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디고
앨저넌 블랙우드 지음, 이지선 옮김 / 문파랑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이 카피를 보라. ‘캠핑 가기 전날 밤엔 이 책을 읽지 말라!’ 20세기 말 스타일의 ‘나 무서운 책이오’ 하는 표지는 또 어떻고. 책 맨 뒤에는 ‘내가 겪은 무서운 일들’을 적을 수 있게 백면까지 4쪽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 문고판 판형은 캠핑 시 휴대할 목적을 노렸음이 분명하다. 캠핑 하면 무서운 이야기 아니겠는가.
 

앨저넌 블랙우드는 [세계 호러 걸작선](2004년)과 이 책(2009년)으로 국내에 소개되었을 뿐이었다가, 2015년이 되어서야 [러브크래프트 전집 6]에 또 다른 작품이 실렸다. 러브크래프트가 높게 평가한 작가치고는 국내 인지도는 굉장히 낮은 편인데, 그야 그 러브크래프트조차 국내에 제대로 출판되기까지 지독하게 긴 시간이 필요했음을 생각하면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이다. 물론 미국에서는 꾸준히 책이 출간되었고, 펭귄 클래식에서 나온 작품집도 있다(이 시리즈는 S. T. 조시의 공로가 크다. 미국은 편집자가 진짜 네임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러운 면이 있다).
 

소설 자체는 중편 정도 분량에 이렇다 할 사건도 없는 플롯이다. 다만 ‘웬디고’라는 크립티드, 혹은 국내에서 많이 쓰는 표현을 빌리자면 미확인생물(UMA)을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걸 다 떠나 하위 장르 팬들에게 특별한 의의가 있는 책이다. 뱀파이어에 비하면 늑대인간이나 예티(사스콰치, 빅풋, 설인), 혹은 트롤 같은 크립티드를 다룬 대중 예술 작품은 정말이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대개는 영화로 만들어져도 제대로 된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다. 최근 본 [장산범]에 큰 기대를 했다가 실망한 것도 그런 이유이기도 하고. 이런 실정에서, 예티보다도 훨씬 더 마이너한 웬디고를 다룬 소설이 국내에서 나왔으니 한 권 사주는 게 마땅하다 하겠다. 또한 사족이지만, 정말 객관적으로 말해 이 책이 만듦새는 좀 유치해 보일지 몰라도 교정 상태는 좋은 편이다.
 

웬디고는 잘 알려지지 않은 크립티드라서 더 그런 면도 있지만 조금 흥미를 끄는 구석이 있다. 주된(즉 다양한 전승 버전에서 공통된) 특징이 식인이라는 점이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이런 설명이 있다. ‘웬디고가 사람을 잡아먹으면 그때마다 잡아먹은 먹이의 양만큼 몸집이 커지기 때문에 웬디고는 절대로 배가 부를 수 없다.’ 이런 특징에는 웬디고 전승의 장소적 배경인 미국 북부 및 캐나다 지역에서 기근 시 식인을 엄격히 금기시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보는 견해가 유력한 듯하다. 근친상간 등 금기의 뿌리를 인류학적으로 밝히려 했던 르네 지라르가 떠오르지 않는가?
 

다만 정말 이상하게도 이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웬디고의 특징은 식인이 아니라 냄새(악취)다. 사실 웬디고의 실존 여부조차 뚜렷이 그려지지 않는 작품이다 보니 이런 건 사소한 일일 수도 있겠다만… 그럼에도, 웬디고를 깡마르고 기괴한 외양으로 묘사한 호러 어드벤처 게임 [Until Dawn]의 사례처럼, ‘포스트 러브크래프티언’들이 재창조할 여지는 충분히 있는 존재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어거스트 덜레스가 창조해 크툴루 신화에 편입된 이타콰 역시 웬디고의 영향을 받은 그레이트 올드 원이니 더욱 그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정화 - 10집 The Cloud Dream Of The Nine
엄정화 노래 /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Stone Music Ent.)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엔딩 크레딧} 너무 슬프고 아름답다. 아련하면서 중독적이고. 매일매일 듣고 싶어 시디 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죽지 않겠다 창비청소년문학 15
공선옥 지음 / 창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에 사고 처박아만 뒀다가 여름에 읽었다. 생각해보면 청소년문학이라는 딱지가 붙어 있음에도 살 당시에는 뭔가 공선옥이라는 작가에게 갑자기 관심이 일었던 것 같다. 왜 하필 이 책이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만.

 

다행스럽게도, 우연히 접한 다른 청소년문학들에 비하면 이 책은 그리 피상적이고 간지럽게만 읽히지는 않았다. 안개 속에서 시작해 안개 속에서 끝나는 표제작이 책 전체의 메시지를 잘 대변한다고 볼 수 있겠다. 뻔한 이야긴데, 절망과 가난 속에서도 살아보겠다 이 말이다. 너무나도 너무나도 교과서적인 말이지만 OECD 자살률 1(‘청소년자살률 자체는 1위가 아니라고 한다)를 달리는 나라다 보니 무게가 남다르게 다가온다. 달콤하고 손쉬운 탈출구를 마다하고 삶을 계속 인고할 이유가 과연 있을까?

 

{일가}{보리밭의 여유}는 조금 의외의 작품이다. 둘 다 공간적 배경이 시골이라 오늘날 청소년 독자가 감정이입을 하기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후자는 전후가 배경으로, 시대상과 관련이 있어 보이는데 관련 지식이 부족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모르겠다, 뭔가 청소년 권장 도서로 학교에서 읽히고 있다면 교사들이 보충 설명을 해줄지도.

 

{라면은 멋있다} {힘센 봉숭아}는 연작이다. 책 전체 중 가장 유쾌하게 읽은 게 전자였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며 정말 김흥국처럼 너털웃음이 나왔다. 10대 남자의 사랑을 이렇게나 멋있게 쓴 소설이 또 있을까. 가난 그 자체는 우리의 목숨을 빼앗을 수 없다. 오히려 이 소설처럼 가난조차 멋있음으로 승화할 힘을 가진 게 인간이다. 물론, 너무 낭만적이라든가 너무 낙관적이라는 비판의 여지는 있다. {힘센 봉숭아}는 주인공이 이어지긴 하나 연애가 아니라 아르바이트 이야기다. 책 전반적으로 그렇긴 하나 이 작품의 결말부는 특히나 노골적으로 교훈적이라 아쉬운 면이 있다.

 

{울 엄마 딸} 10대의 의도하지 않은 임신을 소재로 다룬다는 점에서, 어떻게 보면 다른 낭만적인작품들에 비해 조금 더 폐부에 와 닿는다. 물론 험하고 엽기적인 사건이 수두룩한 오늘날 사회 실태를 떠올려보면, 이 소설조차 여전히 지극히 온건하다. 다만 {라면은 멋있다}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의 화자에게는 멋있는구석이 있다.

 

표제작을 이야기하며 던졌던 질문으로 돌아가자. 살 의미가 있다고 가정(경제학자식 유머)하는 것이 더는 당연하지 않은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카뮈의 오래된 질문이 다시금 유효해졌다고 해도 되겠다. 따라서 그럼에도살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마땅히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옳다. 공선옥이 표제작에서 제시하는 근거는 안개 속으로 사라져서 다시는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그러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인가라는 수사의문문이 전부다. 이 정도 근거로 충분한가? 물론 불충분하다. 대신 {라면은 멋있다}, {힘센 봉숭아}, {울 엄마 딸}에서 발견되는 멋있음은 어떤가({힘센 봉숭아}는 독자로서 멋있음을 느끼진 못했지만 작가가 멋있음을 의도한 것은 맞는다). 충분하다고는 못해도 작가만의 독창적인 근거로 인정할 만하다. 거기에 이 멋있음은 성장을 전제하지 않으며, 이것이 다른 뭇 청소년문학과 달리 이 책이 간지럽기만 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인자들의 섬 밀리언셀러 클럽 3
데니스 루헤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긴(지루한) 장편소설을 읽는 대신 2시간 동안 앉아만 있으면 되는 영화를 한 번 보는 건 참 편리한 일이다. SF야 거의 무조건 영화가 낫고, 반대로 스티븐 킹이나 러브크래프트 원작은 거의 무조건 피하면 된다(영상화 난이도 극악). 성공적이었던 경험을 꼽아보면 [테스][속죄](영화 개봉명은 [어톤먼트])가 있었다.

 

[셔터 아일랜드]로 영화화된 이 책 [살인자들의 섬] 같은 심리 스릴러원작 영화는 애매한 것 같다([독거미]를 영화화한 [내가 사는 피부] [시계태엽 오렌지] 정도밖에 떠오르지 않는데 딱 맞는 예는 아니라 추측형). 활자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영역이 필연적으로 몽타주와 미장센에 갇히게 되니까. 중의적인 해석이 발붙일 여지도 없다.

 

다만 적어도 이 소설은 영화를 보고 난 뒤 내용을 더 명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둘 다 마지막까지 현실과 망상이 구분되지 않고 끊임없이 독자(관객)에게 의문을 던지지만, 원작이 그 안에서 종종 정말로 길을 잃는 반면 영화는 다 보고 난 뒤 돌아보면 모두 (나중에 회수할) 떡밥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테디의 유년 시절로 시작되는 소설의 지루한 초입을 과감히 건너뛰는 대담함도 좋았다. 이게 다 텔레비전의 폐해다하지만 [컨택트][디스커넥트]에서 심금을 울렸던 막스 리히터의 {On the Nature of Daylight}를 들을 수 있다는 건 또 영화만의 축복이겠지.

 

후반부에서 모든 게 테디의 정교한 망상이었음이 밝혀지면서부터 오늘날 독자(관객)가 볼 때 이야기는 급속도로 힘을 잃는다. 작품의 주된 매력이 미친 사람은 자기가 미쳤다는 사실을 부인한다로 시작되는 순환논증에서 비롯되는 이야기의 힘인 것은 분명하고, 따라서 반전이 밝혀지면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서사에만 집중하면 그렇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 소설은 [식스 센스]처럼 반전 하나에만 목숨을 건 작품은 아니다. 당시 매카시즘에 빠져 있던 미국을 꼬집고(작가의 사실주의 경향), 나아가 로보토미(전두엽 절제술)로 대유되는 정신병에 대한 폭압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의도도 있다고 본다(이 주제는 물론 푸코의 [광기의 역사]로 연결된다).

 

말이 나와서 말인데, 화자인 테디가 트라우마를 겪고 조현병을 앓게 되었다라는 게 국내에서는 주된 해석으로 보인다. 구글에서 셔터 아일랜드 조현병으로 치면 나무위키에 링크된 한의원 글을 필두로 수많은 글이 뜬다. 하지만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망상은 테디가 보이는 정교한 망상(망상장애)과는 달리 기괴한망상이라는 점이 주지의 사실이다. ‘shutter island teddy delusional disorder’로 검색해보면 테디는 조현병이 아니라 망상장애에 속한다는 의견을 여럿 찾을 수 있다. 이것이 정신병 하면 내용도 뭣도 모르고 정신분열증’(심지어 조현병도 아니다)이라는 말부터 떠올리는 한국의 실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로그레시브 록 명반 가이드북 - 탐미주의자를 현혹하는 예술적인 음악 레코드 가이드북 2
이진욱.정철.제해용 지음 / 안나푸르나 / 201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 2017년에 이런 책이 나왔다. 이 얼마나 시대착오적이고 대책 없이 낭만적인 필진과 출판사인가. 이 안나푸르나라는 출판사의 포트폴리오는 너무나도 매력적이다. 기쁜 마음으로 월급을 타자마자 질렀다.

 

어느 정도 요즘 출판물 수준에 맞춰 교정 상태가 (비교적) 좋은 게 인상적이었다. 밴드 이름을 외래어표기법에 맞춰 한국어로 표기한 것도, 이 대책 없이 낭만적인 출판사가 정말로 대책 없이 책을 내는 건 아니라는 증거일 테고(딱 한 가지 아쉬운 건 판형이 작다는 정도.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이 아니라 앨범 소개에 치중한 책이니 감수해야겠지).

 

당장 미디어아르떼( M2U)나 시완의 라이너 노트를 떠올려보라. 라이너 노트에 출판물의 기준을 적용하는 건 다소 공정하지는 않지만, 단순히 표기나 맞춤법만을 얘기하는 게 아님을 알아주기 바란다. 미국에는 [Mountains Come Out of the Sky] 같은 훌륭한 책들이 즐비하다(덧붙여 나는 영국(!) 출판사에서 나온 [Krautrock: Cosmic Rock and Its Legacy]도 가지고 있다). 우리도 우리가 좋아하는 음악을 제대로 활자화한 이런 책이 필요했다. 팬들이 번역한 러브크래프트의 중단편이 웹에 존재했음에도, 제대로 된 전집이 황금가지에서 나오길 얼마나 많은 사람이 기다리고 또 기다렸던가.

 

이 기쁜 마음은 앞으로 몇 년을 두고 책을 펼쳐보며 만끽하기로 하고, 목록을 먼저 훑었다. 필진 세 명이 총 202개의 음반을 꼽았는데, 중복되는 아티스트가 단 한 항목도 없는 걸 보면 필진끼리 미리 조율을 한 듯싶다. 이 중 거의 정확히 절반은 최소한 들어본 적이 있는 밴드였고, 15~17(소장 음반 목록의 문서화가 시급하다) CD로 가지고 있는 음반이었다. 내 취향이 프로그레시브 록 중에서도 극히 크라우트록에 치우쳐 있음을 감안하면 나름 좋은 성적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렇다고 이 책이 뻔하게 핑크 플로이드, PFM, 캔 같은 주류(?) 프로그레시브 록만 다루는 것은 아니다. 지금이 1990년대 말도 아니고, 이쪽 리스너(컬렉터)들의 목록도 그간 확장을 했어야 당연하다. 뻔하게 유명한 고전 명반들 외에도 이 책은 toe(일본의 매스 록 밴드)나 백현진처럼 과거의 프로그레시브 록 리스너들이 오늘날 들어볼 만한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은) 최근의 음반도 소개한다. 나 역시 최근의 밴드를 잘 모르는 만큼 이 책을 통해 알게 될 앨범이 많이 있을 듯해(최소 100장이라니!) 거듭 너무나 기쁘다.

 

다만 toe를 소개한 정철 님은 toe 이야기를 하며 포스트 록 이야기를 잠시 꺼내는데 정작 목록상으로는 포스트 록 음반은 토터스 딱 하나밖에 보이지 않는다(아 이렇게 써놓고 내가 모르는 음반 중에 있었으면 어떡하지). 책의 내용상 선정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겠으나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토터스 항목에서 이 밴드를 언급하긴 한다)의 앨범 정도는 하나 있었어야 구색이 맞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물론 그렇게 가면 목록의 외연이 급격히 팽창하는 문제가 있고아무래도 1970년대 고전 중심의 선집인 것이 맞기는 하다. 뭐든 좋다. 비슷한 책을 또 내주세요, 안나푸르나. 제 지갑은 당신 것입니다.

 

*목차에 오탈자 있음. 5 Patrick Bernard – Justine (126) Justine – Justine (126)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