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커피 이야기(우스이 류이치로 저/김수경 역)'로부터


National Library of Wales,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커먼즈









프리드리히 대왕의 경제정책은 중상주의다. 그의 정책의 최우선 과제는 수입을 억제하고 수출을 늘리는 것이었다. 그런데 말도 안 되는 수입품이 있었다. 바로 커피다.

사정이야 어찌 됐든 프로이센에서 커피 소비는 철저히 억압되었다. 이러한 기본적 정책의 연장선에서 놀라운 급성장을 이룬 것이 바로 ‘대용커피산업’이었다. 이에 관해서도 흥미로운 일화가 전해진다. 직업군인이던 폰 하이네(Christian von Heine) 소령 부인은 몇 년 동안 담낭에 생긴 병으로 고생했다. 그녀를 진료한 의사는 치커리를 달여 마셔보라고 권했다. 얼핏 보면 치커리는 생강과 비슷한 식물로, 잎을 샐러드로 먹기도 하는데 쓴맛이 난다. 맛이 쓰면 커피의 대용품이 될 수 있다고 여긴 걸까. 폰 하이네 소령 부인은 치커리 뿌리를 달여 마셔봤다. 한데 아니나 다를까, 커피와 비슷한 맛이 났다. 사실, 여기까지는 특별할 게 없는 이야기다. 귀가 솔깃해지는 이야기는 지금부터다.

폰 하이네 부부가 치커리 달인 물로 특허 신청을 한 것이다. 그 부부는 브라운슈바이크 시당국에 등록상표를 붙여 특허 신청을 하고 치커리 커피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잎은 샐러드로, 뿌리는 대용커피로. 이는 ‘실질건강’을 모토로 내세운 프로이센 국가주의 정신에 합치되는 것이었다. 이후 프로이센 정부는 달리는 말에 채찍질하는 모양새로 맥아, 보리, 호밀, 사탕수수, 무화과, 땅콩, 도토리 등 땅에서 나는 거의 모든 열매를 달여 커피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땅에서 나는 열매뿐 아니라 바다에서 나는 식재료를 활용하기도 했다. 그 연장선에서 해초로 만든 커피도 등장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추어 건강에 해로운 재료로 커피를 만드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도 마련되었다. 이렇듯 화학산업을 자랑하는 독일의 열정은 무시무시할 정도였고, 그 덕분에 ‘독일커피’라고 하면 오랫동안 ‘대용커피’의 총칭으로 받아들여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blog.aladin.co.kr/790598133/13782322 북플이 알려준 재작년의 포스트이다. 이와 관련하여 커피 대용 음료 치커리차에 대한 내용을 '아침식사의 문화사(원제 Breakfast: A History)'의 'CHAPTER 2 아침식사, 무엇을 어떻게 먹었을까?'로부터 옮긴다. 

By Jengod - Own work, CC BY 4.0, 위키미디어커먼즈


치커리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21c0167a





제2차 세계대전으로 배급제가 실시되자, 커피 대용 음료의 매출은 더욱 급증했다. 더불어 과거의 커피 대용 음료까지 새삼 부각되었다. 길가에 피는 잡초 중 하나인 치커리의 뿌리를 볶아 만든 치커리 차는 1700년대 이후 프랑스, 독일, 기타 북유럽 국가에서 커피를 대체해 왔다. 1873년에 열린 아침식사용 치커리 차 시음회에서 세 명의 평가자는 모두 "커피의 특징인 구수하면서도 신선한 향기가 결여돼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 후로도 치커리 차의 인기는 여전했다.급기야 19세기에는 커피에 치커리차를 몰래 섞어서 파는 비양심적인 커피 판매상들까지 나타났다. 오늘날까지도 치커리 차는 뉴올리언스 스타일 카페오레의 비법 재료이다. - 7 아침 음료로 커피가 최고라고 생각하면 오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은 어렵지만, 채소 습관'(홍성란)에 말린 채소를 우리는 간단 채소차가 소개된다. 시도해봐야지.


사진: UnsplashK8


6월에 출간된 채소요리 책도 가져온다.







말린 채소는 뜨거운 물에 우려 차로 즐길 수도 있어요. 몸을 따뜻하게 해서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는 건강 간식이죠. 은은한 향 덕분에 기분도 좋아지고요. 말린 채소를 컵에 담은 뒤 따뜻한 물을 붓기만 하면 끝입니다. 손님이 왔을 때 내놓으면 대접하는 느낌을 낼 수도 있어요.

차는 마셔보고 싶지만 집에서 채소를 말리는 것이 쉽지 않은 분들을 위해 가장 간단한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바로 마트나 시장에서 파는 무말랭이, 호박고지, 건표고 등을 사서 뜨거운 물에 우려 마시는 거예요! 반찬거리라는 편견을 버리고 차로 섭취해보세요. ‘이렇게 훌륭한 차가 있었나?’ 하고 깜짝 놀랄지도 몰라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 UnsplashAslı Yaren Peker


헨리 제임스 소설집(현대문학) 수록작 '양탄자 무늬'를 전에 흥미롭게 읽었다. 헨리 제임스 학회가 펴낸 헨리 제임스 단편집에는 '융단 속의 무늬'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아래 옮긴 글의 출처는 '헨리 제임스의 양탄자의 무늬 읽기와 작품분석'(윤명옥).




중편소설, 혹은 긴 단편소설로 불리는 노벨라(novella)에 해당하는 이 작품은 1896년 1~2월에 잡지 《코스모폴리스》(Cosmopolis)에 발표되었다가, 1896년에 『당황』(Embarrassments)이라는 단편집에 실려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그런 다음, 헨리 제임스 전집으로, 1916년 새판본(New Edition)으로 다시 출간되었다.

그는 인생의 후반기로 접어드는 40대 후반에서 50대에는 작가와 작품, 예술과 예술가에 관한 작품을 많이 썼다. 그러므로 ‘소설에 관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작품은 예술의 본질에 대한 인식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작가와 작품, 그리고 평론가의 관계 사이에 존재하던 ‘양탄자의 무늬’로 지칭되는 ‘지식’이자 ‘비밀’은 인생과 작품의 관계로 변동된다. 이것은 곧 예술가와 예술품에 관한 이야기, 혹은 평론가와 작품, 그리고 작가와의 관계가 좀 더 넓은 범주의 ‘양탄자’의 세계, 말하자면, 인간과 인생, 그리고 작품이라는 세계로 흘러가는 듯싶다.

이 작품의 제목이 되고 있고, 이야기 속에서 여러 차례 언급되는 ‘양탄자의 무늬’는 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미스터리의 정체이다. ‘양탄자의 무늬’는 이 소설에서, 다른 말로, ‘기량’, ‘작은 비밀’, ‘비법’, ‘신비’, ‘지식’으로도 언급된다.

하지만 예술품과 인생의 신비이고 지식인 이 ‘양탄자의 무늬’는 인간이 깨우칠 수 있는 것이기도 하고, 깨우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어쩌면 인간이 꼭 깨우칠 필요가 있는 것이기도 하고, 꼭 그럴 필요가 없는 것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ixabay로부터 입수된 Guren-The-Thirdeye님의 이미지


산문집 '스타벅스 일기'(권남희)를 보면 저자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이 원작인 만화책을 번역하고 있다. 권남희 번역가는 소설집 '여자 없는 남자들' 수록작 '셰에라자드' 를 맡았다. '여자 없는 남자들'을 번역한 양윤옥 역자도 이 하루키 단편 만화선에 참여했다. 문학동네의 '빵가게 재습격'은 권남희 번역이고 만화판 '빵가게 재습격'은 김난주 번역.  김난주 역자는 '빵가게 재습격'이 실린 문학사상사의 '빵가게를 습격하다'를 번역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