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표 창작동화 7 - 두고두고 읽고 싶은
현덕 외 지음 / 계림닷컴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charliemom]

책을 읽으며, 따스한 감정에 녹아 푹 빠졌어요.
"내가 몰랐던 글이 이토록 많았구나. 그래 이
시대에는 그랬겠다. 응, 나도 이렇게 힘든 일이 있었지."
눈가의 눈물을 훔치기도 하고, 주인공의 처지에
애닳어하며, 그렇게 가슴에 멍울 멍울 많은 생각을 담게 해 주었습니다.

이 책에 11분의 작가가 쓰신 각 창작동화마다
주는 느낌이 너무나도 소중해서  ''아이와 이런 얘기를 해봐야겠다, 저런 이야기를 해봐야겠다''는 나중에야 생각이 났습니다.  1편에서 10편까지 나왔다는데, 다른 책도 전부 읽어보고 싶었어요. 이 책이 왜 "두고두고 읽고 싶은 한국대표 창작동화"인지 제목이 그럴 수 없이 꼭 들어 맞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책 7편을 읽으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잊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고, 곱씹으며,
먼저 자연스레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아이가 어릴 때 읽었던 현덕동화에서 못 만났던 ''나비 잡는 아버지''를 통해 저는 묻습니다.

"바우가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이유가 뭐야?"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그래요."

"그러면 바우가 집안 형편 때문에 못간 것에 대해 너는 어떻게 생각해?"

"너무 안됐어요. 공부하고 싶어하는데, 못하니까..."

"니가 바우 입장이라면 어떻게 할거니?"

"힘들겠지만, 정주영 회장처럼 돈을 모아 학교에 갈꺼예요."

아이에게 부모세대 어려운 시절 이야기를 해줘도 아이들은 이해를 못합니다. 열악한 교육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하면 그 때부터 아이에게는 잔소리일뿐입니다.
그 때는 그 때고, 지금은 환경이 틀리니까...
부모가 아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교육은 ''대화''라고 했습니다.  책을 통해 아이와 객관적인 대화를 나눠보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 아닌가 합니다.

다양한 책을 읽고, 다양한 인물에 대한 분석을 통한 아이와의 대화야 말로 진정한 논술의
첫걸음이겠지요.
아이의 생각과 더불어 여러가지 견해를 들려줄 수 있기에...  이 한 권의 책을 통해서도 많은 인물, 상황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스캐폴딩 논술 교과서를 통하여 어머니와 아이가, 아버지와 아이가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책을 읽고 아이의 생각을 많이 들어주고, 다양한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좋은 책을 만나 너무나도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소중히 오래 오래 간직하고 싶은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