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레이] 프레데터 2
스티븐 홉킨스 감독, 게리 부시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프레데터 2]. 다른 많은 영화들이 그렇듯, 전작에 비해 가혹하리만큼 혹평 받았던 영화다. 사실 나 역시 어렸을 때 티비에서 [프레데터](1987)를 재미있게 보고 비디오로 2탄을 빌려봤지만(단골 비디오 대여점은 18금 비디오도 빌려주곤 했다. 어린 시절의 추억…) 다 보고 나서는 땅을 치고 후회한 기억이 있다. 당시에는 이해할 수 없었다. 에이리언의 두개골이 나온다는 것도 몰랐고. 그러다 20대가 돼서 게임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 시리즈(1999, 2001)에 잠깐 빠진 적이 있는데 그제야 에이리언과 프레데터 사이에 접점이 존재한다는 걸 알고 혼자 열광했던 기억도 난다. 열기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3탄이 나오지 않았고, 2004년에 나온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는 케이블로 잠깐 봤는데도 너무 형편없었으니까. 하지만 2007년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 2]가 나온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잊었던 열정이 되살아났고, 결국 지방까지 내려가 극장에서 보는 데 성공했다 훗.

잡설이 길었는데… 전작 [프레데터]의 강렬한 포스에 비하면 [프레데터 2]는 졸작인 게 사실이다. 누가 뭐래도 이것만은 분명하다. 주인공(해리건)과 주변 인물들(제리, 리오나)은 물론이거니와 프레데터 본인까지도 불쌍할 정도로 우스꽝스럽다. 스토리, 긴장감, 연출, 몰입도 등 모든 면에서 전작에 뒤진다. 전작을 능가하는 건 특수효과 정도랄까. 그럼에도 프레데터 팬들이 [프레데터 2]에 열광하는 이유는 사실 다른 데 있다. 여기부터 미리니름 경고.

바로 에이리언의 두개골과 마지막 장면에 단체-_-로 등장하는 어른(?) 프레데터들 때문이다. 에이리언의 두개골이 암시하는 바는 [에이리언]의 배급사가 폭스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비교적 명확하니 긴 말은 하지 않겠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 뭐 프레데터 10마리(명?)에 둘러싸이고도 "다음은 누구야"라고 개그를 치는 해리건은 개인적으로 정말 볼썽사나웠지만 그게 의도대로 초지일관-_-한 캐릭터였다고 받아들이고 대충 넘어가자. 여기서 장로인 듯한 프레데터가 해리건에게 1715년의 권총을 넘겨주는 장면이 그야말로 압권이다. 100분 동안 내내 지겹기만 했던 영화가 갑자기 빛나는 순간이랄까. 동시에 이 장면이 함축하는 온갖 의문과 가설들은 이후 무수한 하위 장르(코믹스. 물론 미국에서의 이야기다)와 팬덤을 일으켰다. 모든 걸 지켜보고 있었다는 듯 갑자기 나타난 10명의 프레데터들, 1715년 권총을 주며 "받아"라고 영어로 말을 하는 프레데터, 그리고 어디론가 떠나는 우주선….

미리니름 끝. 물론 현 시점에서는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 2] 덕분에 모든 의문이 밝혀졌지만, 아직 프레데터 시리즈를 제대로 보지 않은 관객에게는 여전히 충격적이고 당혹스러운 장면이다. 아쉽게도 후반부를 빼면 전혀 추천할 만한 영화는 아니지만, 적어도 [프레데터]를 흥미 있게 봤다면 부디 꾹 참고 끝까지 봐주길 바란다. 에이리언 시리즈의 팬들에게도 적극 추천한다.


덧: 소문은 돌았지만, 정말 블루레이로 나올 줄은 몰랐다. 이걸 폭스가 아직 프레데터를 포기하지는 않았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될까. 실제로 게임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의 새 시리즈는 2010년 1월 발매 예정에 있다. 그렇다면 언젠가 스크린에서도 새로운 프레데터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후후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ai 2009-06-25 2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건 보너스. 프레데터의 언어, 문자, 역사를 배워봅시다-_-
http://www.geocities.com/hollywood/highrise/7256/intro.html
 
[블루레이] 쿼런틴
스티브 해리스 외, 존 에릭 도들 / 소니픽쳐스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rec]] 리뷰에도 썼지만, 도입부가 한층 더 [다이어리 오브 데드]를 연상시키는, [[rec]]의 헐리웃 리메이크판이다. 하지만 리메이크라 부르기가 민망할 정도로 원작 영화와 차별되는 요소가 거의 없다시피 한, 헐리웃 리메이크답지 않은 헐리웃 리메이크였다. 어쩌면, 보통 동양 공포영화가 헐리웃에서 리메이크되는 경우를 많이 봐와서인지도 모르겠다. 또한 원작인 [[rec]]의 영상 퀄리티나 특수효과가 그리 나쁜 편도 아니었고, 원작도 리메이크도 좁은 공간에서의 핸드헬드 촬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더욱 원작과 차별화할 만한 부분이 없었다고도 볼 수 있겠다. 노래로 치자면 리메이크곡이 아니라 번안곡 정도랄까... 언어만 바뀌었지 다른 모든 부분에서 바뀐 게 별로 없다. 결론적으로, [[rec]]를 이미 본 관객들에게는 보너스에 불과한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이.씨
자우메 발라구에 감독 / 브에나비스타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상당히 무서운 영화라는 평에 기대를 하고 보기 시작했지만 초반은 상당히 평범했다. '도대체 어디부터가 무서운 건데-_-?'라며 보고 있는데, 음... 정말로 갑자기, 순식간에 무서워진다. 첫번째 살인(?) 장면의 공포는 정말 인상적. 그리고 중반부까지의 진행도 좋은 편이다. 초중반쯤 돼야 관객은 이 영화의 무시무시한 설정을 깨닫게 된다. 어떻게 보면 다분히 작위적인, 방송국 앵커와 카메라맨의 시선이라는 설정에 대해 아무런 의문도 가지지 않을 수 있다면, 정말로 굉장히 무서운 영화.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영화의 중후반부부터는 긴장감도 사라지고 등장인물들만큼이나 관객도 지쳐버리게 되는 게 흠이다. 또한 등장인물들이 공포에 질려 끝없이 짜증내고 소리지르고 가쁜 숨을 몰아쉬는 것도 상당히 관객을 짜증나게 만든다(꺅~ 꺅~ 귀아프게-_-). 이어지는 결말부는 더욱 실망스러운데, 1시간 넘게 제대로 된 영문도 모르고 공포에 떨다가 5분 만에 이 모든 사건의 원인이 밝혀지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도 상당히 작위적인 방식으로.

우연히도, 같은 해에 나온 [다이어리 오브 데드]와 상당히 비슷한 면모가 많긴 하지만, 나름대로 신선한 공포영화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모로 관객을 불편하고 짜증나게 하는 류의 영화인 것도 사실이다.


* 블로그에 포스팅했던 리뷰를 약간 수정해 올린다.
   원문은 이거→ [Rec] 신선하면서도 불쾌한 공포영화(2008-4-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퍼스 크리퍼스 - 할인행사
빅터 살바 감독, 레이 와이즈 외 출연 / 에스엠픽쳐스(비트윈)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다른 건 다 제쳐놓고 두 주인공들이 워낙 짜증나게 행동하는 바람에 보는 내내 짜증이 났던 영화다. 목숨을 위협하는 괴물 앞에서 공포로 몸이 굳어질 수도 있음은 인정한다. 그런데 그게 1분이 넘어간다면? 아무리 개념없는 주인공이라지만 그렇게 오래 멍하니 괴물을 바라보며 서있을 게 아니라, 몸을 돌려 도망을 가든가, 맞서 싸울 무기를 찾든가, 도움을 청하든가 해야 하는 거 아닐까? 물론 이 모든 게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후반에 밝혀지긴 하지만, 상식적으로 주인공들에게도 생존본능이라는 게 눈꼽만큼이라도 있다면 일단 시도는 해봐야 할 일 아닌가. 초반에 주인공들끼리 주고받는 대사 중에 이런 게 있다. "공포영화에 보면 바보같은 짓을 하는 놈이 꼭 있지. 그러다 죽는 거 몰라?" 그래, 사실 그게 바로 주인공들이 하는 짓이다. 이것을 감독의 의도적인 위트로 받아들일 수는 있다. 또한 주인공들의 개념이 안드로메다로 관광 떠난 지 삼백년이라는 사실을, 감독은 영화 시작부터 자연스럽게 묘사하고 있는데, 이것을 영화 내내 그들이 취하는 짜증나는 행동들에 대한 설명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제를 인정한다 해도 도저히 이 주인공들에게는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다. 아무리 공감하려 해도 전혀 이해가 안 된다. 그래서 도무지 몰입할래야 몰입할 수도 없고 즐길래야 즐길 수도 없고 무서워하려 해도 무서워할 수 없는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멘 SE (1976)
리차드 도너 감독, 그레고리 펙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 더 자세히 쓴 리뷰는 다음 주소에: http://feelyou.tistory.com/entry/다시-보는-오멘1976



일단 보면 알 수 있다.

어렸을 때 비디오로 봤던 기억도 이제는 희미해지고, 그래서 다시 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왠지 실망할까봐 두려움이 앞섰던 게 사실이었다. 하지만 보고 나니 웬걸, 30년이 넘은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 봐도 무서운 영화였다. 마치 [노스페라투](1922)를 지금 봐도 무서운 것과 같은 이유이리라. 즉 헐리웃에서 쏟아지는 10대 슬래셔 호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종류의 공포 영화라는 뜻이다.

시대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해준 치밀한 각본, 그리고 불길한 분위기를 조장하는 사운드트랙 또한 압권이다. 특수 효과는 물론 아쉬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기술적인 한계를 감안한다면, 그리고 CG로 떡칠한 듯한 요즘 영화들에 비추어본다면 오히려 감탄할 만한 수준이다.

영화 내용을 지금 이 자리에서 소개하는 건 시간낭비일 테고 생략. 대신 DVD 엑스트라를 보니 영화와 관련된 무서운 후일담이 있다길래 검색해보니 imdb를 비롯해 여러 문서를 찾을 수 있었고, 이를 옮긴다. 감독 말에 따르면 이 일들은 100% 사실이라고 한다. 영화와 관련된 사람들이 잇따라 죽었다는 [엑소시스트](1973)나 [폴터가이스트](1982) 같은 영화가 떠오르기도 하는데, 어찌 보면 참 섬뜩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그레고리 펙(로버트 쏜 役)과 시나리오 작가 데이빗 셀처(David Seltzer)는 다른 비행기를 타고 영국으로 향했는데 두 비행기 모두 벼락을 맞는 사고가 있었다. 로마에 있던 제작자 하비 번하드(Harvey Bernhard)는 바로 옆에 벼락이 떨어지기도 했다. 펙은 이스라엘행 항공편을 취소했는데, 그가 예약하려던 비행기는 추락했고 생존자는 없었다. 감독 리차드 도너(Richard Donner)가 머물던 호텔은 IRA에 의해 폭격을 당했고, 그는 차에 치이기도 했다. 영화에 기용된 로트와일러들은 조련사를 공격했다. '미친 원숭이'신을 찍었던 사파리 공원의 관리인은 스탭들이 떠난 다음날 사자에게 공격당해 사망했다. 후반작업 기간에는, 특수 효과를 맡았던 존 리차드슨(John Richardson)이 [머나먼 다리(A Bridge Too Far](1977)의 세트에서 BMW를 몰다가 부상을 입었고 그의 여자친구는 목이 잘렸다. (imdb의 FAQ 중 발췌 번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