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마당으로 풀어 쓴 선
심재룡 옮김 / 한국학술정보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도에서 붓다가 처음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다음 그가 설했던 초기의 설법들은 원시불교의 내용을 이루었다. 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원시불교는 중국으로 티벳으로 한국으로 일본으로 산스크리트어로서 된 경전으로 전래되면서 새로운 불교문화를 꽃피우게 된다. 중국에서는 이미 도교나 유교 등의 제자백가에 의한 깨달음과 수행을 일상화시킨 문화가 존재해왔고, 이러한 문화적 배경하에서 달마에 의해서 새롭게 부흥된 깨달음의 길인 선불교가 혁명적으로 제시되었다. 경전과 학문 공부에서부터 비롯된 불교공부가 '선'이라고 하는 활발자재하고도 직접적인 방법으로서 사람들에게 제시되었던 것이다.

  길을 걷다가 우연히 만나게 되는 바위 틈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풀 한포기를 완전히 알게 되면 이 세상과 나의 모든 것을 알게 된다고 한다. 전체 속에 부분이 들어있고, 부분 속에도 전체가 들어 있다는 불교적 세계관 속에서는 참된 진리가 현현하지 않는 곳이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 참된 진리가 현현해 있는 어떤 대상 속에서도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선사들의 불교의 핵심을 묻는 대답도 천차만별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뜰 앞의 잣나무" "마른 똥 막대기" "손가락을 치켜 드는 행동"이라든지 "할"하는 소리나 "방망이를 휘두르는 것" "신발을 벗어 머리에 이고 나가는 것"이라든지 "세계일화" 등 등 상식과 언어적이고 논리적인 세계를 떠난 펄펄 살아 있는 선의 언어가 보여진다.

  어떤 말을 하든지 그것은 그들의 마음 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참된 진리의 마음이 도대체 무엇이길래 그런 말을 했을까? 하는 의문 속에서 우리는 밤을 새워야 한다. 세상은 그대로 여여한 진리인데, 그러면 세상 그대로 의문이 필요없는 답만이 있는 세상인데 미혹한 우리들은 스스로 의문을 만들어낸다. 그러니 어찌하겠나? 스스로 만든 의문을 스스로 없애는 수밖에...그것은 의문을 언어적 논리적으로 다루어본 다음에 더 이상 이런 방법이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그제서야 비로소 방향을 바꾸게 되고 선의 시작은 여기서부터이다.

  선은 옛날에는 근기있고 재능이 있는 제자들을 선사가 알아보고 그들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사용했다. 또한 선사들은 매우 엄격하고 냉정하게 그들을 대했다. 따라서 스스로의 노력과 힘으로 자신의 본바탕을 보아내고 그들은 대담하고 파격적이고 힘있는 선을 토했다. 그만큼 선은 자신의 깨달음을 이루는데 절실했고, 또한 스승의 귀함도 알았기 때문에 오로지 스승의 가르침을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가운데 스스로의 힘으로 빨리 깨달음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선불교가 대중화되면서 예전과 같은 파격적이고 천지를 가르는 힘은 줄어들었다. 그만큼 부드럽고 쉽게 일반화된 선적인 이해가 보다 근기낮고 우둔한 대중들을 대상으로 자상하게 제시되고 있다. 덕분에 근기 낮고 어둔 내가 선의 자세한 가르침에 따라 조금씩 마음을 닦아나갈 수 있게 되었지만, 아무래도 하근기의 내가 더디게 더디게 하는 공부에 큰 진전이 없음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세상에 요즈음 요구되고 있는 선의 대중화에 따라 사람들이 예전에는 그저 자신의 복덕을 위한 불교에의 귀의나 시주, 믿음을 가졌던 것이 이젠 직접 부처님의 마음을 따라가는 좌선과 명상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불교의 발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위해서 '공안'을 주로 사용한다. 선사가 그의 제자들을 가르칠 때 사용하는 선의 도구로 상식을 초월하고 논리를 초월한 화두로서 제자의 마음 속에 큰 의문을 일으켜서 마음이 일어나는 에너지를 한 곳에 모아서 깊은 빈탕의 체험을 유도한다. 공안을 마음으로 녹혀내야 한다는 것은 바로 그 공안 앞에서 깨어있는 마음으로 마음없는 한 점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이 무르익었을 때 그 한 점의 마음조차 타파되고 공안은 풀리는 것이다.

  이제 언어적으로 이러한 선에 대한 이해가 되고 있는 나를 알게 된다. 따라서 공부의 방향이 지식적으로는 이해가 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마음 속의 체험이다. 지식적 이해가 때로는 나의 참된 공부를 방해한다는 느낌도 들게 된다. 책을 들 때 그 책을 관통하여 내 마음의 상태를 짚어 보고 그 저자의 마음이 무엇인지에 계속 마음을 놓치 않고 매진하는 공부가 필요하다.

  선의 나침반을 돌아서 세상에 다시 태어난 날이 나에게도 반드시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