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술 연필 페니 좋은책어린이문고 1
에일린 오헬리 지음, 공경희 옮김, 니키 펠란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charliemom] 

제목을 보면 요술에 대한 각가지 상상을 하게 된다.  아, 이 책의 요술연필 페니는 어떤 요술을 부리는걸까?  요술과 연결해서 과거의 여러 영화나, 책을 떠올려 보면 요술이란 거의 선한 사람의 행복을 돕는,  혹은 악하더라도 선하게 사람을 이끄는 역할을 했던 것을 기억하게 된다.  왠지 모를 사악하고 음모가 있을 듯한 마술을 부리는 마술연필이 아니라 요술연필... 

이 책의 주인공은 요술연필 페니다.  그래서 페니가 바라보는 세상이 세세하게 그려져 있다.   

처음 맥페이퍼 문방구에서 빨간사전에 함께 붙여져 있었을 때,  파란색 사전이 인기가 많아 랄프가 선택하기까지 긴긴 시간 빨간 사전의 알파벳 가르침속에 함께 있어야 했다.  랄프가 선택했을 때 페니는 얼마나 기뻤던지...  벌써 이 때부터 페니는 오랜 시간 기다림으로 랄프에게 뭐든 잘해 줄 것이라고 마음을 먹었는지 모른다.

연필통속의 세상.  어디에나 리더가 있고, 여기 연필통속의 리더는 아무래도 검은 매직펜처럼 보였다.  리더?  거의 이기적인 독재자였지만.  꼭 지켜야 할 규칙 2가지.  어기면 필통속에서 쫓겨나는 무서운 벌을 받게 된다.

규칙1. 랄프가 필통을 여는 즉시, 모든 말과 행동을 멈춘다.  필통이 열려 있는 동안도 마찬가지.

규칙2. 어떤 볼펜, 연필, 크레용, 매직펜, 유성펜, 형광펜도 랄프의 손이 움직이지 않는 한 아무 것도 그리지 않는다.  랄프는 지우개의  도움으로 스스로 그런 잘못을 고칠 수는 있다. 

랄프와 대화는 못하더라도 랄프가 공부를 잘할 수 있도록 도우려고 여러가지 방법을 모색하는 페니는 참 좋은 연필이다.  그 열성에 이제 지치고 힘이 없어진 수정액도 다시 기운을 찾게 되고... 

이 연필통안에서 왕따 문제와 같은 지금의 사회 문제와 함께 가정에서 독재적인 부모님의 모습, 더 나아가서는 사회주의까지 엿볼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 하고 싶게끔 만드는 자유스런 분위기가 아닌가 한다. (그러면서 내 자신은 아이가 못 미더워 족쇄를 채우는 극성 엄마중 대표급이라 볼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이 일한 만큼 댓가를 얻을 수 있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유는 댓가가 있다는 사실을 우리들은 아니까.  물론 아이들이 마음껏 누리는 자유속에서 자칫 무분별하게 망각하고 그 시절을 망각할까 두려워 여러 가지 규칙들을 많이 준다.  속으로 거의 모든 부모가 외칠만큼 학원공화국이라고 불리는 우리 나라에서 늦은 시간 저녁8시 귀가는 예사이고, 더한 초등학생 아이는 11시에 귀가를 하는 아이들.  이 시간의 쳇바퀴를 끊임없이 돌며, 한 번이라도 이탈하면 학원에서 전화도 오고 부모님의 불벼락을 맞아야 하는 슬픈 현실이 지금의 모습이라 과연 자유스런 분위기를  만끽할만큼의 시간 여유를 과연 아이들은 가지고 있는가?  대답은 노일 것이라 생각된다.

이 학교와 학원이라는 거대 울타리 규칙 속에서 스스로란 기지를 발휘할 수 있는 공간은 없다면서.  나 또한 자율적인 시간의 여유가 내 아이한테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수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독과 같은 아집은 잘 고쳐지지 않는 것 같다. 

랄프의 어머니는 참 좋으신 분이다.  랄프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뭐든 믿고 기다려주고, 잘할 것이라고 북돋아 주는...  하지만 랄프는 수학과 단어 시험을 잘보고 싶어하고 못한 것에 대한 속상함을 가지고 있다.  해서 랄프의 어머니에 대해서는  페니처럼(틀렸을 때 마치 지우개 찌꺼기에 발이 걸린 것처럼 멈춰서 사전을 찾게 하는 방법)무엇이 부족하고 원리 이해가 안되는지 같이 공부하고 살펴봐 주면 더 좋지 않을까 뭐 이런 생각을 문득 문득 떠올리고 있었다.  아니 아이의 문제를 너무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닌가?  이런 것 까지....(여전히 극성 엄마의 시선으로 고개를 갸우뚱하며) 

결국 페니는 검은 매직펜에 의해서 쫓겨나 소파밑에 있다가 사라 할머니 집으로 운반되는 도중에 도덕적인 개념이 심히 상실된 못된 사내에게서 고생을 한다. 케이크 굽기 대회에 출전한 랄프의 친구 사라는 랄프가 무척 아던 연필 페니를 분실물 보관소에서 찾아 랄프에게 전한다.  수정액에 의해 검은 매직펜이 사라진 행복하고 따뜻한 랄프의 필통속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딱부러지게 뭐든 잘해내고, 친구까지 잘 챙기는 사라.   엄마의 마음에는 사라 같은 아이가 되면 좋겠어라며, 필통 속 세상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덮었다.  매직펜을 떠올리면서 독재자 같은 부모가 되지 말자하고는 랄프 엄마가 아이에게 주는 여유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우뚱 거리는 모순덩어리,  좀 더 무엇이 맞는지 깊은 생각이 필요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