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월요일 책탑을 제대로 올리는 것 같다.


책을 샀다.



















집에 사두고 안읽은 원서도 많고 내가 혼자서 원서를 완독할 자신도 없어서 언젠가부터 원서는 잘 사지 않았더랬다. 읽을 자신도 없는데 쌓아둬서 뭣하나 싶어 있는 원서들도 조금씩 팔고 있었다. 그런데 미국에 사는 친구가 내게 [LATE MIGRATIONS] 를 보내왔다. 응? 친구는 사인본을 보내왔는데, 나는 이 책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었고, 그런데 친구가 미국에서 이 책을 보냈을 때에는 분명, 이 책이 좋을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 그래서 이 책은 읽어보자 싶었는데 펼치자마자 첫 줄부터 읽을 수 없다는 판단이 들었고, 나는 잽싸게 이 책의 번역본이 있는지 검색해보았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작별 인사를 할 때마다] 였고, 나는 급박한 마음으로 주문했다.


원서의 첫 문장은 이것이었다.


We didn't expect her quite as early as she came. 


나는 이 문장이 해석되지 않았다. 위 디든 익스펙트 허, 까지는 알겠는데, 그러니까 우리는 그녀에게 기대하지 않았다, 까지는 됐는데 그 다음은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지? 그래서 책장을 덮고 번역본을 주문한거다.


번역본의 첫 문장은 이랬다.


그 애가 그렇게 일찍 나올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아... 어렵다. 그렇지만 이 책은 아주 좋을 것 같다. 그것이 나의 느낌적 느낌~


















알라딘에서 서재 활동을 한다는 것, 편파적인 독서에서 그치기를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라는 사람을 개인적으로 놓고 보면 크리스티앙 보뱅, 이렇게까지 많이 읽을 작가가 아닌데, 서재 활동 하다보면 '어디 이번에도 다시 한 번?' 이렇게 되어서 좋아한다고 말하지 않는 작가를 사고 또 사고 읽고 또 읽고.. 보뱅 난 좀 아닌듯, 하면서 벌써 보뱅의 책이 몇 권째인지.. 인생이란 무엇인가.


[모로 박사의 섬]은 [모로 박사의 딸]이라는 책을 읽고 싶어져서 샀다. 모로 박사의 딸은 모로 박사의 섬을 읽은 작가가 쓴 소설이라는데, 그렇다면 모로 박사의 섬을 보고 무엇을 느꼈길래 자신이 다른 식의 이야기를 쓰게 되었을까, 그러니까 마치 제인 에어를 읽고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쓴 진 리스 처럼, 그런 식의 흐름인건가 싶어서 급박하게 주문했다. 나여..


알라디너들이 모두 좋아하는 에세이스트가 비비안 고닉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나는 한 권 읽고 더는 안 읽어도 되는 작가, 라고 나름 생각했다가, 그런데 이렇게나 사람들이 좋아한다면 뭔가 있지 않을까, 하고 한 권 더 읽어보자 생각했다. 그렇다면 그것은 공산주의로 가는거야! 막 이래가지고 샀다. 내가 알라딘을 하기 땜시롱 나는 별로인데 사람들이 이러는거 보면.. 하고 알랭 드 보통 도 여러권 읽었다.. 그래도 좋아지진 않았습니다.


















얼마전에 e 가 자신이 최근에 읽는 책에 자꾸 코페르니쿠스가 언급된다고 했다. 나랑 관심분야가 전혀 다른 e 라서 나는 코페르니쿠스가 잘 안나오는데 e 는 나오는 것 같다. 아무튼 자꾸 나온다길래, 그러면 코페르니쿠스 궁금하지 않아? 알고 가야할 것 같지 않아? 앞으로도 계속 나올텐데? 했고, 그런데 딱히 e 는 그런 생각을 하는 것 같지는 않아서, 내가 샀다, 코페르니쿠스 ㅋㅋ(네?) 사실 코페르니쿠스 이름만 알지 아무것도 모르고 그렇다고 자세히 파고들만큼 흥미가 동하는 건 아니고 그래도 기본은 알아야 하지 않나 싶어서 만화로 샀다. 이렇게 만화로 사둔 책들도 여러권인데 만화로 사도 안읽더라고요.. 


아무튼 문학을 좋아하는 여러분들아, 앞으로도 문학을 계속 읽기 위해서라면 성경을, 안나 카레니나를, 위대한 유산을, 레베카 를 읽어두면 아주 도움이 됩니다. 이걸 읽어둔다면 여러분은 각주 없이 술렁술렁 책장을 넘길 수 있으며, 제 때에 농담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읽어봤는데 성경은.. 한 번 가지고는 안되겠더라고요. 흠흠.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는 사실 예전에 처음 번역 출간되었을 때에 읽었던 책이다. 그 당시 읽은 소감은 '아이고 참 시끄럽네' 하는 느낌이었고, 그래서 나는 엘리자베스 길버트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으며 이 책이 영화로 나온 것도 보지 않았다. 정말 흥미가 생기지 않았거든. 그런데 최근에 <달콤한 이곳>에서 남자 주인공이 이탈리아에서 이탈리아어 공부하는 거 보니까 갑자기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생각이 뽝 나는거다. 거기서 초반에 주인공이 이탈리아어와 사랑에 빠져서 막 공부하지 않았나? 하게 되어 읽어보고 싶었다. 리스본행 야간열차였나, 거기서는 주인공이 포르투갈어를 사랑하게 되어 막 공부하는게 나오는데, 나는 그런 부분이 진짜 좋다. 그러니까 누군가가 무엇과 사랑에 빠지게 되는 계기, 그래서 어떻게 그 사랑을 이어나가는지 보는게 좋다. 얼마전에는 나의 팬을 자처하는 분이 인스타로 디엠을 주셨다. 덴마크어랑 사랑에 빠지게 된 계기를 알려주시고 그래서 공부하고 있다는 이야기였는데, 나는 그런 이야기들이 정말 자지러지게 좋다. 그래서 이탈리아어랑 사랑에 빠진 얘기를 다시 읽고 싶어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를 사게 된거다. 이미 읽은 책이고 좋은 느낌은 아니었으니 중고로 사자, 하고 최상으로 구매했는데, 저 사진에서도 이미 알 수 있지만, 그런데 책 상태 어쩜 이러니..





하아.. 내가 읽는데 지장 없으면 걍 읽자~ 하는 사람인데, 그러니까 반품 교환 같은거 잘 안하는데, 이건 너무 싫어서 반품신청해뒀다. 반품하고 도서관에서 빌려 읽어야지. 중고 최상인데 좀 너무하신 거 아닙니까?


어제 <샬라샬라> 보는데, 성동일이 대영제국박물관 가면서 영국까지 오는데 60년이 걸렸다는 얘기를 했다.

그 말이 참 인상깊었다. 어떤 사람들은 굳이 바라지 않아도 이십년도 안걸려 닿는 곳에 어떤 사람은 간절히 바라도 60년 혹은 그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 확 다가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60년이 걸려서 기어코 거기에 닿은 것도 좋았다. 그만큼 더 스스로가 받아들이는 감동이 크지 않았을까.

엄마랑 보면서 그런 얘기도 했다.

엄마 지금 성동일이 보는 저 파라오가 이집트의 왕인데, 엄마도 모세가 아이일 때 버려진 건 알지? 그리고 이집트 왕 파라오의 친구였는데(책 람세스에서 그렇게 말함), 이집트 왕이 기독교를 박해해서 모세가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 다 데리고 이집트를 떠났잖아? 그걸 쓴게 출애굽기야, 나갈 출에다가 애굽이 이집트란 뜻이거든, 이집트를 나가다, 해서 출애굽기. 그래서 모세가 이집트를 나오는 이야기가 출애굽기인거야, 라고 했다. 엄마는 교회를 다니시고 성경을 읽지만 출애굽이 그런 뜻인줄은 몰랐다며 너는 어떻게 알았냐고 하셨다. 성경 읽다가 궁금해서 검색해봤지, 그리고 나는 람세스라고, 저 파라오의 입장에서 쓴 책도 읽었거든. 다섯권짜리 람세스 읽었는데 기억나는 건 네페르타리의 이름...


어제 내가 본 회차에서는 샬라샬라 멤버들이 모두 스피킹 테스트를 받았는데 어쩐지 처음보다 다들 실력이 조금 향상된 것 같았다. 확실히 도움이 되는 것같다. 무엇보다 나 역시 여기서 배우는게 있었는데, please 에 대한 것이었다. 좀 더 공손한, 정중한 부탁의 경우, 예의상 플리즈 를 붙인다고 알고 있었는데, 샬라샬라 멤버들의 선생님은 please 를 절대 잊지 말라고 말하는게 아닌가! 아, 나도 잊지 않도록 해야겠다. 그러고보니 여행을 다니면서 짧은 영어를 할 때 내가 플리즈 를 말한 기억이 별로 없는거다. 나 그간 무례한 영어를 하고 있었던건가. 잊지말자 플리즈!! 


스페인어 듀오링고 할 때 영어의 플리즈와 같은 용도로 쓰이는 말이 '포르 빠보르' 이다. 내가 그간 스페인어를 말할 일은 전혀 없었지만, 이탈리아어로는 플리즈가 '페르 빠보레' 이고 이건 써먹었던 적이 있다. 잊지말자, 플리즈, 포르 빠보르, 페르 빠보레!!




주말에 다섯살 조카랑 놀았는데, 조카가 내 품에 안겨서는 내 볼에 자기 볼을 부볐다. 이건 경험한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아주 큰 행복인데, 그런 한편 감격스럽기도 했다. 이렇게 못생기고 나이도 많은 고모, 뭐가 좋다고 볼을 부빌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내가 이런 사람인 그대로 이 아이는 내가 좋다고 볼을 부비다니, 거기에서 오는 감동이 정말 큰거다. 그러면서 감사하고! 내가 이 아이에게 사랑을 주는 데에서 오는 기쁨이 정말 크지만, 이렇게 아이가 볼을 부벼오고 나를 끌어안을 때면, 나 역시 이 아이로부터 벅찬 사랑을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울컥해진다. 어떻게 나에게 이런 사랑이 왔을까, 이거야말로 나의 큰 복이다, 하는 생각이 든다. 아이랑 놀고 나면 정말이지 에너지가 금세 고갈되는데, 그런 한편 충만한 사랑으로 가득 차기도 한다. 이런 조카가 태어난 것, 이런 조카를 세상에 내놓은 동생 부부에게 감사하면서, 그런데 이들 부부를 연결해준 건 나라는 생각을 하면.. 역시 내 행복, 내가 만들어가는구나 싶다. 잘난척 맞다.


이만 총총.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25-03-10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맞다 <사생아>는 어쩐 일로 읽고 싶어졌나요??
보뱅은... 보뱅은... 다락방 님이 좋아했던 그 보뱅 책(<그리움의 정원>이었나요?)보다는 덜 좋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락방 2025-03-10 11:14   좋아요 1 | URL
알라딘 이웃의 별다섯 구매자평을 보고 장바구니에 넣었는데 검색해보니 잠자냥 님은 별 셋을 주셨더라고요? 그래서 이걸 사, 말어? 갈등하다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 내가 읽고 판단해보자, 해가지고 샀습니다. 제가 읽은 구매자평에서 ‘인생‘ 과 ‘외로움‘이란 단어를 보고 꽂혔거든요. ㅎㅎ

숲노래 2025-03-10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받는 기쁨’을 아는 아이는 누구한테나 ‘사랑하는 기쁨’을 가만히 베풀더군요.

다락방 2025-03-11 11:54   좋아요 0 | URL
조카의 얼굴이 눈에 아른아른합니다!

blanca 2025-03-10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최근 새 책이 그래서 사진 찍어 교환했어요. 저도 처음 하는 반품이었어요. 웬만하면 그냥 넘어가는데 몇 장이 아예 접혀져 있더라고요. 조카가 볼을 부비는 고모라니...저도 최근에 네 살 조카가 마음을 주었어요. 그런데 헤어지며 ˝이모, 같이 가.˝ 이러는 거예요. 저는 고모 -..- ㅋㅋ <안나 카레니나>와 <레베카> 완전 공감요! 톨스토이는 할아버지였는데 어떻게 이런 여성의 심리를 꿰뚫는 책을 썼을까요? 전 이게 너무 신기해요. 여자들 마음 속에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느낌.

다락방 2025-03-11 11:56   좋아요 0 | URL
가끔 조카가 ‘이모‘라고 했다가 ‘아니 고모‘ 이럽니다. ㅎㅎ
아이가 저를 안고 제 볼에 자기 볼을 갖다 대고 제 얼굴을 가까이서 들여다보며 깔깔 웃고 그러는게 진짜 너무 행복해요 블랑카 님. 어떻게 나한테 이런 사랑이, 이런 행복이 왔을까 감사한 마음입니다. 이것이 나의 복이구나 싶고요. 보고 오면 더 보고싶어지는 것도 참 신기합니다. 너무 예뻐요 ㅠㅠ 제가 예뻐하는 걸 자기도 아는거겠죠? 그러니 조카도 저에게 안길 수 있는 거겠지요? 아 너무 예뻐요. 행복합니다 ㅠㅠ

안나 카레니나의 첫문장은 정말 아주 많이 인용되잖아요? 읽어두면 두고두고 도움이 됩니다. ㅎㅎ

단발머리 2025-03-10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하면서 관심 분야 책 아닌데 서재 이웃님들 뽐뿌에 넘어가 ㅋㅋㅋㅋㅋ 읽는 책들 너무 좋아요. 베셀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특히나 더 그렇구요. 저는 그게 그렇게 멋져요. 나도 000을 몇 권 읽었는데, 별로더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별로여도 이번에 혹시나 하며 읽는 마음을 제가 좋아합니다.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앞부분에 이탈리아 음식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ㅋㅋㅋㅋㅋ 먹고~~의 ‘먹고‘ 담당 나라가 이탈리아죠. 제가 애정하는 책이라 무척 반갑고요. 이거 뭔일이에요. 최상인데 상태가 저렇다니요. 이건 진짜 반품 각입니다!!!!!! 알라딘은 각성하라!

다락방 2025-03-11 11:58   좋아요 0 | URL
그렇습니다. 알라딘 서재 하다보면 제 관심분야가 아닌데도 제가 읽고 있는 매직이 일어납니다!! ㅎㅎ 그래서 좋아요. 안그랬으면 저는 지독히 편협한 독서가가 되었을텐데 말입니다. 아마도 소설..오타쿠가 되어 있지 않았을까요. ㅋㅋㅋㅋ

먹고 기도하고 사랑하라.. 읽다보면 이탈리아어 공부하는 거 나오지 않나요? 하도 오래되어서 기억이 가물가물. 이탈리아 음식 이야기가 많이 나오나요? 아니 그런데 제가 왜 그걸 까맣게 잊고 있을까요? 역시..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예순살에 이탈리아 가서 살려면 역시 다시 읽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계획적으로다가.. ㅋㅋㅋㅋㅋ

꼬마요정 2025-03-10 1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히힛, 저도 집에 쌓여있는 책들 보면 왜 샀지? 또 누구의 글을 보고 홀랑 넘어가서 샀을까 궁금해 합니다. ㅋㅋㅋㅋ 너무 좋아요, 이 책을 읽은 누군가의 글이 너무 좋아서 책을 사게 되는 행위가... 읽는 행위가 아니라 사는 행위라는 게 구멍입니다만.

제가 다니는 주짓수 도장에 일반 외국인들도 오고 외국인 선수들이 가끔 와서 배우기도 하고 작은 세미나도 하고 큰 세미나도 하고 그러거든요. 그래서 이제 도장 사람들이 물어보고 하면 관장님이 꼭 플리즈 붙여 달라고 해요. 진짜 어감이 다르다고 하면서요. 하긴 저도 그렇지만 문장을 완성형으로 하는 게 아니니까 뭔가 엄청 건방질 것 같긴 해요 ㅋㅋㅋ 그냥 하우? 쇼 미 머 이렇게 하니까... 근데 땡큐는 꼭 하는데... ㅋㅋㅋㅋ

샬라샬라 봐야 하는데, 저는 영 예능이 안 맞아요...ㅠㅠ 제가 엄기준 배우 팬이란 말입니다. 제가 지키리거든요... 근데 예능을 못 봐...ㅠㅠ 제가 무한도전 보다가도 졸고 있는 사람입니다...ㅠㅠ

다락방 2025-03-11 12:01   좋아요 0 | URL
저도 이제 책장에 안읽은 책이 너무 많아서 ㅠㅠ 어떤 책들을 보면 ‘이건 뭐야?‘ 이러고 ‘이건 대체 왜 샀지?‘ 하기도 합니다. 아마 그때그때 알라디너들의 글 읽고 산게 아닐까..그런데 시간이 지나니 까맣게 잊고야 만.. 하하하하하. 왜 살때마다 급박한데 그 급박한 책들을 사고나면 안읽고 그대로 쌓이는걸까요? 네? 왜죠? 대답해보세요!! ㅋㅋㅋㅋㅋ

저는 예능 안보는 사람이었는데 이제 보는 사람이 되었네요. 샬라샬라 챙겨보기 때문에.. ㅋㅋ 샬라샬라 너무 좋아요. 제가 좋아하는 요소가 들어있습니다. 나이 들어서 영어 공부하기!! 아 전 이걸 보는게 너무 좋습니다. 다들 끝마칠때쯤 얼마나 성장해있을까 기대하고 보고 있습니다. 후훗. 엄기준도 영어 실력 향상되기를 제가 바라봅니다. 빠샤!!

독서괭 2025-03-11 1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 이게 바로 책탑이지!! 그동안 너무 소박하셨습니다 ㅋㅋ 다락방님의 책구매기를 보면 참 다양한 이유로 책을 살 수 있구나 싶어져요 ㅋㅋ
근데 어떻게 저런 책을 ‘최상‘이라고 내놓았을까요? ㅠㅠ 환불은 잘 받으셨나요?
볼 부비부비 귀요미 조카(하트뿅뿅)

다락방 2025-03-12 08:13   좋아요 0 | URL
이번주에는 아직 책을 사지 않았습니다. 사고싶은 책들을 장바구니에 넣어두긴 했습니다만 ㅋㅋ 책 사는 것도 좀 줄여야해요 ㅋㅋ(늘 하는 말)
책은 반품하였고 회수해갔습니다. 아직 환불은 되지 않았고요. 어휴.. 너무해요 진짜로 ㅠㅠ

왜 아가들이 품에 안겨서 완전히 의지하고 머리까지 기댈 때 기분이 진짜 너무 좋잖아요. 이 아기가 나를 절대적으로 신뢰한다는 느낌적 느낌.. 근데 다섯살 아이가 자기 볼을 가져다대는데 너무 행복해서 ㅠㅠ 어떻게 저한테 이런 존재가, 이런 행복이 왔는지 ㅠㅠ 하여간 기쁘고 행복하고 그렇습니다. 만세!! >.<

관찰자 2025-03-14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학을 계속 읽기 위해서라면 뭐니뭐니해도 <신곡>은 꼭 완독해야.....ㅋㅋ 이미, 다락방님은 읽으셨지만요~ 후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