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세로 세계사 1 : 발칸반도 - 강인한 민족들의 땅 가로세로 세계사 1
이원복 글.그림 / 김영사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원복 선생님이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를 끝내시고, 드디어 가로세로 세계사를 출판하셨다. 모두 세 권밖에 없어 아쉬웠지만, 선생님은 세계에는 모두 229개의 나라가 있어 각 나라별로 책 한 권씩 출판하려면 끝이 없으므로 이렇게 묶어서 긍정적이며 보수적으로, 또 부정적이며 진보적으로, 이를 통합해 골고루 보면서 날카롭게 세계사를 지적하셨다. 

이번 편은 바로 발칸 반도에 관한 편이다. 발칸 반도에는 다양한 나라들이 있다. 발칸 반도의 대부분의 나라는 슬라브계 민족이 내려와 이룬 나라가 대부분이라 러시아와 비슷한 국기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비교해 보면 색깔이나 모양이 거의 비슷하다. 뒤집어 놓은 것도 있고, 색깔을 뒤집어 놓은 것도 있고, 국기에서 그림 한개를 추가시킨 것도 있다. 

발칸 반도는 제 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이었던 성냥과 같은 존재였으며, 또 영토 문제로 많이 싸우기도 했다. 서로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많이 싸웠었는데 이 발칸반도는 고대의 동로마가 있던 곳이라고 한다. 로마는 그 찬란한 역사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동로마와 서로마로 나뉘었는데 서로마는 금세 멸망하고, 동방 정교의 동로마는 터키의 탄압을 받아 종교또한 탄압을 받았다.

그럼 발칸반도에 관한 이야기를 좀더 시작해보자. 영화로도 나온 눈먼자들의 도시의 저자인 주제 사라마구의 소설, 돌뗏목은 발칸 반도가 대륙에서 뒤떨어져, 바다를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이야기이다. 보다가 졸려 한번 책을 놓은 이후로 후반부는 조금도 읽어보지 못했지만, 언젠가 시간이 되면 이 동떨어진 발칸반도에 관한 이야기를 다시한번 들어볼 생각이다. 

발칸 반도에는 그리스, 세르비아, 불가리아등 유럽에 속하는 나라들이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발칸 반도는 대부분의 영토가 터키에 의해 지배당했다. 하지만 터키는 곧 권위가 약해지고, 유일하게 슬라브계 민족 국가중에서 터키의 지배를 받지 않는 러시아가 동방 정교를 이어받으며, 발칸의 세력을 잡았다. 하지만 곧 영국의 압력이 들어오고, 터키의 식민지였던 나라들은 곧 이로인해 해방을 하지만 이 사건이 바로 제 1차 세계대전의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역사에 빠져들게 만드는 책! 분량이 많아 한 권의 책을 읽는것과 같은 시간이 걸리지만, 그래도 3권까지 빨리 읽을 생각이다. 이원복 선생님의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더 만나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