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거지는 마치 언어와 같은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더러운 설거지물과 더러운 냅킨을 가지고도 접시와 컵을 깨끗이 씻는 데 성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불명확한 개념과 적용범위도 뚜렷하지 않은 논리를 가진 언어를 사용하여 자연에 대한 이해를 명백하게 하는 데 성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 닐스 보어(부분과 전체 중에서)


누가 능히 탁함으로써 고요히 해서 차츰차츰 맑게 할 수 있으며, 누가 편안함으로써 계속 움직여서 서서히 살릴 수 있겠는가. 이 도를 간직하고 있는 사람은 그득 채우려고 하지 않으니, 무릇 채우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덮어둘 뿐 새로 만들지 않는다. 
- 노자 원문


저 어둠으로 사물을 다스리면 밝아지게 되고, 혼탁함으로써 사물을 고요히 가라앉히면 맑아지며, 편안함으로써 사물을 움직이게 하면 되살아나게 된다. 이는 스스로 그러한 도이다. '누가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은 그 어려움을 말한 것이며, '서서히'란 세밀하고 신중한 것이다.
- 왕필 주석


닐스 보어는 화학자답게 언어와 개념의 화학작용에 착안해 새로운 가치를 유추하고 있다. 헤겔의 '정-반-합'도 이와 같다. 이처럼 서양에서 무에서 유를 창출한다는 것은 대개 이와 같다. 결국 '유'에서 '유'가 창조되는 것이며, 이는 '변환'의 개념 이외에 어떤 의미도 가질 수 없다.

하지만 노자와 왕필은 화수분처럼 생명이 뿜어져나오는 가상의 공간을 상정함으로써 신비주의의 색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무와 유, 가치라는 것은 무엇인가. 이름을 얻고 나서 가치가 생겼다면, 이름을 얻기 전에도 그 가치는 있었을 것이다.

이 사람들을 통해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을 유추해보면 이렇다. 동양은 '이미 있다'는 것을 토대로 모든 가치가 이름을 얻을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비해 서양은 '생긴다'는 의미에서 '무'와 '유' 사이에 엄격한 구분이 있으며, 그것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지는 않다. 동양은 유와 무 사이에 궁극적인 차이가 없으며, 유를 선택하든, 무를 선택하든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즉 모든 것은 있으며 동시에 없다는 역설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역설에 머무르지 않는 이유는 유와 무의 개념이 일시에 바뀌는 것이 아니라,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름만을 바꾸기 때문이다.

유와 무는 멀고도 가까우며, 형제이기도 하며, 자기 자신이기도 하다. 그것이 신비적인 이유는 궁극에서 시작하기 때문인데, 궁극이기 때문에 모호하며 오묘하다. 서양은 '궁극' 개념을 굳이 취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서양과 동양은 형제 이상으로 가까워질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白圭曰 丹之治水也 愈於禹
孟子曰 子過矣 禹之治水 水之道也
是故禹以四海爲壑 今吾子以隣國爲壑
水逆行 謂之洪水 仁人之所惡也 吾子過矣

- 『孟子』「告子 下」
백규가 말했다. 나는 우임금보다 더 치수를 잘 할 수 있다.
맹자가 대답했다. 그건 당신의 오산이오. 우임금이 치수를 한 것은 물의 이치에 따른 방법이었소. 그래서 사해를 도랑으로 삼은 것이오. 그런데 지금 당신은 이웃 나라를 도랑으로 삼고 있소.
물이 역행하는 것을 홍수라고 하는데, 이는 인자가 극히 싫어하는 바이오. 그래서 당신의 오산이라고 하는 것이오.



청계천 복원의 일차적 의미는 생태하천을 복원한다는데 있었습니다. 그런데, 청계천 복원은 생태하천이 아니라 실은 인공하천을 조성하였다는 사실은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이야기지요. 때문에 자연스런 물의 흐름을 따르기보다는 물을 굳이 역류시키면서 청계천에 물이 흐르게끔 하였으므로, 백규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이명박씨는 복원이라는 말을 붙여 교묘히 환경 이미지를 이용해놓고, 실상은 개발 시대의 밀어붙이기식 행정의 전형을 보여 주었습니다.

청계천은 막대한 돈을 들인데 비해 그 효과가 미미하다고 합니다. 생태하천 복원 혹은 샛강 살리기에 따른 어려움 중의 하나가 연중 물이 흐르도록 수량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본래부터 물이 있어 마르지 않는 하천은 괜찮지만, 건천이나 수량이 부족한 하천의 경우 인공적으로 물을 끌어와야 하고, 그 공사와 관리에 엄청난 예산이 소요된다고 합니다.거기다가 역류에 따른 반환경적인 요소도 가미되어야 하겠죠. 청계천 복원이라는 것은 그 '상징성'을 제외하고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나 있네요, 이명박씨의 지지도와 실적에 보탬이 되었으니까요.



겨우 6.5㎜ 비에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입력: 2006년 06월 09일 04:28:45 : 31 : 13
 
8일 오전 서울지역에 갑자기 내린 비로 청계천 우수관(雨水管·빗물을 모아 흐르도록 한 관) 수문이 개방되면서 오염된 빗물이 유입돼 애꿎은 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했다.

8일 서울 청계천에서 집단폐사한 물고기들. 이들 물고기는 이날 오전 내린 빗물이 청계천 산책로의 오염물질과 함께 천으로 유입돼 떼죽음을 당했다./박재찬기자
이날 오전 11시20분부터 30여분간 청계천 관수교~오간수교 일대에 강수량 6.5㎜의 비가 내리자 10여개의 우수관 수문이 동시에 열렸다. 이어 빗물이 청계천 수로로 쏟아져 내렸고, 이 과정에서 인도에 있던 기름찌꺼기 등 오염물질이 빗물에 쓸려 청계천으로 유입됐다. 이에 따라 청계천 물고기 수백마리가 떼죽음을 당한 것이다.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김근섭 시설관리본부장은 “우수관은 10분당 3~4㎜의 집중호우가 15~20분 정도 계속 내릴 경우 수문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우수가 역류해 일반 도로가 침수할 것이란 얘기다.

김본부장은 “오늘 상황은 일시적으로 비가 많이 온 데다 200여개의 청계천 수문 가운데 일부만 개방되면서 도로에 쌓인 오염물질이 빗물과 함께 청계천으로 유입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서울기상청 관계자는 “30여분간 내린 6.5㎜를 호우로 볼 수는 없다”며 “서울시는 남산에 국지성 호우가 내렸다고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우수문이 개방돼 청계천 물고기가 폐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4월과 5월에도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면서 산란기를 맞아 청계천으로 올라온 어류가 피해를 봤다. 서울시가 100년에 한 번 있는 대홍수에도 견딜 수 있다고 자랑한 청계천이 되레 잦은 비에도 견디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물고기 떼죽음을 지켜본 시민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회사원 김지선씨(45)는 “작은 비에 우수문이 열리는 바람에 배를 드러낸 채 죽은 어류를 볼 때마다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창영·송진식기자 truejs@kyunghyang.com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6-09 16: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견된 일이죠 ㅠ.ㅠ

Mephistopheles 2006-06-09 16: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는 사실은 청계천 복원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관련 교수들이 결국 계획 막판에
다 등을 돌렸답니다. 불도저식의 밀어붙이기식으로 난입하는 서울시청관계자들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뭐 그 위에 누가 지휘봉을 잡았는지는 뻔할 뻔자고요...
그 교수님들이 이런말도 했다더군요..
자신의 자의로 청계천을 볼일은 없을 것이라고요..^^

마법천자문 2006-06-09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원'이 아니라 '재앙'이군요.
 

세상에서는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운 줄로만 알지만

이는 보기 흉할 뿐이오,

착한 것만이 착한 줄 알지만

이는 착하지 않은 것이다.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 노자 도덕경

선과 악에 대해서 말하자면, 이것들 또한 우리들이 사물을 그 자체로 고찰할 경우 사물에 있어서의 아무런 적극적인 것도 지시하지 않으며, 사유의 양태나 우리가 사물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형성되는 개념일 뿐이다. 왜냐하면 동일한 사물이 동시에 선이고 악일 수 있으며 양자와 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음악은 우울한 사람에게도 좋고, 슬픈 사람에게는 나쁘며, 귀머거리에게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
- 스피노자 에티카

왕필을 펴들자마자 엄청난 문장들이 지나간다.
18세에 노자주를 완성한 천재에 24세에 돌아간 비운의 사나이에게서는
왜 이다지도 박력있는 문장이 퍼져나오는 것일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6-06-06 0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오한 역설법이로군요.한참을 생각하다,갑니다.^^

승주나무 2006-06-06 0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백티비 님//처음 뵙습니다. 더욱 심오한 것은 그 다음 문장이랍니다.
"그러므로 유와 무는 서로를 낳고,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루며, 길고 짧음은 서로 비교되며, 높고 낮음은 서로 바뀌고, 소리와 울림은 서로 어울리고, 앞과 뒤는 서로를 따른다."
 

수동이라고 하는 감정은 우리가 그것에 대해서 명료하고 엄연한 관념을 형성하자마자 수동적인 것을 중단하게 된다.

 ―수동이라고 하는 감정은 혼란된 감정이다. 그러므로 만약 우리가 그 감정에 대해서 명료하고 엄연한 관념을 형성하게된다면, 이 관념과 정신 안에 관계하는 한에 있어서의 감정 그 자체와의 사이에는 단지 견해의 차이 이외의 어떠한 차이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감정은 수동적인 것을 중단하게 될 것이다.
- 스피노자 '에티카'에서

욕망의 뿌리가 되는 바는 도에 이르러서야 해소된다.
欲之所本 適道而後濟
- 왕필의 노자주에서


내가 스트레스를 피하는 방법이다. 철학자들은 바보같이 하나의 개념에 천착해서 사서 괴로워한다. 일반인이면 생각지도 않고 행동할 것을 철학자들은 끙끙 앓는다.

하지만 가장 작은 고난과 가장 큰 고난이 철학자에게는 별 차이가 없지만,
일반인은 고난의 수위에 따라 매우 큰 기복을 보인다. 그것이 감정과 연관된 경우는 더하다.

그래서 공자는
사람이 멀리 고찰하지 않으면 가까운 고난을 만나게 된다
 人無遠慮, 必有近憂 (논어)
고 하였다.

여친은 내게 쓸데없는 고뇌가 많다고 하나, 나는 그들과 함께 괴로워하며 행복하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승주나무님의 "알라딘 2.0은 언제쯤 선을 뵈나요??"

음.. 그렇군여. 감사합니다. 블로그와 미디어 간의 통합은 추세인 것 같군요. 경향신문의 미디어 칸 블로그와 드림위즈 블로그, 디지털타임즈 블로그가 통합되었는데, '드림위즈의 마이미디어 3.0 사건'이 개발에 참조가 될 것 같아서 링크를 남깁니다. 지금도 수정 중이긴 하지만, "짠~"하고 먼저 출시했다가 지금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습니다. 욕을 먹는 건 다른 이유가 아니라 이전의 유용한 기능들은 다 사라지고 혼란만 가중했기 때문이죠. 네티즌들 중에는 물론 앞서 가는 분들도 있지만, 복고적인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복고적이라고 하면 쓰던 거 그냥 쓰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쓰던 기능들은 고스란히 가지고 가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지요. 한글2005가 욕을 먹은 이유는 이전의 단축키들을 마음대로 바꿔버렸기 때문이죠. 마치 이용자들의 뇌리를 헤집는 것처럼,,, 이거는 광고성 공지 http://blog.dreamwiz.com/help/blog3_guide.htm 여기는 개편하고 나서 올라온 성토글들^^ http://blogcafe.dreamwiz.com/cafe/CafeFolderList.asp?cid=mmlover&folder_no=5 너무 재촉하지는 않을게요. 출시 전에 아무리 궁금해 미치겠어도 출시 이후에 겪을 혼란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니까요. 그냥 궁금해서요.. 미디어칸 블로그는 1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신문 스크랩을 하면서 정이 많이 들었는데, 3.0으로 바뀌고 나서 새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어요. 이대로 가면 내가 아끼는 블로그를 하나 버려야 할 듯....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