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자율 - 스스로 행동하는 힘 어린이 자기계발동화 5
한영희 지음, 추덕영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 하는 습관은 아마도 내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어머니가 회사를 다니실 때부터 생겼던 것 같다. 그 때에는 나 혼자 뭐든지 해먹어야 했고 씻거나 숙제를 하는 것도 내 몫이었으니까. 물론 모든 일에 열심이었을 정도로 성실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내 할일은 내가 했다. 하지만 여기에 나오는 두리란 아이는 엄마의 영향 때문인지 모든 스스로 할 수 없는 공주같은 아이다. 아침에 혼자서 일어나는 일 같은 것도 잘 못하는 이 두리란 아이의 이야기는 내 스스로 습관이 어땠는지를 알려주었다.

어릴 때 학급 성적이 낮았기에 두리에게 모든 기대를 걸었던 두리 엄마. 그래서 공부에만 신경쓰도록 다른 일은 모두 자기가 해주었던 탓인지 두리는 모든 일이 귀찮고 할 줄 아는게 없는 아이다. 그런데 아랫집에 이사온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아이 강율이를 보고서 두리도 자율적인 일을 하는 습관을 기르게 된다.

스스로 하는 것이야말로 모든 일을 하는 자기 만족이 되는 것 같다. 저번에 아버지께서 나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청소를 하는 것은 말이지, 귀찮기는 하지만 자기 만족을 위해 하는 것이야. 상철이 너도 청소를 하는 것은 귀찮지만 청소를 다 끝마치면 무척 흐뭇하지? 바로 그거야."

자율의 기쁨이란 것을 그 말씀을 듣고는 다 이해하지는 못했는데 이 책을 읽고나서 그 의미를 완전히 알 수 있었다. 가끔은 내 방을 치워주지 않는 엄마가 밉기도 했지만 내가 스스로 내 방을 치울 수 있다는게 도리어 더 기쁜 일이라는 것을 알고서 앞으로는 청소를 하는 일이 더 즐거울 것만 같다.

자율의 의미란 것이 무책임하고 무계획, 무모한 것이 아닌 책임이 따르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서 항상 내 맘대로만 하면 자율인줄 알았던 나는 깜짝 놀랐다. '아니, 자율이라면 자기가 모든 일을 스스로 하면 될 걸 구지 책임을 져야 하나?' 하는 생각이 내 머릿속에 들었다. 하지만 두리 부모님도 걱정을 얼마나 했을지 상상이 가기는 한다.

자율 습관을 더 기르는 것은 앞으로라도 내가 꼭 이루어야만 할 것 같다. 스스로 수첩도 다음에 꼭 한번 정리해보고, 어머니의 도움없이 뭐든지 스스로 하는 어린이가 되고 싶기는 하다. 하지만 6학년이나 되었는데도 엄마의 도움을 절실히 원하는 내 모습이 참 이상한 것 같다. 원하면서도 도움이 필요하니...

자율적인 습관을 가지고서 앞으로의 내 인생을 자율적으로, 그러면서도 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새로운 두리처럼, 강율이처럼 뭐든지 스스로 하는 그런 좋은 어린이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