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시나, 예전 포노에 올렸던 글입니다. *
 
 

이번에 고야 책을 하나 샀(얻었)습니다. 

저희 서에서 공짜로 책을 몇 권 사준다길래,
저는 무조건 가격이 비싼 순서로 몇 권 골랐거든요-_-a
B4사이즈의 책은 태어나서 처음 만져봤습니다 =_=

아직 그다지 고야와 친하진 못하지만 앞으로 친해질겸,
그의 대표작(?) 이미지를 2개 올립니다.

 

 
[Saturn]
c. 1821-1823 / 146 x 83 cm / Oil on plaster remounted on canvas


Sophia라는 고딕/새드코어 밴드의 음반을 통해서 알게 된 그림.
[Saturn eating his son] 혹은 [Saturn devouring his son]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로마신화에서의 새턴(혹은 사투르누스)은 그리스신화의 크로노스로,
아버지 우라누스를 죽이고(거세하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이때 우라누스는 저주를 남깁니다: 너도 언젠가 이렇게 될겨-_ㅠ
크로노스는 두려워합니다, 자신의 자식 또한 똑같이 자신을 죽이리라고.
그래서 자식을 낳는 족족 삼켜버리지만,
결국 6번째 자식 제우스의 꾀에 당해 왕좌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그림은, 고야가 말년에 자신의 집 벽에 그린 '검은 그림'시리즈의 하나입니다.
뭐 신화와는 다르게, 삼키는게 아니라 씹어먹고(...;) 있는데
무서운 그림이긴 하지만, 단순히 무서운 것 이상으로
피할 수 없는 운명에 대한 공포가 더 절실하게 다가옵니다.
크로노스의 표정을 한 번 보세요.

하여간,
인과응보라지요.

 


 

[The Shootings of May Third 1808]
1814 / Oil on canvas / 104 3/4 x 136 in.


나중에 알았지만 이게 진짜 고야의 대표작이라고 합니다.
어쩐지 미술 교과서에서 봤던 것 같기도 한 그림이죠.
피카소의 [게르니카](1937)가 생각나기도 하는데
시기상으론 이 작품이 훨씬 앞입니다.

나폴레옹 군대가 스페인을 침략했을 때를 묘사한 작품으로,
기법은 물론이고 감성적, 정서적인 측면까지
후대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줬다고 합니다.

많은 설명이 필요없는,
그림만으로 충분히 목소리를 전달하는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지 출처는 역시나 구글 이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은 혼자라고들 하잖아. 근데 뭐 굳이.

개폼 잡고 역시 난 혼자였어,하고 절망할 필요가 있을까.

뭐 그런 이유랄까, 정말 요즘은
할 말이 없다.
말의 효용을 절실히 잃어버리고 있다.

1년에 하루 정도, 금언의 날을 가질까 생각해본다.

 

 

 

 

 



가능하면 금연의 날도-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예전, 포노에 올렸던 글 *
 
 
Judith I (혹은 Judith und Holofernes), 1901
Oil on canvas, 84 x 42 cm


 
Judith II, 1909
Oil on canvas, 178 x 46 cm


 

[유디트1]에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라고 적혀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림트의 유디트는 살로메로 전시되고 불리곤 했다. 이런 오해가 빈번하다 보니 도리어 제목을 잘못 붙였다는 비난까지 나왔다.

 

유티드와 살로메는 많이 닮았다. 클림트에게 '매혹적인 여자와 목 잘린 남자'라는 구성이 필요했다면 어느 쪽이든 상관없을 것 같기도 하다. 유디트를 택한 이유를 클림트는 대답을 한 적이 없다. [유디트2]는 여자의 시선이 옆을 향해 있어 더 공허한 느낌이고 관찰자와도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 전작품에 비해 춤추는 듯한 자세에 더 율동적이지만 장식이 늘어나고 행위의 모든 단계를 제한하고 있어 동작이나 활기, 생명력 등이 평면적이고 추상적인 색체를 띤다. 사실 살로메냐 유디트냐 한쪽으로 정하는것 자체는 중요하지 않다. 성모 마리아에 비견할 만한 여성 영웅 유디트가 개인적인 욕망 때문에 예언자의 목을 벤 사악하고 타락한 여자인 살로메와 구별할 수 없게 된 연유가 무엇인지… 흥미를 가져볼만 하지 않는가? 세례 요한을 소유하지 못한 살로메는 패배자다. 유디트는 애국적인 행위로 칭송되었고, 남자들의 숭배를 받은 그녀는 승리자다. 그런데 클림트의 유디트는 승리자로 보이지 않는다. 황금빛밴드들은 그녀가 무엇에 묶여 있음을 암시한다. 승리의 쾌감은 세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남자의 머리카락처럼 사라져버린다. 남는 것은 욕망뿐, 그녀는 자기 욕망 속에 갇혀있다.

 

이스라엘의 승리를 기뻐하는 축제가 끝난 다음 사람들은 각자 가기 집으로 돌아갔다. 유디트도 베툴리아로 돌아왔다. 그녀는 유명인사가 되었고 청혼하는 남자도 많았다. 게다가 재산도 많았다. 하지만 그녀는 역사의 뒷길로 물러나 줄곧 혼자서 고독하게 살았다. 몹시 쓸쓸한 결말이다.

-신성림, 클림트, 황금빛 유혹, 다빈치, 2002


 

산도르 마라이의 소설 [결혼의 변화]에 유디트라는 인물이 등장합니다. 비단 클림트뿐만 아니라 살로메 혹은 유디트는 많은 회화의 소재가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저에겐 유디트 하면 클림트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군요. 끝으로 클림트의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 [키스]를 소개합니다. 옛날, 그녀가 좋아하던 그림이었죠, 훗.

 

Der Kuß, 1907-8
Oil on canvas, 180 x 180 cm


 

 

 

이미지 출처는 구글 이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차가운 아름다움의 정점 추천하고픈 ECM레이블 재즈앨범

작성자: blindbird7(음악창고)
원래 주소: http://www.changgo.com/changgo/n_recom_list.recom_view?a_list_no=1197
퍼온 날짜: 2006-10-26

ECM레이블에서 발매된 재즈앨범 구입시 이걸 구입할까 말까 등의 많은 갈등(다소 난해하고 어려운 음악들이 많기 때문)을 하셨을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제가 소장한 ECM레이블의 재즈음반 중에서 정말 이 앨범은 너무 좋다라고 생각되는 앨범을 추천해봤습니다. 아마도 잠자리에 들기전 충분히 저와 같은 감동을 느끼실거라고 감히 확신해 보구요. ECM레이블에 한정해서만 추천을 해봅니다 ^^


Tord Gustavsen Trio / Changing Places
Graceful Touch 와 Where Breathing Starts 곡등 슬프고 고독하기 짝이 없는 서정성의 피아노 트리오

Charlie Haden & Jan Garbarek & Egberto Gismonti / Magico
찰리의 베이스와 차가운 얀 가바렉의 섹소폰 그리고 특히 이그베르토 지스몬티의 기타와 스캣이 빛을 바라는 어느 한곡도 버릴것이 없는 앨범. 차가운 아름다움이란 바로 이런것을 두고 말한다. 정말 좋다

Jacob Young / Evening Falls
개인적으로는 랄프타우너의 고독하면서 차가운 기타음색을 좋아하는데 이 앨범을 듣고 야콥영도 좋아하게 됬다면... Blue와 The Promise곡 너무 좋다


dollar brand / African Piano
아프리카 피아니스트로 이 외 다른 앨범의 평가가 꽤 좋다. 이 앨범은 1번 트랙부터 끝날때까지 쭈욱 연이어지는 각각의 제목이 달린 한곡인데 아프리카 특유의 감성을 리듬감 넘치는 솔로 피아노로 연주한다.

Enrico Rava / Easy Living-수입
엔리코라바는 말 안해도 잘 아실덧.

Bobo Stenson / Serenity
사실 이 앨범은 최근 성향의 ECM레이블의 다소 난해한 보보 센튼손 트리오의 서정적 피아노를 접할수 있는데 El Mayor와 Fader V란 곡은 쉽게 접할수 있는곡. 이상하게 들을면 들을수록 좋아지는 매력을 가진 앨범이다. 영롱한 보보의 피아노

Egberto Gismonti / Infancia
이그베르토는 기타만 잘 치는게 아니라 피아노도 너무나 잘 연주한다. 이 앨범에선 지스몬티만의 전위적이면서도 극한 서정성의 연주와 아울러 바이올린의 이중주로 그 아름다움을 극대화 했다.

Ralph Towner / Anthem
랄프 타우너만의 깊이있으면서도 쉽게 다가오고 차가우면서도 따뜻한 기타소리를 느낄수 있다.

Louis Sclavis / Napoli's Walls
정통재즈와 현대적 퓨전 감각이 루이스의 작곡 능력으로 다시 태어난 음악같다. 모든 곡들이 그렇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인내하고 음악을 듣는다면 이 앨범에 추천을 안할수 없을덧

Charles Lloyd / Canto
고인이 되버린 찰스로이드 너무나 슬프다 ㅠㅠ 정통재즈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ECM 사운드의 맛을 가미시킨 특히 앨범명과 동일한 이 깐또라는 곡은 긴 러닝타임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듣는 내내 짧다는 생각만 들고 감동을 일어내기 충분하다. 정말 너무 좋다

Norma Winstone / Somewhere Called Home
다소 후한 점수를 주기엔 개인적으로 왠지 2% 부족한 느낌의 ECM레이블의 보컬 음악. 편안하면서 다소 따뜻한 서정적 보컬 앨범

David Darling / Journal October -수입
데이빗 달링의 첼로는 다 아실덧. 마이너 블루

John Abercrombie / Class Trip -수입
존의 기타와 바이얼린의 앙상블. Excuse My Shoes란 곡에 반해버렸는데 이런곡들이 바로 깊이 있고 대중들에게 어필되는 아름다운 곡이 아닐까 생각된다.

Sidsel Endresen / Exile -수입
ECM 사운드의 특색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앨범인데 그것을 연주(연주도 매우 좋다)와 함께하는 지젤의 아방한 보컬로서 들려준다. 전체적으로 다소 난해한 보컬로 이루어졌는데 그중 몇곡은 접근하기에 친근하다. 특히 Dust란 곡을 추천하고 싶은데 이 깊은 멜로디와 맛은 직접 들어봐야만 알 수 있다.

Savina Yannatou / Sumiglia -수입
최근에 구입한 앨범으로 딱 한곡에 반해서 구입하고야 말았다. Terra Ca Nun Senti 곡으로 민속적 냄새가 물씬 나는 보컬을 들려주는데 정말 좋다. 이 외의 곡들도 민속적 색이 강하다.

Charles Lloyd, Billy Higgins / Which Way Is East
찰스로이드와 빌리 히긴즈가 마치 그들의 집에서 연습하던 모습을 그대로 앨범으로 옮겨 놓은듯한 앨범으로 짧은 곡들이 많아서 구입에 망설였던 앨범인데 진솔한 그들의 여러 연주와 찰스로이드의 보컬을 만끽할수 있다.

annette peacock / An Acrobat's Heart
역시 ECM 사운드의 독특한 아방한 보컬 앨범. 키스자렛 트리오의 베이시스트 게리피콕의 아내로 알려졌을덧. 차가운 아넷피콕의 서정적 보컬을 들을수 있다.

Carla Bley / Sextet
칼라브레이는 잘 아실덧. 역시 칼라브레이만의 전위적인 연주와 함께 서정적인 ECM사운드를 만끽할수 있다. 잘 알려진 Lawns이란 곡이 들어있는 앨범

Chick Corea & Gary Burton / Crystal Silence
명반임은 두말할 나위 없고 이 크리스탈 싸일런스 곡은 라이브 앨범보다 본 앨범의 곡이 훨씬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개인적 차이겠지만 라이브 앨범이 아닌 본 앨범의 크리스탈 싸일런스 한곡만으로 감동을 자아내는 앨범

Dave Holland / Points of View
데이블 홀랜드만의 독특한 스타일의 이씨엠과 정통재즈의 만남.

Jan Garbarek / Visible World
얀 가바렉의 차가운 섹소폰이 아름답게 들리는 앨범인데 이 앨범도 정말 좋지만 아래에 소개할 포크송 앨범에 더 정이 가긴한다

Eberhard Weber / Fluid Rustle
비브라폰과 기타와 스캣형식의 보컬이 어우러지면 어떤 아름다움을 발산하는지 보여주는 매우 몽환적이면서 아름다운 앨범

Egberto Gismonti / Solo
피아노 하나만으로도 이토록 꽉찬 사운드와 깊이를 보여주는 뮤지션은 흔치 않아 보인다. 프레보라는 곡을 듣고 반해서 구입했는데 언제 들어도 그 감흥은 여전히 다가온다. 전위적이면서 서정석 미학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정말 꽉 찬,,, 피아노 솔로앨범. 정말 좋다

Charlie Haden & Jan Garbarek & Egberto Gismonti / Folk Songs
유명한 뮤지션들이 모여 앨범을 냈을때 그 완성도 면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 앨범은 그 편견을 깨뜨려 준다. 서정적 아름다움의 극치

Keith Jarrett / Paris Concert
키스자렛의 앨범은 너무나 많아서 어떤 앨범을 추천 리스트에 넣을까 고민을 했는데 콜론 콘서트 앨범보다 개인적으로 파리 콘서트 앨범을 좋아한다.

Ralph Towner & Gary Burton / Matchbook
랄프의 기타와 게리버튼의 비브라폰의 감동적인 듀엣. Drifting Petals과 Aurora곡을 들어보라.

Pat Metheny / As Falls Wichita, So Falls Wichita Falls
그 수 많은 앨범중에 개인적으로 꼽는 ECM 추천 앨범중 하나. 라일 메이즈의 영롱한 피아노와 펫의 기타가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곡들. September Fifteenth라는 곡 추천

Pat Metheny Trio / Rejoicing
Lonely Woman곡을 이토록 잘 만들수 있을까? 정말 감동이다. 고즉넉하면서 고독한 차박차박 거리는 이 깊이감. 너무 좋다

Charlie Haden / Ballad Of The Fallen
이 앨범에 참여한 뮤지션들이 너무 많다. 독특한 사운드의 재즈음악을 본 앨범에서 느낄수 있는데 여러 테마의 곡들이 한곡으로 이루어졌다. 역시 너무 좋은 앨범

Arild Andersen / The Triangle
이 외 Dino Saluzzi 의 Responsorium 앨범.. 그리고 실내악에 가까운 Giya Kancheli 의 In l'istesso tempo 앨범등도 정말 영혼을 울리는 그야말로 박수가 저절로 나오는 곡들을 발견할수 있을듯. 이상 ECM레이블의 재즈앨범 개인적 추천 여기서 마칩니다 ^^

EC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Šílen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