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활의 길잡이, 일명 생길 16페이지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친구가 정직하게 행동해서 감동받았던 일을 적어보라.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동을 받았는가, 그리고 정직하게 행동한 친구에게 편지를 써 보자.

딸롱이는 목요일부터 고민하다가 답을 찾지 못 하고, 결국 주일날 저녁에서야 생길책을 들고 부엌에 나타났다.

딸롱이 : 엄마, 나 이거, 도대체 못 하겠어~

(처음에는 우아하게 시작한다.)

나 : 응, 그래? 어디보자~~ 이건 ‘정직하게 행동한 친구’에 대한 거네. 그런 경우 없었어?

딸롱이 : 응, 없었어.

나 : 잘 생각해 봐~ 

딸롱이 : 없었다니까!

그럼 어떻게 하지? 다시 한 번 문제를 읽어본다. ‘정직하게 행동한 친구‘에 대한 이야기, 친구가 정직하게 행동해서 감동받은 이야기를 써 보자. 아, 이런 경우가. 이런 경우가 있긴 할텐데. 시간은 늦었고, 종일 뛰어다녀 피곤한 딸롱이는 짜증을 내기 시작한다.

딸롱이 : 아, 진짜 이런 경우가 없었다니까!

나 : 그럼, 이건 어때? 다른 애 이야기. 뭐, 예를 들면, 할머니가 동생이 없을 때, 어떤 아이에게 돈 2만원을 주시면서, 동생과 나눠가지라고 했는데, 돈을 몽땅 갖고 싶었지만, 정직하게 이야기하고 동생에게 돈을 나눠주었다. 뭐, 그런 이야기~

딸롱이 : 그건 지어낸 이야기잖아.

나 : 그렇지, 지어낸 얘기지. 그래도, 있을 수 있는 일이잖아. 있음직한 이야기. 어떨 때는 지어낸 이야기가 사실에 더 가까울 수도 있어.

딸롱이 : 그건, 안 돼. 아, 어떻게 해?

(남편 출현)

남편 : **이 숙제?

(생길 16쪽을 읽고)

남편 : 이런 경우 없었어?

딸롱이 : 이런 경우가 없었다니까. 친구가 정직하게 행동한 경우가!

남편 : 친구 아니면, 뭐, 동생이 정직하게 행동한 경우라던지...

딸롱이 : 아, 그러니까, 이거 빨리 해야 되는데!

나 : 그런 경우가 없었다면, 원래는, 사실대로 해야지. 친구가 정직하게 행동해서 감동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이렇게.

딸롱이 : 근데, 선생님이 숙제 꼭 해오라고 하셨단 말이야!

나 : 아니면, 이야기를 지어내서 숙제를 하던지.

딸롱이 : 그러면 안 되고!!!

남편 : **아, 숙제는 원래 네가 하는 거야!

딸롱이 : 잉~~~

(생길책을 들고 자기방으로 퇴장)

정직하게 숙제를 하자면, 그런 경우가 없다고 해야하고, 숙제를 해 가자면, 정직하지 않게 ‘이야기를 지어’ 내야 한다. 어떻게 해야할까?

2. 어디까지가 지어낸 이야기?

움베르트 에코의 책이다. 기대가 큰 만큼, 나도 긴장해서 읽기 시작한다.

 

시모니니, 주요 등장인물인 시모니니가 자기소개를 시작하자마자 유대인에 대한 미움과 증오로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운다. 어떡하려고 이러나 싶더니만, 그 다음은 독일인이다.

독일인 한 명이 평균적으로 생산하는 인분의 양은 프랑스인에 비해 갑절이나 많다. 뇌 기능을 저하시킬 만큼 장 기능이 지나치게 활발하다는 점, 그게 그들의 생리학적 열등성을 입증한다. ... 어디 그뿐이랴, 지난 몇 세기 동안에도 프랑스에서 알자스 지방을 거쳐 독일로 가는 여행자는 길가에 누어 놓은 대변이 보통 사람의 똥자루보다 왕청 굵은 것을 보면 자기가 국경을 넘었다는 것을 단박에 알아차렸다. (19쪽)

대략 이런 식이다. 독일인 다음에는 프랑스인, 그 다음은 이탈리아인, 사제들, 예수회 신부들, 그리고 여자들. 그에게는 증오의 대상이 이렇듯 많다. 할아버지로부터 학습된 타인에 대한 증오는 어느덧 자신의 것이 된다. 마음 깊이 새겨진 증오는 편견을 가져 오고, 편견을 가지고 바라본 대상에게서는 더 큰 증오가 느껴진다.

증오의 대상이 많은 주인공이 사랑해 마지않는 대상이 딱 하나 있는데, 그건 바로 산해진미 진수성찬, 맛있게 잘 차려진 음식이다.

그가 주문한 음식은 바르뷔 소스 올랑데즈(네덜란드 소스를 친 가자미 구이), 카스롤 드 리알라 툴루즈(툴루즈식 냄비 쌀밥), 아스피크 드 필레 드 라페로 앙 쇼프루아 (어린 토끼 등심살 냉육 젤리), 트뤼프 오 샹파뉴 (샴페인을 넣은 송로), 푸딩 다브리코 알라 베니시엔 (베네치아식 살구 푸딩), 코르베유 드 프뤼 프레 (생과일 바구니), 콩포트 드 페슈 에 다나나스(복숭아, 파일애플 설탕 졸임)였다. (321쪽)

간단히 먹어도 이 정도다.

어떤 음식을 주문하느냐와 더불어 많이 소개되는 장면은 음식의 조리 과정이다. 내 관심을 끈 건 (먹고 싶다는 게 아니라, 관심을 끈 건) 바다거북 수프다. 바다거북을 잡아 손질하고, 내장을 정리하는 과정 및 조리과정이 아주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 바다거북 요리법은 뒤마의 유작 『요리 대사전』에 나오는 영미식 바다거북 수프와 프랑스식 바다거북 수프의 조리법을 아주 간단하게 요약하고 절충한 제3의 레시피라 할 것이다. (210쪽)

그러니까, 소개되고 있는 바다거북 수프 요리법은 실제 두 가지의 조리법이 취합 및 새롭게 구성된 에코만의 레시피라 할 수 있겠다. 어떤 조리법은 요리책 일부를 그대로 옮긴 듯 하다. 당연히 더 사실적으로, 더 객관적으로 느껴진다.

나는 다시 도서관에 갔다. 이번에는 토리노가 아니라 파리에 있는 도서관에서 프라하의 유대인 묘지를 그린 다른 판화들을 찾아냈다. ... 나는 그 판화들 덕분에 마녀 집회를 연상시키는 그런 분위기를 활용할 수 있으리라 확신하게 되었다. 나는 거기에 유대교 랍비들이 모여 있는 광경을 상상했다. (357쪽)

당연한 얘기지만, 나는 그 무시무시한 밤의 집회를 목격한 사람의 구두 증언을 기록한다는 식으로 문서를 작성할 생각이었다. 그 증인은 신원이 밝혀지면 사형을 면할 수 없으므로 부득불 익명을 유지해야 하는 사람으로 소개될 것이었다. 나는 그가 밤중에 랍비로 변복하고 예정된 의식이 시작되기 전에 묘지로 들어가는 데 성공한 것으로 상상하고 그의 눈으로 본 집회 장면을 머릿 속에 그려 보았다. (358쪽)

문서 조작 전문가인 시모니니가 묘지에서 이루어진 유대인 비밀 모임을 상상하는 장면이다. 도서관에서 찾은 판화를 보며 음울한 분위기를 상상하고, 가공의 증인을 통해 집회 장면을 그려낸다. 사실이 아니지만, 사실인 것처럼, 실재했던 일이 아니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있었던 것처럼, 눈에 보일듯이 상상하고 그려낸다.

에코는 시모니니, 달라 피콜라 신부 그리고 화자의 입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기 때문에, 독자는 그들의 이야기를 취합해 스스로 전체의 이야기를 재구성해야 한다. 소설이 쓰여지고 있는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종교적 배경이 전무한 나로서는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시모니니와 달라 피콜라가 같은 사람이다’라고 쉽게 가정해 버리고 편하게 책을 읽어가다가 그만. 나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여기에 와서 당신의 일기를 읽어 본즉, 당신은 달라 피콜라 신부라는 사람을 만났다고 하는데, 당신이 묘사하고 있는 그 사람은 분명코 나보다 나이가 많고 게다가 꼽추이기도 하구려. 나는 당신 방에 있는 거울 - 내 방에는 성직자의 삶에 걸맞게 거울이 없소 - 앞에 가서 내 모습을 비춰 보았거니와, 자기 자랑에 빠져들고 싶지는 않지만 이 점만은 지적하지 않을 수 없으니, 나는 용모가 반듯하고 사팔눈을 뜨지도 않으며 앞니가 밖으로 벋지도 않았소. (375쪽)

이게 뭐야? 달라 피콜라 신부는 다른 사람인 거야? 그렇다면?! 엥? @#$%&*?

이제부터는 누구의 말도 믿을 수가 없다. 시모니니의 말도, 달라 피콜라의 말도, 또 다른 화자의 말도. 누구의 말이 진짜인지 도통 알 수가 없고, 누가 실제 인물인지도 알 수 없다. 하긴, 주인공들도 자기가 누군인지 모르는데... 아니지, 그래도 나는 소설 밖에 있는 사람인데, 나는 알아야 하는 거 아닌가? 누가 진짜인 걸까? 어디까지가 진짜일까? 어디까지가 지어낸 이야기일까?

3. 딸롱이 성격상 숙제는 해 가야 해서

남편에게 눈짓을 한 번 준 뒤, 딸롱이의 방으로 들어갔다. 딸롱이는 울고 있었다.

나 : **아, 엄마가 생각해 보니까, 이런 경우가 있었던 거 같애. 그 때, ##가 처음 유치원에 갔을 때, 유치원 물건인가 친구 장난감인가를 집에 가져왔거든. 그래서, 엄마가 설명해주고, ##이가 그 다음날 유치원에 다시 가지고 갔던 일 말이야.

딸롱이 : (눈물이 그렁그렁한 눈으로 날 쳐다보며) 그거 진짜 있었던 일이야?

나 : 그럼~~~ 진짜 있던 일이지~~

딸롱이 : 언제?

나 : ##이가 여섯 살 때, 처음 유치원 갔을 때.

딸롱이 : (생길 16페이지 ‘언제’란에 ‘2011년’이라고 적어넣는다.)

고백하자면, 나는 그런 일이 있었던 거라고 생각한다. 그랬던 것 같기도 하고, 뭐, 그 비슷한 일이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생길 숙제는 이렇게 끝나고, <프라하의 묘지 1>도 이렇게 끝났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은빛 2013-03-28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딸은 가끔 독서록과 일기에 사실과 다른(살짝 과장하거나 왜곡된) 내용을 넣더라구요.
뭐 기억은 자주 상상력과 뒤섞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단발머리 2013-03-29 06:38   좋아요 0 | URL
아... 그렇죠.

하긴 저도 첫애가 다섯살때 맨날 상상속의 친구 이야기를 하는데, 너무 사실적이어서요.
책 찾아봤더니, 그건 거짓말이 아니라, 상상을 현실과 똑같이 받아들이는 거라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상상의 친구 덕 좀 봤어요.

"노니, 노니는 그 장남감 없더라. 노니 엄마가 그러던데~~" 하면서요. ㅋㅎ

금요일이네요. 이번 주도 이렇게 지나가네요.
즐건 주말 되세여, 감은빛님~~~

순오기 2013-03-29 0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직하게 행동해서 감동받은 적이 없다~~~~~~~~~는 왜 숙제를 하지 않은거라고 할까요?
우리학교 교육은 숙제부터 잘못되고 있어요.
정직하게 답하면 되는 일을 정직하지 않게 지어서라도 숙제를 하게 하는 게 과연 옳은 일인가?
아침부터 머리복잡해지네요.ㅠ
그래서 딸롱이는 숙제한 것으로 인정받고 좋아했을까...

단발머리 2013-03-29 19:03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어쩌면 딸롱이 선생님은 솔직하게 '숙제를 해 가지 않았음'을 이해해 주실 수는 있어도,
저희 딸롱이가, 딸롱이가 그걸 못 참아하는 것 같아요.

숙제니까, 꼭~ 해가야 한다. 뭐, 저야 항상, '안 해가도 된다'고 말하지만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