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에게 희망을 - 전 세계에 희망을 전하는
트리나 포올러스 글 그림,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에 나온 애벌레들도 그렇지만 많은 사람이 변화를 싫어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학교에서의 많은 내 친구들이 변화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모습을 애벌레에 그대로 담아낸 책, 그러나 너무나 감동적인 책이었다. 호랑나비 애벌레와 노랑나비 애벌레, 두 애벌레의 사랑과 애벌레 기둥속의 한 무리로서 쓸데없는 꿈과 희망을 가졌던 애벌레들의 이야기. 그들의 생태는 큰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어느날 사람들이 모여서 거대한 사람 기둥을 만든다면 어떨까? 누구나 다 호기심이 발동해서 사람 기둥의 한 무리에 끼어들고, 결국 하늘 끝까지 닿으려는 노력을 해보지만 하늘에서 아무것도 없는 것을 확인하고 그동안 노력한 것의 헛됨에 의해 허탈한 마음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기둥이 자신들의 기둥에서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곳에서 있었다면, 그 때의 감정은 어떨까? 진정 꼭대기를 위하여 한평생을 바칠 필요가 있는가?

이 호랑나비 애벌레가 자신의 꿈을 노랑 애벌레를 두고서 애벌레 기둥의 한 무리가 되면서까지 이루려는 것을 보면 그 집요함이 마치 인간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벌레는 원래의 자신의 삶을 살아야 하고 인간은 인간의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애벌레들은 결국 오랜 세월동안 번데기가 되어 고치를 만든 후에 나비가 되어 꽃들과 공존해야 하는 법이다.

호랑나비 애벌레와 노랑나비 애벌레 이야기의 결말은 무척 감동적이었다. 결국엔 애벌레 기둥이 아무 소용없음을 깨닫고서, 둘이서 같이 나비가 되어 어울리는 모습을 보니 말이다. 나비는 나비이다. 이러한 도전은 결국 한계가 있는 법이다. 나 자신의 존재의 한계를 깨닫고서, 단지 자신의 삶의 최대로서까지만 살 수 있는 것이 생명이다. 우리 인간이 천 년 넘게 살아갈 수 없고, 5초 이내로 100m달리기를 돌파할 수 없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