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이야기 근대의 세계 3 - 커지는 세계의 빛과 그림자
임영태 지음 / 아이필드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인류이야기 근대의 세계 제 3권. 근대의 세계 마지막에서도 많은 내용을 다룬다. 미국의 남북전쟁, 일본의 메이지유신 등 근대에서 일어났던 역사적인 개혁들을 소개한다. 그렇게 어렵게 생각했던 책을 벌써 근대의 세계까지 읽었으니 무척 뿌듯하다.

미국의 남북전쟁은 에이브러햄 링컨때 일어났다. 사건의 발단은 노예때문이었다. 당시 미국은 독립국가로 나아가려 했던 남부 연합과 기존의 북부 동맹이 있었다. 남부 연합은 노예덕분에 면화 생산은 북부 동맹을 압도적으로 능가했으나 기존의 인구수나 공장 수나 자본력도 모두 북부 동맹이 남부 연합을 능가했었으므로 남북 전쟁이 일어난다면 승리는 당연히 북부의 차지였다. 하지만 남부는 당연한 듯한 싸움을 오직 노예를 이용하겠다는 신념만으로 싸웠기 때문에 그런 불 보듯한 싸움의 승패를 인정하려 들지 않았다.

결과는 북부의 승리였고, 에이브러햄 링컨은 그 이후에도 인민의, 인민을 위한, 인민을 위한 정부라는 말을 만들기까지 많은 노력을 했다. 하지만 역시 북부에 대한 남부의 원한이 너무나 컸던지, 남부의 한 연극 배우가 그를 죽이고선 도망을 갔으나 10일 후에 그를 발견했을 때에는 이미 싸늘한 시체로 있었다고 한다. 신이 인민을 위한 링컨을 만들고 신이 그를 죽인 셈이었다.

일본의 메이지 유신은 250년간 이어졌던 막부 시대가 끝나고 이루어졌던 것이다. 당시만 해도 도쿠가와 가문이 오래도록 세력을 유지해왔으며, 이 다이묘의 종류는 세 종류가 있었다. 한 종류는 도쿠가와 친족, 한 종류는 도쿠가와 가문과 오랫동안 혈연관계를 맺어온 동고동락한 가문, 또 한 가문은 도쿠가와 가문과 동맹을 맺은 곳이었다. 동맹을 맺었던 도자마는 신판과 후다이의 정치관계에 전혀 참여할 수가 있었다.

이런 일본 사회에 끼어든 것은 바로 서양 사회이다. 서양 사회는 일본을 식민지로 삼기 위한 공략을 시작했고, 일본은 그로 인해서 메이지 유신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일본은 급속도로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며 성장했는데, 이렇게 성장한 일본은 한반도를 집어삼키고 심지어는 세계 대전까지 일으키지 않았던가? 이가 바로 개구리 올챙잇적 시절 생각못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또 현대 이야기가 시작된다. 인류 이야기 9권을 이제 슬슬 다 읽을 생각을 하니 마음이 홀가분하다. 얼른 다음 책을 집어들도록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