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내가 읽은 권여선 작가의 저서(공저 제외)는 데뷔작인 장편소설 ‘푸르른 틈새(1996)’, 산문집 ‘오늘 뭐 먹지?(2018)’,그리고 단편소설집 ‘분홍리본의 시절(2007)’, ‘내 정원의 붉은 열매(2010)’, ‘안녕 주정뱅이(2016)’들이다. 저자의 일곱 번째 소설집인 ‘각각의 계절’은 나로서는 내가 읽은 이 작가의 네 번째 소설집인 셈.


이 책은 작년 50인의 소설가 중 12인이 택하여 “올해의 소설”로 선정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1128045400005 좀 있으면 등단 30년차가 될 권여선 작가는 어쩌면 이 시대의 박완서가 될 수도 있겠다. 이미 그렇게 되었을 수도 있고.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권여선 작가의 책들을 띄엄띄엄 읽어온 가운데,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 작가가 구체적으로 어떤 사람인지가 이 책 ‘각각의 계절’을 읽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첫 수록작 ‘사슴벌레식 문답’(김승옥문학상 대상작)은 자살, 정치적 조직사건과 배신이란 비극과 참극이 가로지른다. 친구의 자살이란 소재는 권여선 작가 본인이 대학생 시절 겪은 실화를 어쩔 수 없이 연상시킨다.


마지막 수록작 '기억의 왈츠'(김유정문학상 수상작)는 여성 화자가 술에 취해 진상짓을 하는 대목이 압권인데 - 일견 멀쩡해 보이는 그녀의 남친도 실은 진상 과로서, 엄청난 분량의 일기장을 보내 여친에게 읽으라고 압박을 가한다 - 철 이른 수박을 사 달라고 사람들 앞에서 철철 우는 장면은, '안녕 주정뱅이' 수록작 '이모'에서 호감을 가진 남자의 손바닥을 담뱃불로 지져 버리던 모습만큼 강렬하진 않아도, 못지 않게 인상적이다.


아, 새로운 '봄밤'인가.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간은 무엇으로든 살아.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는가?
강철은 어떻게든 단련돼. - 사슴벌레식 문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51019/74239522/9 이 기사에 김수영의 시 '봄밤' 전문이 있다.


아래 옮긴 글은 '리얼리스트 김수영'(황규관)의 '4장 혁명적 존재 되기'가 출처.


[사후 50년, 김수영을 기리고 그리는 글들]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874392.html (2019)


[절제여, 나의 아들, 나의 영감(靈感)이여]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735755.html (신형철)


권여선의 단편소설 '봄밤'은 김수영의 시 '봄밤'을 참조한다.






「봄밤」이 일종의 ‘영웅의 휴식’인 줄은 잘 모르겠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시의 화자가 자신에게 "애타도록 마음에 서둘지 말라"고, "혁혁한 업적을 바라지 말라"고 자신을 다독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확실히 지금 그는 "술에서 깨어난 무거운 몸"이다. 그리고 "한없이 풀어지는 피곤한 마음"을 갖고 있는 것도 명백해 보인다. 비록 "꿈이 달의 행로와 비슷한 회전을 하더라도", 즉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더라도 이제 그에게는 "재앙과 불행과 격투와 청춘과 천만인의 생활과/그러한 모든 것이 보이는 밤"이다.

아직 자신은 "눈을 뜨지 않은 땅속의 벌레"라는 겸사(謙辭)는 자신에 대한 성찰이기도 하지만, "꿈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하는 현실의 제한을 우회적으로 말하고 있기도 하다. "서둘지 말라"의 반복이 단지 조바심을 다독이는 독백이었다면 작품 자체가 이렇게 활달할 리가 없다. 1연의 "무거운 몸"이 2연에서는 "나의 빛으로", 다시 3연에서는 "귀여운 아들"로 변주되는 것도 또한 그것을 증명하거니와, 각 연의 마지막 행도 "오오 봄이여"에서 "오오 인생이여"로, 다시 "오오 나의 영감(靈感)이여"로 변주될 때 우리는 거기에서 부정적인 상태에 빠지지 않으려는 고투의 서정을 읽을 수 있다. - 애타도록 마음에 서둘지 말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y Шарлемань, Адольф Иосифович - Public Domain, 위키미디어 커먼즈


'스페이드의 여왕'(푸시킨)을 길해연 배우가 낭독한 오디오북으로 들었다. 쥐락펴락 드라마틱하다. 언젠가부터 보는 드라마에 길 배우가 자주 나온다. 길 배우의 연극 경력을 보면 '햄릿'(거트루드 역), '위대한 유산'(미스 하비샴 역)과 '미저리'(애니 윌크스 역) 등이 있다. 국문학 전공자인 길 배우는 동화책도 썼다. 


미스터리 소설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8m1671a


차이콥스키가 대본까지 쓴 오페라도 있는데 보게 될지는 모르겠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페이드의 여왕 [The Queen of Spades]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2009. 6. 1., 매튜 라이, 스티븐 이설리스, 이경아, 이문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895953&cid=60512&categoryId=605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플이 알려준 작년과 재작년의 포스트들을 보다가 '소중한 경험 - 김형경 독서 성장 에세이'로부터.


Edge of Wood, Springtime, 1883 - Georges Seurat - WikiArt.org


The Watering Can, 1883 - Georges Seurat - WikiArt.org


조르주 피에르 쇠라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2s3059a









의심하는 마음과 신뢰하는 마음 중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은 의심, 불신 쪽이다. 타인을 신뢰할 수 있는 능력은 자율성, 친밀감, 창의성 등의 정신 기능과 함께 성장 과정에서 만들어 가져야 하는 역량이다. 성장기에 그 기능이 형성되지 못했더라도 성인이 된 후 알아차리고 노력하면 얼마든지 새롭게 성취할 수 있다. - P12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ingri 2024-05-31 14: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쇠라 따뜻하네요~

서곡 2024-05-31 14:13   좋아요 1 | URL
네 꼭 실제 햇볕을 쬐는 듯한 느낌마저 드네요 곧 더워지겠죠? 오늘 이 달 말일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정희진의 어떤 메모 / 벌레 이야기,이청준 지음]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589999.html 


권여선의 '사슴벌레식 문답'을 읽고 제목의 벌레 때문에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가 떠올랐다. 오래 전 영화 '밀양'을 본 후 도서관에서 원작이라는 이 소설을 읽었더랬다. 웹검색을 하니 전문이 발견되어 다시 읽고 여기서 멈추지 못해 '병신과 머저리'로 나아갔다. 이 작품도 영화가 있다고 한다. https://v.daum.net/v/20090206022715441 김수용 감독 '시발점' - 배우 신성일이 형, 이순재가 동생을 연기했다. 실제로는 이순재가 두 살 위.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 Daum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v101ha130a25










선생님을 언제나 그렇게 만든 것은 선생님이 지니고 계신 이상한 환부(患部)였을 것입니다. 내일 저와 식을 올릴 분은 선생님의 형님되시는 분을 6.25전쟁의 전상자라고 하더군요. 처음에는 저는 그 말을 알아들을 수가 없었지만 요즘의 병원 일과 소설을 쓰신다는 일, 술 (놀라시겠지만 그 분은 선생님의 형님과 친구랍니다)에 관한 모든 이야기를 듣고는 어느 정도 납득이 갔어요. 그렇지만 정말로 저는 선생님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었어요. 6.25의 전상이 자취를 감췄다고 생각하면 오해라고, 선생님의 형님은 아직도 그 상처를 앓고 있다고 하시는 그 분의 말을 듣고 저는 선생님을 생각했어요. 그렇다면 이유를 알 수 없는 환부를 지닌, 어쩌면 처음부터 환부다운 환부가 없는 선생님은 도대체 무슨 환자일까고요. 더욱이 그 증상은 더 심한 것 같았어요. 그 환부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그것이 무슨 병인지조차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선생님의 증상은 더욱더 무겁고 위험해 보였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