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글 논어 - 시대를 초월한 삶의 교과서를 한글로 만나다 ㅣ 한글 사서 시리즈
신창호 지음 / 판미동 / 2014년 6월
평점 :
1. 시작은 읽는 것이다.
이 글은 지금까지 내가 독해했던 [논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한 시도이다. 한글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함께 [논어]를 읽고 생각해 보려는 의도로 기획된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풍찬노숙과 산전수전을 통해, 진흙에 뿌리박았으나 수면 위에서 화사하게 피어오른 연꽃 같은 그의 삶을 제대로 들여다봐야 하기 때문이다. (8쪽)
고전을 대하는 자세는 대부분 비슷비슷하다. 읽어야하되, 읽지 못 한다. 마음은 있되, 실행이 안 된다. [논어]라면 한 마디 더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문을 잘 알지 못한다.’이다. 읽어야하는 당위와 읽고 싶다는 바람을 넘어서서, 바야흐로 [논어]를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책, [한글 논어]를 통해서이다.
2. 공자
공자는 노나라 평창향 추읍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숙양흘은 환갑을 넘긴 나이에 안씨 가문의 딸인 10대 중반의 안징재와 야합의 형태로 부부의 인연을 맺었다. 기원전 551년, 노나라 양공 22년의 일이다.(17-8쪽) 공자의 나이 세 살 전후에 아버지 숙량흘은 세상을 떠나고, 어머니는 공자가 10대 후반의 청년이 되었을 때, 세상을 떠난다.
부모를 잃은 공자는 가난하고 비천한 삶을 이어가다가 계씨 가문의 ‘위리’가 된다. ‘위리’란 말단 공무원 수준의 직책으로 주민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나누어 주는 자리였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세상이 사람답게 살기 힘들게 되자 공자는 노나라를 떠나 위나라, 진나라, 송나라, 정나라, 채나라, 초나라를 떠돈다.
공자가 사랑하는 제자 자공에게 남긴 이 세상에서의 마지막 말은 이러하다.
“세상에 사람이 살아가야 할 삶의 기준이 없어진 지 오래되었구나! 내가 그것을 세상에 전하려 했건만 아무도 나의 말을 들어 주지 않는구나! 나를 높이는 이도 없고...... ” (71쪽)
3.
바쁜 하루의 삶을 돌아보며, 세 가지의 물음 중에 한 가지라도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그 날 하루는 훌륭한 삶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4.
공자가 평소에 즐겨하지 않는 행동 네 가지는, 실천에 옮기기 쉽지 않다. 그 중에 제일은 첫 번째 것. 자기 뜻만을 세우지 않는 것이다. 누구를 대하든, 어떤 주장을 대하든, 나의 뜻만을 주장하지 말자.
5.
공자로부터 사랑받았다는 자공도 공자 앞에서 사람을 서로 비교하고 이러쿵저러쿵 평가를 하였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는 그럴 겨를이 없다고 했다. 여러 사람, 특히나 여자, 특히나 아줌마들이 만난 자리에서는 자신의 자식을 비롯하여 여러 사람을 서로 비교하고 이러쿵저러쿵 평가하기가 쉬운데, 아무쪼록 나도 그럴 겨를이 없었으면 한다.
6. 그럼에도 이러쿵저러쿵 평가를 해 보면...
책의 부록으로 논어 원문을 실은 것이 참 좋았다. 실제로 읽어가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관심이 가는 몇 구절은 직접 원문을 살펴볼 수도 있으니 말이다. 아쉬운 점은 편집인데, 책표지는 깔끔하고 산뜻한데, 본문의 편집은 너무 무난한 감이 있다. 공자 사진 한 장 더 넣었다고 크게 달라지지는 않겠지만, 약간의 변화라도 준다면, 나름 두꺼운 책을 읽어나가는데 시원한 바람처럼 느껴질 것이다.
* 이 리뷰는 민음사 판미동 출판사의 책을 제공받고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