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벙커에서 강신주를 처음 본 날
엄마야! 깜짝 놀랐다. 동영상에서도 실제 나이보다는 어려보이는 외모라 생각했는데, 실제는 더했다. 자신있는 말투에 넘치는 활력까지. 뻥을 조금 더하면, 30대 후반으로까지 보일 정도였다. 참고로 나는 그 날 앞에서 두 번째 줄에 앉았다.
2. 3M이 잠든 어제 밤
[망각과 자유]를 들고, 하염없이 책을 쓰다듬다가 드디어, 마침내, 결국에 머리말을 읽기 시작하는데, 이런 구절이 있었다.
이 책을 처음 접한 일반 독자에게는 작은 책으로 보일 테지만, 동시에 읽다보면 만만치 않은 책으로 다가올 겁니다. 한 마디로 말해 밀도가 아주 센 책이니까요. 글을 다시 다듬으면서 애잔하지만 동시에 정겨운 마음이 자주 들었습니다. 장자로 박사 학위를 방금 마쳤던 패기만만한 젊은 학자의 모습, 과거 제 모습이 손에 잡힐 듯 보이는 것 같았기 때문이지요. (11쪽)
앞부분을 읽어나가면서 그의 말이 맞다는 생각이 여러 번 들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랬다. 장자의 ‘타자’라는 개념, ‘망각’이라는 개념이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
출판사에서는 팔릴 책을 쓰고 싶어한다. 사람들이 돈 주고 사 볼 책을 만들고 싶어한다. 그래서, 이름 있는 저자를 찾아가 이러 저러한 책을 쓰자~ 할테다. 그런 일들이 모두 무의미하다거나, 불필요한 것은 아닐 테지만, 가끔은 저자 자신이 정작 말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나 가볍게, 너무나 쉽게 이해될 수도 있을테다.
나는 강신주의 책 대부분을 좋아하지만, 이 책은 이전과는 조금 더 다른 느낌이다. 그의 말처럼, ‘방금 박사학위를 마친 젊은 학자 강신주’의 모습이 설핏 보이는 것 같다.
여러 자리의 사진에서 보면 강신주는 ‘등산바지’ 차림인 경우가 많다. 워낙 산을 좋아하기도 하고, 또 등산복이 편안하다는 얘기를 자주하고는 했다.
이 책의 느낌은 이렇다.
맨날, 허구헌 날, 항상 ‘등산바지를 입는 강신주’만 보아왔는데, 어느 날 갑자기 ‘정장을 차려입은 강신주’를 만나게 된 거다. 더 각이 잡히고, 더 정숙한(?) 느낌이다. 더 진중하고, 더 클래식한 느낌이다.
3. 일부러 찾은 건 아닌데
아침에 트위터를 확인하다 이런 영상을 보게 됐다.
강신주는, 강신주와 김어준은 멋지게 양복을 차려 입었다.
김어준 강신주 지인들만 초대해 1년 가약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403/pimg_798187174994350.pn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4/0403/pimg_798187174994352.png)
직장에 매인 몸은 아니지만, 가정에 매인 몸이기에 가능할지 모르겠으나, 일단 마음으로는 토크 콘서트에 가고 싶다.
나는 김어준이 보고 싶어서 가는 게 아니다.
나는 강신주가 보고 싶어서 거기에 가는 게 아니다.
나는 강신주를 놀리는, 강신주를 놀려먹는 김어준이 보고 싶어서, 거기에 가고 싶다.
제발, 가능해라. 가정 형편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