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위로의 디자인 Design Culture Book 1
유인경.박선주 지음 / 지콜론북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세상이 각박할수록, 그래서 마음이 더 급해질수록, 그런 빠름에 놓치고 있는 것들이 많을 때 마음은 더 삭막해 진다.

 

삭막해 진 마음은 세상을 더욱 어둡게 보고, 어두운 눈으로 보는 세상은 마음을 더 힘들게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데...

 

아무리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이 있듯이, 세상이 바쁠수록 마음의 여유를 지녀야 한다. 마음의 여유가 우리를 위로해줄 수 있다.

 

이 책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그냥 스쳐지나갈 수 있는 사물들, 또는 자연들을 조금 천천히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화려하지는 않아도 우리들 눈에 들어와 마음까지 와닿는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빛을 통해 위안을 얻을 수 있는데, 그런 빛을 우리 주변에 가져온 디자인부터,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자연 속에서 위로를 느낄 수 있는 디자인, 다른 생물들과 공존할 수 있는 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을 소개하고 있다.

 

하나하나 읽으면서 또 보면서 마음의 위안을 얻을 수 있는데... 134-141쪽에 나오는 '나만의 동굴'은 나도 여기서 한 번 묵고 싶다는 마음을 불러 일으킨다. 화려하지도 않고, 크지도 않고, 그렇다고 어딘가에 동떨어져 있지도 않고 바로 그 장소에 자그마하게 있는 공간.

 

우리가 흔히 노깡이라고 부르는 것을 방으로 개조한 것이다. 방으로의 필요가 없어지면 다시 노깡으로 쓰면 된다.

 

그럼에도 호텔처럼 비싸지도 않고, 허름한 여인숙처럼 쾨쾨하지도 않고, 오로지 자기만의 방을 가질 수 있는 기회. 그런 기회를 디자인한 사람들.

 

이런 사람들과 디자인에서 위로를 느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마음에 와서 팍 박힌 디자인... 앞의 것이 여행자를 위한 자기만의 위한 방 디자인이었다면, 이번엔 떠난 사람을 애도하는 디자인. 198-201쪽에 있는 유골함.

 

  그냥 유골함이 아니라, 곁에 둘 수 있고 또 자연으로 돌아가게 할 수 있는 유골함. 이런 유골함이라면 떠난 사람과 남은 사람이 함께 지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는 세라믹이라 보존이 오래되어 비석처럼 쓸 수 있고, 밑은 생분해성 코르크라고 하니 나중에 땅에 묻어도 자연스레 나무가 자랄 수 있으니.

 

환경파괴적이지도 않고... 또 떠난 사람들이 또 하나의 아파트에서 지내지 않고 자연과 함께 지낼 수도 있고....

 

이런 디자인에 관한 책을 읽으며 마음이 편해졌다. 책을 읽으며 보며 내 마음의 위안을 얻었다. 제목 그대로 '위로의 디자인'이다.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하! 세상을 바꾸는 통찰의 순간들
윌리엄 B. 어빈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어느 순간, 불현듯 머리 속에 떠오르는 깨달음, 그것을 통찰이라고 하자.

 

개인적인 통찰에 머무르기도 하지만, 개인을 넘어 사회를 바꾸는 통찰이 되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는 종교, 도덕, 과학, 수학, 예술에서의 통찰의 순간들을 다루고 있다.

 

아니, 엄밀히 말해서 통찰의 순간들을 다루고 있다기 보다는 어떻게 통찰이 이루어졌고, 그 통찰이 사회에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 그리고 통찰은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통찰이 일어난 순간들의 극적인 이야기를 기대했다가는 실망하기 쉽다. 그냥 종교면에서는 어느날 갑자기 신의 목소리나 신의 모습이 보였다든지, 도덕, 예술, 과학, 수학에서도 자신의 일에 집중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에 무의식이 작동해서 통찰을 이루었다는 얘기만 나올 뿐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통찰은 결국 갑자기 오지 않는다. 부단히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잠시 그것에서 의식을 놓은 순간, 무의식이 개입해서 통찰을 이룬다는 것이니... 노력없이는 통찰도 없다.

 

마찬가지로 노력만 해서도 안된다. 사람은 가끔 쉬어야 한다. 이 쉼은 그냥 놓아둠이 아니라,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무의식이 의식에 개입할 수 있도록 빈 틈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어마어마한 무의식이 의식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개입을 하는 순간, 통찰이 이루어진다.

 

문제는 그 통찰이 이루어진 다음이다. 통찰이 사회에 쉽게 받아들여지면 문제가 없겠지만, 모든 분야에서 통찰은 처음에는 집단적 반발에 부딪히게 된다.

 

이 반발을 이겨내고 자신의 통찰을 지켜나갔을 때만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런 경우를 이 책에서는 보여주고 있는데...

 

결국 통찰에는 '끈기와 용기'가 필요하다고 본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아무리 좋은 통찰도 그것을 지켜나갈 끈기와 용기가 없다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언급한 세상을 바꾼 통찰의 순간들을 지닌 사람들은 이렇게 자신의 생각을 지켜나갔기 때문에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었음을, 이 책은 잘 보여주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aesar 2015-09-24 2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까치에서 나온 책은 항상 실망시키지 않는 것 같습니다. 까치는 좋은 책을 물어다 준다는 믿음이 깨진 적이 없어요^^

kinye91 2015-09-25 08:18   좋아요 0 | URL
`까치는 좋은 책을 물어다 준다`는 표현이 너무 좋네요. 출판사 이름과 펴낸 책들이 잘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비밀 많은 디자인 씨 - 디자인으로 세상 읽기
김은산 지음 / 양철북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생활하면서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디자인은 도처에 있다. 길 가다 보는 간판에서부터, 그 간판을 달고 있는 건물, 걷고 있는 도로, 그리고 신고 있는 신발에, 입고 있는 옷, 자신의 손에 들고 있는 많은 전자기기 등등...

 

셀 수 없이 많은 디자인들이 우리 곁에서 늘 우리와 함께 하는데, 우리는 이 디자인을 특정한 순간이 아니면 인식하지 못한다.

 

특정한 순간, 그것은 이 자본주의 시대에는 구매욕구가 발동할 때다.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또 '보기에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우리는 제품의 성능을 보기도 하지만, 디자인을 보고 구매하기도 한다.

 

이런 구매 욕구를 자본은 철저하게 이용한다. 기능과 성능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자동차에서도 요즘은 디자이너들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한다고 하니, 디자인은 이미 우리 삶에 깊숙히 들어와 있고, 특히 자본과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책인데, 제목을 "비밀 많은 디자인씨"라고 붙은 이유는, 우리가 디자인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리라.

 

디자인이 겉으로 보여주는 면과 속에 지니고 있는 의미가 다를 수도 있음을, 그런 양면을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데...

 

어떤 디자이너들은 철저하게 자본에 봉사하고, 어떤 디자이너들은 자본을 넘어서려고 하니, 디자인은 그 자체에 비밀이 있다기보다는, 디자인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서 지닌 의미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게 바로 디자인의 비밀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디자인이라는 개념부터, 활용부터 시작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면을 보여주면서 디자인의 비밀에 우리가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디자인의 비밀을 엿보았다면, 그 다음에는 디자인의 본질로 가설 차례다. 그것을 '닫힌 디자인, 열린 디자인'개념을 사용해 설명하고 있는 2부와 '누구를 위한 디자인인가'를 묻고 답해주는 3부에서 보여주고 있다.

 

자본에 봉사하는 디자인도 있지만, 우리의 삶을 좀더 좋은 쪽으로 바꿔가는 디자인도 있음을,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필요한 디자인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디자인에도 민주주의가 작동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궁극적으로 디자인은 이윤을 생산해내기보다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쪽으로 나아가야 함을, 그래서 이 책에서는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손의 말을 빌려 이야기하고 있다. (185-187쪽)

 

로손은 디자인이 꼭 해야 할 좋은 디자인을 위한 질문의 마지막에 '죄책감'을 들고 있다. 자신이 디자인한 작품에 죄책감을 느끼는가, 느끼지 않는가 하는 것. 만약 죄책감을 느낀다면 디자인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그래서 디자인은 단지 미술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윤리의 차원까지 나아간다는 것. 윤리와 정치의 영역에까지 이르러야만 우리는 디자인에 대해서 제대로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생각하게 된다.

 

이렇게 디자인에 대한 관점을 세우게 해주는 책이고, 이 책 중간중간에 좋은 디자인의 예라고 할 수 있는 디자인 작품들이 나와서, 그것들을 보는 즐거움도 주고 있는 책이다.

 

적어도 우리 사회에서도 이제는 '열린 디자인', '죄책감이 들지 않는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와야 하고, 그런 디자인을 판별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진 시민들이 많아져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시민들을 길러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득, 묻다 첫 번째 이야기 -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깨우는 일상의 질문들 문득, 묻다 1
유선경 지음 / 지식너머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가면서 질문이 없어진다는 것은 정신이 늙어간다는 것이다. 정신이 늙은 사람은 질문을 하지 않는다.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알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질문이 많다. 그들의 정신은 살아있기 때문이다. 세상이 모두 경이로 가득차 있고, 세상의 모든 것이 궁금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그때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해 쩔쩔맨 어른들이 얼마나 많은가. 몰라, 하고 무시하기엔 너무도 많은 질문들이 넘쳐난다.

 

그런 질문들, 우리가 흔히 하는 질문들, 또 흔히 가질 수 있는 궁금증에 대해 이 책은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총 3부로 나누고 있는데... 꽃을 보다, 먹고 마시다, 말하다로 나누고 있다. 꽃과 음식, 그리고 우리 언어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는데...

 

1부 꽃에서 하나의 질문을 고르면 다음과 같다.

 

"영연방에서 양귀비꽃을 가슴에 다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때 양귀비꽃은 개양귀비꽃이라고 하고, 영연방에서는 우리말로 하면 순국선열을 기리는 상징으로 그 꽃을 단다고 한다. 이런 식의 질문과 대답.

 

2부 먹고 마시다에서 하나의 질문을 고르면...

 

"세계사 속 명장면에 사과는 어떤 의미로 등장할까?"

 

사과... 창세기에 이브가 먹었다는 사과에서부터 뉴턴의 사과, 그리고 비틀즈의 사과, 스티브 잡스의 사과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3부 말하다에서 하나의 질문을 고르면...

 

" 난장판과 아수라장, 어떻게 다를까?"

 

난장판은 과거시험장에서 온 말이라고, 엄청난 인파가 몰린 과거 시험장이 난장이라 하고, 아수라장은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참혹한 곳이라는 뜻. 그러나 이들은 모두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라는 사실. 인간에게 달려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는 대답.

 

이렇게 많은 질문들이 있다. 그러나 단지 질문에 대한 답만을 제시하지 않는다. 질문에 대한 답과 더불어 철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말들이 들어 있다.

 

그래서 이런 다양한 질문 속에서 인간 생활의 모습을 발견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까지도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문득, 묻다. 그 물음에 대한 답은 바로 우리네 인생과 관련이 있다. 이 책에서는 질문에 대한 답과 인생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는 많은 이야기거리가 들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의 핵심은 진중권이 이 책의 서두에서 말한 것에 다 들어있다고 볼 수 있다.

 

'상상은 정신의 놀이다. 상상을 할 때 정신은 노동을 하지 않고 놀이를 한다.' (9쪽 쯤)

 

그러면 정신의 놀이는 뭔가? 그건 예술이다. 예술이 육체노동을 포함하고 있지만, 우리의 정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몸이 따라 행동하는 것이니, 예술은 결국 정신의 놀이이고, 정신의 표현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제목과 연결지어서 이야기하면 예술은 바로 '상상력의 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놀이를 누가 가장 잘 즐길 수 있을까? 두말하면 잔소리다. 바로 아이들이다. 아이들에게는 고정된 무엇이 없다. 자신의 눈에 보이는 것, 들리는 것, 손에 잡히는 것 모두가 놀이가 된다.

 

그런 아이의 마음, 아이의 눈을 지니고 지내는 것, 그것이 바로 예술에 가까이 가는 비결이다. 다른 말로 바꾸면 상상력을 늘 지니고 살 수 있는 비결이 된다.

 

이 책에서는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있다. 7장으로 나누어 예술이라고 할 수 있고, 또 놀이라고 할 수 있는 온갖 상상력들이 발휘된 것들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그리고 끝부분에서 이렇게 정리하고 있다.

 

'상상력 혁명으로 도래한 새로운 사유의 특징을 일곱 개의 키워드로 요약 ... 비선형, 순환성, 파편성, 중의성, 동감각, 형성문자, 단자론. 이 특성들이 이 책의 형식 속에 가시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368쪽)

 

이 책을 읽으면서 이들이 이 책에 어떻게 나와 있는지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 굳이 찾지 않더라도 읽으면서 새로움을 느낄 수 있으니 그냥 읽어가도 좋을 것 같고.

 

읽으면서 왜 각 장을 1장, 2장 또는 대표적인 제목이 있음에도 색깔이 있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red, orange, yellow, green, blue,navy blue, purple

 

뭐지, 하다가 겉표지를 보고, 또 책을 옆에서 보고 이런 이거 무지개 색깔이잖아 했다. 상상력을 다룬 책답다는 생각.

 

무지개, 지상에서 천상으로 이어주는 다리이기도 하지만, 아무 때나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평소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조건이 갖추어지면 나타나는, 그리고 어른들보다는 아이들에게 더 관심을 받는... 또 빛을 한 색으로 보지만, 7가지 색으로 볼 수도 있음을, 그보다 더하고 덜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넘어가고...

 

그러니, 각 장들을 이런 색으로 배분한 것은 이 책 역시 하나로 보지 말라는 이야기로 받아들이고...

 

여러가지 사진들과 또 재미 있는 것들, 우리가 지금 현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 옛날에는 상상에만 존재하기도 했음을, 지금 우리가 상상하는 것이 현실이 될 수도 있음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상하는 힘을 잃지 말아야겠지. 상상력이 합리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성을 바탕으로 그를 넘어서는 것이기에 21세기에는 더더욱 상상력이 필요한 시대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그런 재미 있는 상상력의 세계, 예술이 놀이와 하나가 되어 우리 곁에 다가온 과정, 결과물, 그리고 우리 역시 예술을 놀이로 만들 수 있음을, 그 매개를 상상력이 함을 알게 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