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크리스마스에 도서관에 오면
크리스마스 이브에 도서관 이용자에게 나눠줄 컵이 도착했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도서관에 오면 선물드려요" 하는 안내문을 도서관 입구에 붙여놓고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빨간 머그컵은 크리스마스와 닮았다. 도서관 이용이 저조할 이브에 책을 대출한 이용자 선착순 100명에게 머그컵을 증정하려고 한다.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는 설렘을 도서관이 함께 하고 싶은 마음이다. 요즘 날이 추워서 그런지 도서관에 책 읽으러 오는 사람이 줄어 작은 이벤트를 마련했다.
얼마전 사서연찬회때 나의 대학원 지도교수님이셨던 은사님을 모시고 특강을 했다. 강의 내용중 안식년때 미국에서 공공도서관을 이용했는데 로비에 스타벅스 커피와 햄버거가 있더란다. 처음엔 사먹는줄 알았다가 이용자가 스스럼없이 갖다 먹기에 직원에게 물어보니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라는. 관장과 스타벅스 점장이 친구라 재직중에 무료 제공하기로 약속했단다. 인근 햄버거집에서도 무료로 햄버거를 제공한다고 했다. 교수님은 공공도서관도 이용자를 가만히 앉아서 기다리는게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마케팅을 해야 한다고 강조 하셨는데 신선한 충격이었다. 여전히 정신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나는 스폰지처럼 강의를 흡수하고 작은 이벤트를 마련했다.
도서관학자 랑가나단 5법칙 "A Library is a growing organism" 도서관은 성장하는 유기체다"

2. 도서관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얼마전 도서관에 색을 입혔다. 연두빛 투톤으로 되어있는 벽을 아이보리색으로 칠하고, 평생학습실에는 포인트 벽에 블루를 입혔다. 도서관이 넓어보이고 산뜻해졌다. 다소 내 맘대로 경향이 있지만 리더는 때로는 독재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남자들은 사소한 변화에 둔하고 귀찮아한다. 우리 직원만 그런가?
그리고 2층 로비에 의자 세개 구입해 놓으니 마치 까페같은 분위기다. 창밖을 바라보며 커피도 마시고, 책도 읽으면 좋을듯.
이래도 도서관에 안올래?

3. 마음의 서재 읽기
지난 주말 옆지기와 알라딘 중고서점에 갔다가 고른 책. 도서정가제 때문인지 중고서점에 이용자가 많아졌다. 책 한 권 가격에 2권 또는 세권을 살 수 있으니 횡재한 느낌이다. 가끔 드는 생각인데 도서정가제는 대체 누구를 위한 것일까? 일반 독자가 전혀 배려되지 않은.........서점을 위한? 출판사를 위한?
정여울 책은 부담없이 읽을 수 있어서 좋다. 소설을 이야기 할때면 말랑말랑하게, 인문학을 말할때면 어려운 내용을 쉽게, 때로는 에세이처럼 책 이야기를 해주어 좋다.
사람을, 여행을, 문학을, 음악을 좋아하는 그녀가 나도 좋다.
인문학은 잃어버린 자존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나는 수많은 책들의 미로에서 헤매며 끝내 나를 지키는 비법을 배웠다. 나의 자존은 누구도 함부로 빼앗아 갈 수 없다는 것을. 끔찍한 상처는 언젠가 나를 지키는 단단한 마음의 요새가 된다. 타인의 도움이 없을 때조차도 스스로 자기를 지키는 인문학. 그것은 단지 공격당하지 않기 위한 방어기술이 아니라, 끝내 타인과 접속하기 위한 영혼의 준비운동이다. 끝내 이 세상과 연결되기 위한 영혼의 안테나, 그것이 바로 인문학의 힘이다. p. 20
미모가 뛰어난 사람들보다 매력 넘치는 사람들의 인생이 실제로는 훨씬 행복하다. 매력은 미모처럼 자신을 '볼거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함께하고 싶은 존재'로 만드는 기술이다. 미를 감상하는 데는 '거리'가 필요하지만, 함께하고 싶은 인연을 만드는 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p.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