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분쟁지역
구동회.이정록 지음 / 푸른길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세계에는 어쩔 수 없이 일어나는 유혈사태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미국과의 마찰로 인해 무장집단이 생겨난 중동지역, 인도의 카슈미르 지방에서 일어나는 독립 운동, 중국 내의 다양한 국가들이 일으키는 독립 운동에 대한 중국의 강경책등 민족과 국경의 차이등으로 인하여 같은 인간끼리 싸우는 다양한 경우들을 세계를 통틀어 살펴본다. 

팔레스타인은 지금도 유혈사태가 지속되는 대표적인 지역들 중 하나이다. 세계 대전중에 유태인들이 유럽에 많은 기술과 자본등을 지원하였고 이로 인해 열강들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주민을 쫓아내고 그곳에서 살 수 있도록 무기를 지원해 주었다. 이렇게 아랍인과 유대인의 갈등은 시작되었고, 지금도 수천명이 팔레스타인 인이 던진 폭탄으로 죽고, 이스라엘 군이 쏜 대포로 인해 죽고 있다. 

제 1차 세계 대전의 화약고였던 발칸 반도. 세르비아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를 저격한 사건이 벌어진 즉시 유럽으로부터 번진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냉전 이후 구소련으로 뭉쳐져있던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과 체코슬로바키아는 민족적 갈등으로 인해서 수많은 나라로 분리 및 독립되었다. 

코르시카. 섬나라이기 때문에 대륙에 위치한 프랑스를 자신의 나라로 인정하기 힘들다는 심리가 매우 강하다. 코르시카에서는 앙리 파브르, 나폴레옹 등 유명한 인물들이 배출되었으며 나폴레옹은 코르시카를 독립시키겠다는 의지로 시작해 나중에는 프랑스 황제가 되어 야심이 바뀌어 있었다. 지금도 코르시카에서는 프랑스를 거부하는 민족적 운동이 강렬하게 일어나고 있다. 

중국은 약 50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라 할 수 있지만, 역시 80% 이상은 중국 고유의 민족인 한족으로 정확히 말하자면 하나의 민족을 중심으로 주변 민족들이 끼어서 살고 있는 셈이다. 그 중에서도 위구르, 티베트는 중국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의식이 강해 중국군의 탄압이 매우 심하다. 

세계의 유혈 사태가 일어나면서 서로를 죽이고 죽이는 일들이 더이상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민족이 다르다고 유혈 사태가 일어날 정도라면, 지금의 미국은 존재할 수 없다. 히스패닉, 동양인, 흑인, 백인등으로 이루어진 이 국가는 전쟁의 터전이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러니 자신의 것도 소중히 하면서 남의 것도 똑같이 소중하다는 진취적인 의견을 가져 서로를 인정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기를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