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혹은 너는 누구냐
한형조 지음 / 여시아문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내 부모가 태어나기 전의 나의 '본래면목'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을 붙잡고 잠을 이루지 못한 적이 있었다. 우둔하게도 나는 말이 의미하는 바에 휘둘리고 있었다. 자정을 넘겨 아득해진 어느 시간인가? 내 마음을 섬광처럼 지나가는 것이 있었다. 생김과 사멸함이 없는 곳, 시작과 끝이 없는 곳, 시간의 전후가 없는 곳, 절대적인 궁극의 세계는 내가 아무리 밖을 둘러봐도 찾을 수가 없었다. 마음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그곳은 바로 나의 마음속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내 마음의 절대적 공간 속에서만 그것을 찾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언어를 통해 그 마음 속의 절대적 공간을 찾아보려 하는 책이다. 그 절대적 공간이 언어로 과연 표현될 수 있는 것인가? 그럴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책은 방편은 된다. 즉 언어를 통해 언어의 의미가 끝나는 그 지점까지 우리를 인도할 수는 있는 것이다. 선을 언어로서 풀어낸다는 것은 그런 의미를 가진다. 그러면 이 책을 통해 나는 '너머'의 소식을 접했는가? 그렇지 못하다. 다만, 이 책을 따라 물가에 나온 당나귀와 같을 따름이다. 물가에 왔으니 이젠 물을 먹어야 할 터인데... 그것이 백척의 장대끝에서 한 걸음 내딛는 것과 같은 것이다. 아~아~

하지만 낙담하기엔 이르다. 터무니없이 기뻐할 일도 아니지만 물가에 서 있지 않은가? 내가 물가에 서 있다는 것을 안다. 물을 향해 목을 길게 빼고 물맛을 보려고 한다. 버둥친다. 맛보면 그저 물맛은 물맛일 뿐이데......하지만 나는 또한 백척의 장대끝에 서있다. 앞도 보이지 않는 깜깜한 절벽에서 한 걸음 내 디딜려고 한다. 알지 못하면 백길 천길 낭떠러지요, 알면 그저 풀밭일 것인데... 지금 알지 못하면 내 인생은 시위를 떠난 화살과도 같다.

너머의 소식은 '없다'이기도 하고 '뜰 앞의 잣나무'이기도 하다. '마른 똥막대기'이며 '마음'이며 '오직 모를 뿐'이며 '평상심'이기도 하다. 세상의 모든 것이기도 하며, 또 그것이 아니기도 하다. 그것은 무엇인가? 8만 4천의 무명이 한 점으로 모이는 경험들이 나에게서 천천히 일어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