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고명섭 기자의 글이 하나 올라왔다. 자주 올라오지 않기에 반갑게 읽었다. 그런데 왠걸...제목이 이상하다. '주요 타격 방향과 우정의 정치'라...어떤 내용일까 궁금했는데, 읽다보니 알겠다. 얼마전에 한겨레 신문 지상을 통해 벌어진 두 사람간의 논쟁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 두 사람은 김규항씨와 진중권씨이다. 근데 두 사람은 둘 다 흔히들 애기하는 '진보' 논객이 아닌가, 뭘 가지고 싸웠을까? 바로 '진보'에 대해서다. 뭐, 간단히 애기하면 '넌 진보라고 하지만 넌 짝퉁이야!'라고 누가 애기하니 상대방은 '니가 진보가 뭔지 알아, 어이없다!' 그러니 또 상대방은 '넌 한국말 모르냐, 왜 내 말을 이해 못해'하는 식이었다.
그 이후에 또 논쟁이 이어진지는 모르겠다. 요즘은 이런식의 논쟁 정말 재미없다. 논리적이건 감정적이건, 정말 흥미없다. 넌 진보 아니야, 니가 진보가 뭔지나 알어 하는 순간 '진보'는 없어진다. 제발 이런 소모적이고 초보적이며 감정적인 말다툼같은 논쟁은 하지 않았으면 한다.
한겨레신문 2011.3.9 주요 타격 방향과 우정의 정치
» 고명섭 책·지성팀장
1924년 1월21일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이 숨을 거두었다. 뇌졸중과 심장병으로 오래 병석에 있었다고는 하지만, 살아 있는 동안 레닌은 당의 구심이었다. 1월27일 스탈린·지노비예프·카메네프·부하린이 레닌의 주검이 든 관을 어깨에 메고 엄숙하게 붉은광장으로 들어서는 동안, 그들 각자의 마음속에서 이제 이 신생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을 누가 이끌 것인가 하는 물음이 맴돌았을 것이다. 운구 행렬을 이끄는 스탈린이 될 것인가, 운구 행렬에서 빠진 트로츠키가 될 것인가. 레닌의 죽음 소식을 들었을 때 공교롭게도 트로츠키는 독감에 걸려 요양차 남쪽으로 가던 중이었다. 그는 돌아오기를 포기했다.
스탈린은 당 서기국을 이끄는 서기장이었고 중간간부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지도자에게 꼭 필요한 지적 권위가 없었다. 혁명 전에 쓴 <마르크스주의와 민족문제>가 그때까지 스탈린의 거의 유일한 이론적 저술이었다. 반면에 스탈린의 경쟁자들은 이론가로서 입지를 탄탄히 굳힌 상태였다. 혁명이론에 관한 한 트로츠키는 레닌 다음의 권위를 누렸다. 그는 동지들을 한 수 아래로 보았다. 정치국 회의에서조차 지루할 때면 프랑스어 소설을 꺼내놓고 읽을 정도였다. 지노비예프·카메네프·부하린도 ‘지적인 훈련을 받지 못한’ 스탈린을 밑으로 내려다보았다. 스탈린은 자신에게 무엇이 부족한지 잘 알고 있었다. 자신도 지적 토대가 탄탄한 이론가임을 입증해야 했다. 장례식이 끝나고 석 달 뒤 스탈린은 스베르들로프대학에서 아홉 차례에 걸쳐 레닌의 혁명이론을 해설하는 강연을 했다. 그 강연 내용을 묶은 것이 뒷날 세계 공산주의 운동의 교과서가 된 <레닌주의의 기초>다.
이 팸플릿에서 스탈린은 레닌주의를 성실하게 요약하면서, 거기에 더해 그 자신의 개성을 심었다. 그는 레닌보다 더 편협하게 세계를 해석했다. 그리하여 나중에 이 팸플릿의 세계관은 공산주의자들의 시각구조를 결정하는 이론적 프레임 구실을 했다. ‘주요 타격 방향’이라는 말이 그런 프레임을 보여주는 핵심 용어 가운데 하나다. 스탈린은 ‘혁명전략’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전략이란 해당 혁명 단계에서 ‘주요 타격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혁명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세력을 설정해 타격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는 독특한 이론이다. 이 이론에 입각해 혁명의 제1단계에서는 ‘자유주의 부르주아 세력’이, 제2단계에서는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이, 이어 제3단계에서는 ‘소부르주아 민주주의자’가 주요 타격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 제3단계 혁명의 ‘소부르주아 민주주의자’가 공산당 내부의 반대파를 가리키는 ‘만능 용어’임이 금세 드러났다. 스탈린은 지노비예프·카메네프와 손잡고 트로츠키를 무력화한 뒤, 다시 부하린과 손잡고 지노비예프·카메네프를 숙청했고, 마지막에는 부하린마저 축출했다. 동지의 대열에서 제거되기 전 그들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적’으로 고발당했다. ‘주요 타격 방향’ 이론의 파괴성은 이렇게 모든 차이와 대립을 계급적 적대로 환원해 증오와 척결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데 있다. 이웃과 동지를 적으로 돌리는 ‘주요 타격 방향’의 정치에서는 차이를 용인하고 대립 속에서 대화하는 ‘우정의 정치’가 서기 어렵다. 독일에서 나치가 발호할 때 공산당이 사회민주당을 계급의 적으로 몰아붙이지 않고 공동 대응했다면 역사가 어떻게 되었을까. 스탈린주의 정치학은 1980년대의 변혁운동기에 한국 사회에서도 번졌고, 그 그림자가 아직도 진보 정치 일각의 프레임을 규정하는 요소로 남아 있다. 적대의 정치를 넘어서지 않고서 연대와 연합의 정치를 구현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