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가 날아든다 푸른도서관 32
강정규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반지하 집에서 살 적에, 집 마당 안쪽에 짐들을 잔뜩 쌓아놓은 곳이 있었다. 어느 날부터 두 마리의 고양이들이 그 곳을 배회하더니, 끝내 어머니가 짐들 속에서 새끼 고양이 두 마리를 발견하셨다. 한 마리는 눈 한쪽을 감고 있고 비실비실해 보이는 병든 쪽이었으나, 다른 검은 새끼 고양이는 매우 쌩쌩해 보였다. 하지만 어미 고양이가 아기고양이에게 사냥법을 가르친답시고 죽은 쥐를 그대로 그 곳에 버려 놓아, 쥐가 썩어서 냄새가 진동해 아버지는 어쩔 수 없이 이 고양이들을 쫓아내었고, 그 과정에서 새끼와 어미가 길을 잃어 해어졌던지 오랫동안 슬피 울었던 기억이 난다. 짐승들은 영물이다. 사람과 같이 감정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더 뛰어나다. 

그렇다면 새는 어떨까? 가끔씩 시골에 가면 간간이 세워져 있는 전봇대를 올려다 보았을 때 나뭇가지로 지어진 버려진 까치집을 자주 본 적이 있다. 가끔씩 이 까치집에 까치가 날아들기도 한다. 이 새들이 얼마나 신기한지, 이 새알을 잠시라도 인간의 손이 닿거나 그 위치가 바뀌어 있다면 어미새는 금방 알아차리고 더이상 그 알을 품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도 모성애는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이렇게 다양하게 동물들과 교감을 느꼈던 어린 시절을 보낸 나는 현재 동물이라곤 한 마리도 접촉할 수가 없다. 우리집에 개라도 있으면 모르지만, 인간과 친하다는 개나 고양이조차도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니 어쩌겠는가? 어쩌다 가끔 발견되는 벌레들을 보면 그 움직임이 신기해서 한참동안 바라보고 있기도 한다. 가끔씩은 어릴 때로 돌아가 나만의 고향속에서 동물들과 함께 지내고 싶기도 한다.  



 

작가 또한 고향에서 지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나보다. 그래서 그 마음을 그대로 표현한 단편집이 바로 이 책이라고 한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이야기는 삼거리 국밥집이었다. 본디 사람중에서도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이 많다.  이야기의 주인공 양순 씨는 이북에 갓난아이 때 열병을 앓아서 병신(책속에서 나온 글을 그대로 인용;;;)이 된 딸을 둔 국밥집 아주머니다. 그래서 의원을 찾아 월남하였다가 휴전선이 만들어졌고, 그래서 국밥집의 식모살이를 하다가 어느새 국밥집 사장이 되었다. 뭘 하다가도 이북에 남겨놓고 온 딸이 생각나 바람이 그녀를 데려다 주지 않을까, 바람이 그녀의 이야기를 전해주진 않을까 귀기울이며 지냈다. 어느날, 꼭 자기 딸처럼 장애를 앓고있는 춘자라는 한 여자아이를 만나고, 몇 번 국밥을 먹여주었다가 스스로 식탁을 닦고 일을 하는 모습을 보며 네가 내 딸이로구나! 하며 양딸로 삼는다. 하지만 문체가 일반적이지 않고, 내용도 좀 쉽지 않고 이해하기도 어려웠던지라 3번이나 읽어야 했던 난해한 부분이었다. 

책 전체 내용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몇번이고 읽고 시간이 좀 오래 걸렸지만, 작가의 말을 읽고서 모든 게 이해가 되었다. 이 이야기는 연관성을 가지는 게 아니라, 작가의 고향 이야기를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어쩐지 이야기마다 사투리가 많이 사용되고, 한 고향에 사는 사람들 이야기처럼 느껴졌던 이유를 알게 되었다. 남북이 나뉜지 오랜시간이 지났고, 그래서 마음 아프게 생각한 여러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작가에게도 작가의 고향이 있듯이 이제 14세인 내가 태어나서 유년기를 보낸 남해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하며 그리운 "고향"이란 단어가 크게 다가섰던 책이었다.  그 곳은 내 마음의 고향이며 그 고향 이야기를 유려한 글로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책속 장면 하나하나에서 내 어린 시절을 기억해 내고는 했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