면서, 근시가 안고 있는 위험요소들을 확실히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근시에 바르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백내장, 녹내장 등의 합병증 부터 우울증 및 치매 의심까지 위험요소는 다양하다. '눈의 기능 저하는 만병의 근원'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눈의 기능이 저하되면 빛으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그 결과 뇌내와 체내의 리듬을 조절하는 기능 또한 함께 저하되므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 우리가 생각해왔던 것보다 훨씬 많은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시력의 '과교정' 에 대해 경고하는 장에서는 시력에 대한 맹신을 버리자고 주장하는데 꽤 공감이 갔다. 지금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시력은 '원견(遠見)시력' , 즉 먼 곳이 잘 보이는지 안 보이는 지를 판단하는 지표다. 그러나 근업이 증가한 현대에서는 그 능력이 크게 발휘될 일이 없다. 그러므로 안경 등의 도수를 강하게 넣어 과교정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다. 안경을 처방하고 판매하는 쪽과 함께 안경을 쓰는 소비자들( 혹은 환자들) 입장에서도 의식이 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잘 보이던 눈이 근시가 되었으면 어찌 되었든 멀리까지 다시 잘 보이게 도수가 강한 안경을 써야지' 는 과거의 낡은 상식이라는 것. '지금 우리의 일상생활에 딱 맞는 새로운 상식을 내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책의 주제를 관통하는 가장 큰 메시지다. 


* 리딩투데이 제공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방인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 한 영국 일간지의 '세계 문학사상 가장 빛나는 첫 문장 30선' 에 관한 칼럼을 읽은 기억이 떠오른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레프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등 내게도 인상깊었던 문학작품들이 많았었고,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또한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다. 영국 일간지였으니 당연히 영문으로 된 첫 문장. 


Albert Camus: The Stranger (1946)

"Mother died today. Or maybe, yesterday; I can't be sure."


움라우트 세계문학 시리즈의 「이방인」 의 첫문장은 어떨까!! 궁금할 수 밖에.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제였는지도 모르겠다. 

-p16



그리고 이 첫 문장에 각주가 달려있다. 프랑스 원문에서 오늘 뒤의 쉼표와 '어머니'와 비교되는 '엄마'라는 표기에 대한 것을 이야기하면서, '죽었다' 보다 '돌아가셨다'가 자연스럽지 않냐고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역자는 이 첫문장에 대한 번역이 오랫동안 관형어처럼 굳어져 바로잡는 게 한계가 있다는 생각 또한 전하고 있다. 덕분에 읽는 이들도 '번역이란 무엇인가, 어떤 작업인가' 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게 되는 계기가 된다. 


알베르 카위의 「이방인」 을 처음 읽었던 범우사판(93년 초판 3쇄 / 방 곤 옮김)에서는 "오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셨다" 라고 되어있기도 하다. 김화영 교수 번역의 민음사 본과 eBook 으로 소장중인 열린책들과 온스토리도 쉼표 차이는 있으나 "오늘 엄마가 죽었다" 로 되어있다. 그나저나 민음사판  「이방인」 은 도대체 책장 어디에 있는가... 그리고 난 같은 이방인을 몇 권을 가지고 있는가. 역시 난 독서가 라기보다는 책수집가에 가까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 하루. 


* 리딩투데이 제공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