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 잔치는 끝났다 ㅣ 창비시선 121
최영미 지음 / 창비 / 199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최영미 시인을 알게되었다.
그리고 갑자기 그의 시들이 읽고 싶어졌다. 시집을 골랐다. 고르는김에 산문집도 골랐다. 총 3권, <서른, 잔치는 끝났다>, <도착하지 않는 삶>, 그리고 산문집 <길을 잃어야 진짜 여행이다>
새학기가 시작되고 정신이 없다보니 자연스레 책 읽을 시간이 줄어 들었다. 요즘은 정말 정신이 없다. 그래서 그런지, 시가 편하다. 아침 버스 안에서 시들의 행간이 유독 눈에 잘 들어온다.
선운사에서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
골고루 쳐다볼 틈 없이
님 한번 생각할 틈 없이
아주 잠깐이더군
그대가 처음
내 속에 피어날 때처럼
잊는 것 또한 그렇게
순간이면 좋겠네
...
'선운사에서'를 읽으며 2006년 1월, 나의 선운사를 기억했다. 나 또한 꽃이 피어나고 지듯이 내 속에 피어난 꽃 피고 지는것 순간이었다. 순간...
또다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화장실 갔다 올 때마다 허리띠 새로 고쳐맸건만
그럴듯한 음모 하나 못 꾸민 채 낙태된 우리들의
사랑과 분노, 어디 버릴 데 없어
부추기며 삭이며 서로의 중년을 염탐하던 밤
...
해마다 맞는 봄이건만 언제나 새로운 건
그래도 벗이여, 추억이라는 건가
그러나, 나의 지난 날의 꿈은 순간이었고 잊혀졌다고 생각했지만, 시를 읽을 때마다 화장실에 갔다올 때마다 문득문득 튀어나온다. 나도 모르게. 하지만 그 과거의 '낙태된 꿈'은 현재의 나와는 단절되어 이어진 벗하나 없으니 결국 나에겐 남은 추억도 없는 것 같다. 그래도 후회는 없다.
부담없이 새롭게 읽었다. 노골적이면서 솔직하고 담백한 그녀의 고백이 나에겐 꼭 나의 이야기처럼 들리는 경우도 많았다. 그의 시는 그의 <시>라는 시처럼 '하느님, 부처님 썩지도 않을 고상한 이름이 아니라 먼지 날리는 책갈피가 아니라 지친 몸에서 몸으로 거듭나는 아픈 입에서 입으로 깊어지는 노래'이다. 최영미 시인의 시집은 내 손 가까이에 있을 듯 하다. 한동안은...그때 나의 서른 넘은 잔치는 다시 시작되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