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미지의 것들을 인간의 필요와 과학적 목적을 위해 개발아닌 개발을 하는게 좋을까 그냥 두는 것이 좋을까? 어려운 문제다.
조선일보 2011.1.14 미지의 생명체 있다? 남극 호수 시추, 100m 남았다
1천 4백만 년 넘게 두꺼운 빙하에 뒤덮여 감춰져 있던 남극 호수의 비밀이 조만간 밝혀질 전망이다. 러시아 남북극연구소(AARI)가 지난 12월부터 남극 최대의 빙하 밑 호수 보스톡 호를 탐사하기 위해 시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제 100m 가량만 시추하면 된다. 뉴사이언티스트 등 해외언론들은 오는 1월 말이면 두께 4km의 빙하 속 호수 표면에 닫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북미 5대호 중 온타리오 호와 맞먹을 정도의 크기를 지니고 있는 보스톡 호는 남극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특히나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는 지역. 남극 지방에서 발견된 150여개의 여타 빙하 밑 호수들과는 달리 오랜 기간 철저히 고립되어 있었을 뿐 아니라 일반 호수보다 산소 농도가 최대 50배 이상 높아 미지의 생물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998년부터 시작된 보스톡 탐사 계획은 남극조약 사무국의 승인을 받지 못해 무려 10년 넘게 지체되고 있었으나 최근 호수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조건으로 승인이 떨어지면서 재개되기 시작했다. 러시아 남북극연구소 측 설명에 따르면 일단 빙하 뚫기에 성공하면 압력 차이로 인해 호수의 물이 시추 구멍 위로 솟아오르기 때문에 호수를 직접적으로 오염시키지 않고도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 분석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진 : 위는 미국항공우주국이 촬영한 레이더 사진, 호수의 윤곽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