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선더볼트!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27
고정욱 글, 오정택 그림 / 시공주니어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드리머. 경주마의 이야기를 잘 표현해낸 감동적인 영화였다. 이 드리머에서 등장하는 경주마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 선더볼트다. 본래 선더볼트는 수많은 경주 대회에서 우승을 한 후 제주도에서 편히 휴식을 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어느날 사장의 회사 사정이 안 좋아서 제주도에 가긴 가지만 경주마가 아닌 재활 승마로 재탄생하는 순간이다.

재활 승마. 재활로는 가장 좋은 운동으로, 말을 타면서 자신의 능력을 늘려가는 것이다. 말의 움직임을 통해 여러 움직임이 발달해 식욕도 증가하고 식욕이 증가하면서 점점 더 병이 고쳐지기 때문에 재활 승마의 효력은 이미 확인되었다. 아무래도 고정욱 선생님이 이 글을 쓰신 까닭은 재활 승마에 대해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싶으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요즘도 장애인을 깔보고 괴롭히는 조나단 같은 사람이 많은 듯하다. 장애인이라고 해도 자신이 원하고 싶어 그렇게 된 것도 아니며 자신보다 조금 다르다는 것 뿐이지 채찍으로 마음대로 때리고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란 말인 것이다. 호성이가 욕심많고 비겁한 조나단을 말에서 쓰러졌을 때 구해주지 않고 그대로 놔두기도 바랬기는 했다. 하지만 그 덕분에 오히려 주인이 감동한 것을 보고 호성이처럼 남을 깔보지 않고 항상 친절을 베풀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무래도 재활승마와 상업적 승마는 이익에서 아주 큰 차이가 날 것이다. 재활승마는 대부분 무료이기 때문에 말 사료값등에서도 손해가 생기기 마련이다. 반면 상업적 승마는 말을 타는 체험을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무척 많기 때문에 큰 돈을 벌어들일 수가 있다. 이 상업적 승마와 재활승마의 차이점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재활승마 사업을 꺼려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전체 인구의 10%는 장애인이라고 한다. 그런 장애인들이 다시 정상인으로 될 수 있는 방법은 아주 많다. 단지 정상적이거나 부유한 사람들이 그들을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유한 집에서 아무 장애나 걱정 없이 살아온 사람들은 장애인의 고통을 모를 것이다.

자폐아 호성이가 원래부터 승마를 많이 배웠던 조나단보다 훨씬 말을 잘 타는 것을 보고서 깜짝 놀랐다. 아무리 장애인이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본래 지니고 있는 능력은 잃지 못할 것이다. 장애인들이라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도 우리들이 하지 못할 뛰어난 능력을 하나씩은 갖추고 있다. 재활승마의 이야기를 읽는다면 더이상 장애인을 무시하는 행동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