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지만 만약 그때 누군가 연희에게 한 가지 소원을 물었다면 서슴없이 대답했을 것이다. 생의 가장 마지막 순간을 그와 함께 보내고 싶다는 것. 자신도 세중도 저마다의 삶을 다 살고 나서, 이번 생에 부과된 사회적 의무나 가정적 책임, 주어진 과업을 각자 완수한 다음, 한 일 년쯤 여분의 삶이 허용된다면 생의 가장 마지막 네 계절쯤을 그와 함께 보내고 싶다는 것.(p.229)  
   

  

 

 

 

 

 

 

 

찾아보니 이 책의 저 구절에 밑줄을 그은게 2004년 이다.  당시에 나는 헤어진 남자를 잊지 못하고 꼭 저런 마음을 가진 상태였다. 나중에 아주 나중에 그가 아이가 있다고 해도 또 내가 아이가 있다고 해도 다 뿌리치고 네 계절을 그와 함께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거다. 그리고 반드시 그러리라고, 그도 아마 동의할거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지금은 2011년 3월, 그때 그런 생각을 했던것도 그리고 이 책에서 꼭같은 마음을 발견하고 밑줄을 그었던 것도 기억나지만, 지금은 전혀 그때의 마음이 아니다. 오히려 내가 그런 생각을 했었다니, 하고 좀 생뚱맞은 생각이 든다. 내가? 그랑? 그때의 나는 분명 그를 '사랑'한다고 생각했고 이런 사랑은 다시 오지 않을거라는 생각을 했던 것도 같은데, 십년도 지나지 않은 지금, 그때의 생각은 실천하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으며, 우리가 했던게 사랑인가 싶기도 하다. 심지어 만약 누군가와 생의 마지막 사계절을-겨울을, 봄을, 여름을, 가을을- 보내야 한다면 그가 아닌 다른 남자를 택하고 싶은 심정이다. 게다가 나는 그때 나의 생각을 그에게 말했는지 어땠는지조차 기억나지 않는다. 하- 사랑이란 부질없는 것. 언제고 잊혀지고 마는 것. 

그리고, 다른 사람과 언제든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것.  

 

  

 

 

 

 

 

 

 

이 영화를 볼때의 나는 연애중이었다. 그리고 그때 연애중인 남자와 처음으로(마지막이 되기도 했지만) 본 영화였다. 극장안에 들어가서 그와 나란히 앉아 있는데 몹시 긴장이 되고 또 신경이 쓰였다. 그건 사귄지 얼마 안되는 남자와 여자가 어두운 극장안에서 할 수 있는 스킨십에 대한 기대 때문이 아니라, 이 남자가 나의 손을 잡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영화가 시작하기 전, 우리는 어떤 대화를 했고, 그는 말 끝에 '나한테 기대서 봐요' 라는 말을 했는데, 아, 정말 싫은거다! 어색한 분위기를 만들고 싶지는 않아서 나는 그저 웃었지만 그때부터 걱정이 되서 영화에 집중이 잘 되질 않았다. 나는 혹시라도 그가 나의 손을 잡을까봐, 제발 잡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경직된 몸으로 꼿꼿하게 앉아서 영화를 봤다. 내 몸은 그가 있지 않은 쪽으로 기울었다. 그리고 그때 나는 알았다. 나는 이 남자와 이 연애를 계속 하기 어려울 거란 걸. 시간이 지나도 나는 이 남자의 손을 잡고 싶은 마음 혹은 이 남자에게 손을 잡아달라고 말하고 싶은 마음은 결코 생기지 않을 거란 걸. 

예스라고 말하지 말걸, 사귀지 말걸. 그랬더라면 나는 연애를 한번 덜 한 대신 이별도 한번 덜 했을텐데. 그 이별도 나름대로 아팠는데. 

  

 

 

 

 

 

 

 

영화 [만추]에서도 내가 가장 좋아했던 장면은, 포크신이나 하오/화이 씬이 아니라(그 장면도 좋았지만!), 몇번 언급했듯이 버스 이별장면 이었다. 버스안의 탕웨이에게 손을 흔들어주던 현빈. 탕웨이가 돌아보면 또다시 그자리에서 손을 흔들어 주던 현빈. 그러니 마지막, 탕웨이가 기다리는 장면도 나는 해피엔딩으로 보였다. 현빈은, 그러니까 돌아볼때마다 그자리에서 웃어주고 손을 흔들어줬던 현빈은 돌아올거라고 나는 믿었으니까. 그 믿음으로 그녀는 며칠이고 몇년을 지낼 수 있을 것 같았으니까. 무슨일이 있어도.

이 영화 [프로포즈 데이]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벤치에서 잠깐 자고 눈을 뜬 남자가 여자가 없어진걸 알고 마침 그때 떠난 버스를 보며 안타까워하던 장면이다. 잠시 커피를 사러 갔다 돌아오던 여자는 떠나버린 버스를 보며 안타까워하는 남자의 뒷모습을 보게 되고, 그 모습을 보며 잠시 멈칫 한다. 내가 탕웨이라면 자꾸만 그 자리에서 손 흔들던 현빈에게 '이 남자를 사랑할 수 밖에 없어' 라고 느끼게 됐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이 영화안에서도 나는 바로 이때, 이 여자가 이 남자에게 사랑을 느낄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싶어졌다. 내가 떠난 줄 알고 안타까워하는 남자. 그의 등을 두드리며 내가 사온 커피를 내미는 그 순간, 그 순간은 정녕 행복이지 않을까. 그의 안도, 그리고 그녀의 웃음. 

 

 

얼마전 친구와 대화를 나누다가 친구가 내게 '사계절이 있다는게 좋지 않아요?' 라고 물었었다. 맞다. 정말 좋다. 그와 함께 살아볼 수 있는 봄,여름,가을,겨울이 있다는 게 좋다. 혹은 그와 함께 살지 않아도 그를 좋아하는 시간이 흐르고 흘러 봄이 되고 여름이 되고 가을이 되고 겨울이 된다는 게 좋다. 나는 그의 외투 입은 모습을, 긴팔을 입은 모습을, 반팔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은가. 눈이 오면 눈이 온다고 전화를 할 수 있고 비가 오면 비가 온다고 문자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다. 이건 사계절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점심을 아주 맛없게 먹었다. 점심을 맛없게 먹으면서, 한숨을 쉬면서, 뜨거운 후렌치 후라이를 먹고 싶다고 생각했다. 약간 김빠진 콜라와 함께. 뜨거운 후렌치와 약간 김빠진 콜라를 테이블에 놓아두고 하나씩 집어먹고 또 빨대로 빨아 먹으면서, 봄과 여름에 그리고 가을과 겨울에도 내내 좋아했던 남자를 기다리고 있었으면 좋겠다고, 사계절 내내 좋아하던 그를 기다리는 나였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그런 나라면,  

탕웨이랑 별 다를 바 없지 않을까. ( '') 


댓글(3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니 2011-03-02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엥, 왜 점심을 그렇게! 아우, 막 제가 속상하네요.
가만 생각해보니 탕웨이랑 다락방 님이랑 별 다를 바 없어요, 맞아요 맞아요. ㅎㅎ

다락방 2011-03-02 17:06   좋아요 0 | URL
그니깐요. 제가 한국말을 해서 그렇지 뭐 별 다를 바 없습니다. 저도 남자 기다릴 줄 알아요. ㅎㅎ
그리고 저도 메탈 알러지 있어서 귀걸이 하고 나면 귀 벅벅 긁어요.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음..어쩐지 쓸쓸하네요.)

Mephistopheles 2011-03-02 14: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구절이 떠오르는 남자와. 영화를 같이 본 남자도.....울렸나요? (아 이쯤해야지 이러다 미움받을라..)

다락방 2011-03-02 17:07   좋아요 0 | URL
저 심오한 표정을 짓고 있다가 이 댓글 보고 뿜었어요. 풉-
일단, 저 구절이 떠오르는 남자는 제가 울렸고(!)
영화를 함께 본 남자는 울리지 않았습니다.
운 남자도 제가 울린게 아니라 지가 운거에요. 지 감정에 겨워서. 저는 그저 가만 있었을 따름입니다. 하핫 ;;

따라쟁이 2011-03-03 11:03   좋아요 0 | URL
그니까. 너무 이쁘니까. 그냥 보고만 있어도 감정에 겨워지는거죠.아.. 정말..

다락방 2011-03-04 08:34   좋아요 0 | URL
이쁜 여자는 그냥 남자를 울리는구나...

비로그인 2011-03-02 15: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로포즈 데이 안봤지만 포스터 사진 작가가 안티였나 봅니다ㅠㅠ

다락방 2011-03-02 17:07   좋아요 0 | URL
이 영화 기대이상으로 괜찮거든요! 그런데 포스터만 보면 너무 삼류 같아요 ㅜㅜ
그렇지만 엄청 재미있어요. 훗 :)

웽스북스 2011-03-02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나탈리포트만보다 더 좋아하는 여자, 라는 공통점도 있어요 탕웨이와 다락방님은 ㅋㅋ

다락방 2011-03-02 17:08   좋아요 0 | URL
역시 전 다음생에도 저로 태어날래요. 하버드대 나탈리 포트만은 좀 끌리지만 발레리노와 사랑하는 가슴 작은 나탈리 포트만은 별로 안끌려요. 그보다는 웬디양님의 사랑을 받는 팜므파탈 다락방쪽이 훨씬 낫죠. ( '')

굿바이 2011-03-02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왕~ 극장에서 긴장하면서 영화를 본다는 것, 우왕~ 어찌되었건 우와~입니다 :)
요즘 제가 극장에서 긴장하는 건, 아이들이 옆에 앉을까봐, 욕이나 의성어가 심한 십대들이 옆에 앉을까봐, 수다를 작정하고 오신 여성분들이 옆에 앉을까봐, 내가 봐도 너무 엉성한 교태를 부리는 연인들이 앉을까봐 긴장하는 일 뿐입니다. ㅜㅜ 아, 한 가지 빠졌네요. 어마어마한 양의 팝콘 통을 들고 있는 분들도 포함이요!

그나저나 탕웨이랑 별 다를 바 없다하시니, 정말, 급하게 다락방님이 궁금해졌어요. 그렇지만 저는 관음증을 자제하는 관계로 일단 참으렵니다. 좋은 오후 보내세요~

다락방 2011-03-02 17:44   좋아요 0 | URL
저는 일전에 국내영화 [어깨너머의 연인]을 보러 갔는데 영화 시작전에 엄청나게 키스를 해대는 젊은 커플을 보았어요. 와- 대단하더군요. 계속 계속 키스를 하더니 영화가 시작하는 순간 둘이 나가버렸어요. 광고랑 예고편 내내 앉아서 키스하다가..그들은 극장을 나가서.......어디로 갔을까요? 하하하핫.
아 팝콘, 이라고 하시니 배가 고파서 미치겠네요. 서랍 뒤져봐야겠어요. 뭐 먹을거 나오나.

음, 저는 앞으로 굿바이님을 만나는 일은 없도록 하겠습니다. 혹 탕웨이를 연상하며 저를 만나실경우 저는 돌맞을 확률이 이백프로이기 때문입니다. orz

레와 2011-03-02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스라고 말하지 말걸, 사귀지 말걸. 그랬더라면 나는 연애를 한번 덜 한 대신 이별도 한번 덜 했을텐데. 그 이별도 나름대로 아팠는데."

내가 아는 다락방이라면, 그 때 그 순간으로 돌아가도 예스라고 말했을거 같아요.:)


언제나처럼 다락방 페이퍼 참 좋아요.



다락방 2011-03-02 17:45   좋아요 0 | URL
맞아요, 그때로 돌아가면 똑같을 거에요. 그때는 그냥, 음, 사귀고 싶었어요. 그남자가 아니어도 좋았을거에요. 그런데 마침 그때 그남자가 나타난거죠. 그때 막 엄청난 사람하고 이별하고 난 뒤라 미쳐있는 중이기도 했고 말이지요. 아, 울것같다.. ㅠㅠ

hnine 2011-03-02 18: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다락방님은 제목을 참 근사하게 쓸 줄 아십니다.
제가 감히 댓글을 매번 못달아서 그렇지, 매번 안 읽어볼수 없게 만드세요.
감정의 종류 중 안타까움이라는 감정, 어쩌다 한번은 괜찮은데 너무 자주는 곤란해요. 남는게 없다는 말이지요 ㅠㅠ

다락방 2011-03-02 17:46   좋아요 0 | URL
제목, 마음에 드십니까, hnine님! ㅎㅎ

네, 맞는 말씀이에요. 안타까움이라는 감정, 그게 자주 일어나면 아마 길바닥에 주저앉아 다시 일어나기 힘들지도 몰라요. 안타까움은 특히나 더 '어쩌다 한번' 이어야 해요.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정말로요.

hnine 2011-03-02 18:17   좋아요 0 | URL
저의 윗 댓글에서 두번째 문장 가운데 토막이 실종되었었는데 읽으시면서 혹시 이상하지 않으셨나요? 원래 쓰려던 대로 돌려놓았어요. 죄송...

다락방 2011-03-02 18:38   좋아요 0 | URL
앗! 저 안그래도 잘 이해가 안되서 다시 여쭤볼까 하다가 어쩐지 실례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나름대로 이해하려고 애썼어요.결국 수정하신 댓글과비슷하게 이해했어요.이런뜻이 아닐까..하고 말이지요. 그러나 수정해주시고 말씀해주셔서 고마워요! 다행이에요.:)

소나기 2011-03-02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봄이 되면, 사랑이 하고 싶어져요.
작년에도 이랬는데, 올해도 역시...(웃음)

다락방 2011-03-02 17:47   좋아요 0 | URL
봄에는 봄사랑을
여름에는 여름사랑을
가을에는 가을사랑을
겨울에는 겨울사랑을 하고 싶죠.
올 봄에는 사랑하세요, 홀릭제이님! :)

... 2011-03-03 0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제가 대박소식 하나 알려드릴까요? 저기 <프로포즈 데이>에서 나오는 leap year가 바로 내년, 2012년 이라는 거 아시나요? 자자, 2월 29일날 아일랜드행 비행기 티켓 예약을? 하하하하. 저 영화때문에 에이미 아담스가 좋아졌어요.

한국영화 잘 안 보시는 다락방님이 연애할 때는 영화관가서 보시는 군요! 하핫;; 님은 먼곳에의 마지막씬에서 수애는 대단했었죠.

참, 그 김빠진 콜라는 제로였습니까?

다락방 2011-03-03 12:50   좋아요 0 | URL
좋습니다, 좋다구요. 아일랜드행 비행기 티켓 예약 하면 되죠. 그런데 말입니다. 가서 누구한테 청혼합니까? 아일랜드 남자 아무나 잡아서 청혼합니까? 일단 청혼할 남자가 있어야 제가 예약을 하고 거기로 데리고 갈거 아닙니까. 네?!!!
연애할때는 영화관도 가고 비디오방도 가고(응?) 노래방도 가고(응?) 뭐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ㅎㅎ

김빠진 콜라는 클래식입니다. 제로여서는 안돼죠. 남자를 기다리는 일은 칼로리 소모가 엄청난 일이거든요. 하핫

세실 2011-03-03 0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그래서 <그대를 사랑합니다>가 아쉬웠어요.
이순재와 윤소정의 사랑. 윤소정이 처음으로 사랑의 감정을 느낀, 자신을 사랑해준 이순재를 잃는게 두려워 그 사랑의 감정을 평생 간직하고자 홀로 고향으로 떠나거든요. 저라면 죽을때 죽더라도 적어도 사계절은 함께 하고싶은 생각 들거 같아요.
아 봄사랑.....설레이는 단어예요^*^

다락방 2011-03-03 13:13   좋아요 0 | URL
저는 그 영화를 보지 않았고 원작인 만화도 보지 않았지만 윤소정이 느낀 감정이 무엇인지 너무나 잘 알 것 같아요. 요즘의 저는 정말이지 무척 좋은 사람 하고는 사귀지말자 헤어지기 싫으니까요. 사계절을 함께 하는 것도 좋겠지만 사계절을 함께 하지 않아도 그저 좋아하는 것만으로도 괜찮지 않은가 싶어요.

봄사랑, 설레이죠.
:)

무스탕 2011-03-03 09: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페이퍼에 걸린 책 한 권, 영화 두 편 다 못 봤음.
그래도 다락방님 맘은 다 알아 먹겠음.

오늘 점심은 필히 맛있는걸로 성공하세요~ :D

다락방 2011-03-04 10:03   좋아요 0 | URL
3월3일의 점심은 게살야채죽이었습니다. ㅎㅎㅎ 뚱뚱한 게살을 씹어서 기분이 좀 좋더라구요. 게살을 느꼈어요..
저녁에는 오사카짬뽕,양송이삼겹,팽이삼겹,베이컨 감자를 안주삼아 소주를 마셨고 대구포를 안주 삼아 맥주를 마셨어요. 오늘 아침 출근이 피곤했습니다, 무스탕님. 흑흑 ㅜㅜ

2011-03-03 10: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3-04 10: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3-04 11: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3-04 13: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